• 제목/요약/키워드: AWS-based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7초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을 위한 AWS 보안 아키텍처 구성방안 (Configuration Method of AWS Security Architecture for Cloud Service)

  • 박세준;이용준;박연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13
    • /
    • 2021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의 다양한 특징과 장점들로 인하여 전 세계의 다양한 산업군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및 전환이 빠르게 확산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가 확산함에 따라 보안 취약성 또한 증대되고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의 데이터 유출 사고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보안이 강화되면서도 클라우드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AWS Well-Architected 기반의 보안 아키텍처 구성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AWS 클라우드 보안 아키텍처는 개인정보 처리 시 요구되는 보안 항목을 충족하는 Standard 보안 참조모델 및 비용 효율화를 고려한 Shared Security 참조모델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AWS 보안 아키텍처는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AWS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업과 기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 서비스 시스템 (An Efficient Deep Learning Based Image Recognition Service System Using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Technology)

  • 이현철;이성민;김강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6호
    • /
    • pp.177-186
    • /
    • 2020
  •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의 발전에 따라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의 이미지 인식 성능이 향상되고 있으며, 또한 Serverless Computing이 이벤트 기반의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한 차세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로 각광받고 있어 딥러닝과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접목하여 실생활에 이미지 인식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 서비스 시스템 개발 방법을 기술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Serverless Computing 기반 AWS Lambda Server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대형 신경망 모델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AWS Lambda Server의 단점인 Cold Start Time 문제와 용량제한 문제를 해결하여 효과적으로 대형 신경망 모델을 사용하는 Serverless Computing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인다. 실험을 통해 AWS Lambda Serverles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이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처리 시간 및 용량제한 문제를 해결하여 대형 신경망 모델을 서비스하기에 효율적인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AWS IoT 와 MQTT 기반 스마트 홈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AWS IoT and MQTT)

  • 정인환;황기태;이재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12
    • /
    • 2022
  • 본 논문은 AWS IoT 서비스 및 MQTT 기반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현 사례를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온도와 습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컨 난방 등을 수동 혹은 자동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카메라로 방문자를 확인하고 도어록을 원격으로 제어 할 수 있다. 구현된 스마트홈 시스템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도어록, 난방, 전등 및 에어컨을 제어하며 수집된 데이터와 제어정보는 AWS IoT 서비스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원격에서 IoT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였으며, 앱과 AWS IoT 서버 및 아두이노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및 제어를 위해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또한 센서 및 기기들을 추가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갖는 AWS IoT 서비스 기반으로 구현되었다.

AWS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환경소음지도 제작 연구 (A Study on Real-time Environmental Noise Mapping based on AWS Cloud)

  • 주용진;조진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74-183
    • /
    • 2021
  • 본 연구는 아마존 AWS를 이용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실시간 환경소음 지도를 제공하는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환경 소음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여 인하공업전문대학 캠퍼스의 소음레벨, 위치, 측정시간에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소음 측정정보는 AWS 클라우드로 전송되어 관리되며, 아마존 퀵사이트를 통해 수집된 소음정보를 차트와 지도로 시각화 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 소음분포 현황을 사용자들이 검색하기 위해 웹 기반 소음 등고선도와 건물에 매핑된 결과를 구글 지도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소음지도는 실시간 데이터로 제작되어 소음 현황과 저감 대책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Landsat 8 위성영상과 AWS 데이터를 이용한 서울특별시의 지표면 온도 분포 분석 (Distribution Analysi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about Seoul Using Landsat 8 Satellite Images and AWS Data)

  • 이종신;오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34-439
    • /
    • 2019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 도시화로 인한 도심의 열섬현상 등으로 도시 온도변화 및 지표면 온도 변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04년부터 현재까지 기온, 강수량 등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최근에는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96개소, 방재기상관측장비(AWS) 494개소의 지상기상관측망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지상관측망의 경우 각 설치 지점에 대한 점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측정 지점을 제외한 곳의 지상기상 데이터는 보간법을 통해 예측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의 지표면 온도 측정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표면 온도를 산출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Landsat 8 OLI TIRS의 위성영상을 계절별로 획득하고, 열적외 밴드에 NASA식을 적용하여 지표면 온도로 변환하였다. 지상의 측정 자료는 AWS를 통해 측정한 기온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AWS 기온 데이터는 관측소 기반의 점 데이터이므로, Landsat 영상과의 비교를 위해 크리깅 보간법으로 보간을 수행하였다. 위성영상기반의 지표면 온도와 AWS 기온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계절에 따른 온도차는 RMSE값을 바탕으로 가을, 겨울, 여름, 봄의 순서로 Landsat 위성영상의 적용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었으며, 위성영상의 시기별 평균온도와 AWS 온도 사이에는 최대 평균 $2.11^{\circ}C$이내, 최대 RMSE ${\pm}3.84^{\circ}C$인 것을 감안하면 정확도 향상을 위해 NASA식에 보정값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RMM-PR/VIRS와 GMS 자료를 이용한 강수량 추정에 관한 연구 (Rainfall Estimation Using TRMM-PR/VIRS and GMS Data)

