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R-IR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2초

저온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전자파 차폐성 금속화 합성섬유의 계면 밀착성 개선 (Improvement of Interfacial Adhesion of Metal Plated Synthetic Fabrics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by Using Cold Plasma)

  • 천태일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17
    • /
    • 1998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electroless chemical plating on the plasma grafted poly [ethylene terephathalate](PET) fabric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facial adhesion between metal and fiber. The vapour phase of acrylic acid introduced on the PET surface and the graft polymeriz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cold plasma, resulting in the grafting yield of 0.8-1.3 wt%. The carboxyl group of the plasma grafted was identified by FT-IR-ATR spectra. The Interfacial adhesion was related to the carboxyl group. After electroless chemical plating of nickel, it showed that the more the carboxyl, the better the interfacial adhesion. Comparing to the untreated, the plasma grafted fabric showed fairly good interfacial adhesion(5B grade, ASTM D3359) . The shielding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 showed 95dB. The shielding effect depends on the fabric structure, the surface structure, and the cross sectional shape of fibers. The dense fabric structure, the etched surface like a microcrater, and the trigonal cross sectional shape were prefered.

  • PDF

UV-Degradation Chemistry of Oriental Lacquer Coating Containing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 홍진후;박미영;김현경;최정오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1호
    • /
    • pp.61-64
    • /
    • 2000
  • FT-IR/ATR analysis shows that the oriental lacquer coating network degrades mostly in the unsaturated side chain. The rate of increase in carbonyl intensity (a measure of photodegradation) during the accelerated weathering test was substantially different for the unstabilized and stabilized samples; adding 2 wt% HALS into the oriental lacquer formulation enhanced photostabilization up to three times. Weight loss measurements, another indication of photodegradation, and SEM analysis support this conclusion. Despite the presence of the photo-stabilizer, the other properties of the lacquer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particular, the curing behavior of purified lacquer (PL) and HALS-stabilized samples is similar, although the in-situ DETA analysis showed that addition of HALS can slightly retard the cure reaction rate in oriental lacquer coating. It is hypothesized that this cure retardation may be related to the salt formation between HALS and acid of oriental lacquer.

알곤 플라즈마처리에 의한 폴리에틸랜 표면상의 아크릴산 고정화와 그라프팅 (Immobilization and Grafting of Acrylic Acid on Polyethylene Surface by Ar-plasma Treatment)

  • 김민정;서은덕
    • 폴리머
    • /
    • 제26권2호
    • /
    • pp.279-286
    • /
    • 2002
  • 기능성고분자표면으로 개질하기 위해서 polyethylene(PE)표면에 아크릴산을 알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고정화와 그라프팅을 행하고 고정화와 그라프딩에 의한 개질효과를 ATR적외선스펙트럼의 분석, 접촉각과 접착강도 측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아크릴산의 특성흡수띠와 접촉각의 현저한 감소사실로부터 친수성개질을 평가하였다. 그라프팅된 PE의 접촉각은 플라즈마처리시간에 따라서 무처리 PE에 비하여 47~$53^{\circ}$ 감소하였고 고정화된 PE는 이보다 작은 23~$26^{\circ}$ 감소하여 그라프팅이 고정화보다 더 효과적인 친수화 수단이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표면친수화의 정도는 플라즈마 처리시간과 방전출력에 강하게 의존하였다. 그라프팅의 경우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더욱 친수화되지만 고정화의 경우는 처리시간의 증가와 방전출력의 증가는 오히려 친수성을 감소시켰다. 개질된 PE표면의 peel test에 의한 접착강도측정 전파 역시 접촉각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고정화과정 중에 아크릴산이 ablation되어 표면의 카복시친수성기가 감소하는 현상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안동 봉황사 삼세불 제작에 사용된 섬유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ibers of Samsebul (Triple Buddha Statues) at Bonghwangsa in Andong)

  • 조경실;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7-303
    • /
    • 2012
  • 안동 봉황사의 삼세불(三世佛)은 대웅전 후불탱화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4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탱화들은 조선시대 