  • 김영섭;박경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19-326
    • /
    • 2002
  • TRMM-PR/VIRS와 GMS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추정하였다. 강수량 추정의 검증에는 기상청의 AWS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강수량 추정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TRMM-PR 자료와 AWS 자료를 이용하여 Z-R 관계식을 도출한다. 2) Z-R 관계식에 의한 추정치와 VIRS의 TBB 자료를 이용하여 강수량 추정식을 도출한다. 3) 새롭게 도출된 식의 VIRS의 TBB 대신 GMS의 TBB 자료를 대입하여 광역의 강수량을 추정한다. Z-R 관계식은 Z=303R$^{0.72}$로 나타났고 상관계수는 0.57이었다. 새롭게 제시된 강수량 추정식에 의한 결과의 상관계수는 0.67, RMSE는 17mm/hr로 나타났다. 강수량 추정식은 집중호우 때 과소추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협업 이미지 제작 도구 (The Collaborative Image Editing Tool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 임양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456-1463
    • /
    • 2017
  • In recent times,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s) have been rapidly evolving to allow developers to easily and efficiently access work in the server and network areas for development of a web of App based on cloud comput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collaborative image editing tool App based on Cloud-computing, by adopting AWS of representative company that develops IaaS. First, it is crucial to understand various situation conditions for representative infrastructure services: AWS, Azure and Google (GCP). This may have the effect of reducing manpower and development time, but as each company has different policy and technical support, we need a new study every time the environment changes of infrastructure services. We tried to develop a hybrid-App so that users with various devices can collaborate work each other by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service AWS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image editing authoring tool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The future studies should continue about compatibility issues and support issues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s of overseas infrastructure services, but we think that domestic cloud computing policies and developments should be urgently considered.

AWS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물 공급 안전도 평가 (An Evaluation of Water Supply Reliability Using AWS Data in Korea)

  • 문장원;최시중;강성규;이정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8호
    • /
    • pp.743-753
    • /
    • 2012
  • AWS 자료는 우리나라 전역의 강수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AWS 자료는 치수 분야 분석에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물수지 분석 등 이수 분야 분석에의 활용사례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강수특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AWS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우리나라의 공간적 물 공급 안전도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물 공급 네트워크를 고려하였으며, 2002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연도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분석 대상 기간 중 물 공급 안전도가 가장 낮았던 것으로 나타난 연도는 2009년으로 평가되었으며, 전남 서해안과 낙동강 중 상류에 물 부족 발생지역이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물 공급 안전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은 도서 및 해안지역과 같이 가용 수자원이 근본적으로 부족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지역에 대한 물 공급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AWS 자료를 물수지 분석에 활용할 경우 도서 및 해안지역의 강수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역병의 예찰모형과 컴퓨터 시스템 (A Forecasting Model of Phytophthora Blight Incidence in Red Pepper and It′s Computer System)

  • 황의홍;이순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1
    • /
    • 2001
  • 1997~1998년에 무인기상관측장비(AWS)로부터 얻어진 기상자료와 고추 역병 발병과의 상관관계를 기초로 하여 고추역병 발병모형들을 작성하였다. 그 중에서 $R^2$값이 가장 높은 모형을 이용하여 AWS 시스템기상 파일을 입력받아서 발병률을 추정해주는 컴퓨터 시스템(PEPBLIGHT)을 구축하였다. 이 컴퓨터 시스템은 쉽게 무인기상관측장치로부터 기상 자료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다른 기종의 무인기상관측장치와 다른 발병예측모형으로 이용할 경우에도 호환성이 있도록 하였다. 또한 AWS 미기상 자료를 SAS 입력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해 파일로 저장해 주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된 고추 역병 예찰 프로그램인 PEPBLIGHT는 MS사의 윈도운영체제로 운영되는 PC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 수준에서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전 차륜 조향 시스템 전자 제어 장치의 스윙 아웃 억제 알고리즘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 Improvement of Swing-out Suppression Algorithm of an All Wheel Steering Electronic Control Unit)

  • 이효걸;정기현;최경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25-33
    • /
    • 2013
  • All-wheel steering (AWS) system is applied to articulated vehicles to reduce turning radius. The swing-out suppression algorithm is applied to AWS ECU, a key component of AWS system. The swing-out suppression algorithm applied to AWS ECU has a problem when velocity of vehicle is changed. In this paper, new algorithm based on moving distance that solve velocity problem is proposed. The HILS simulation and the test articulated bus is used to validate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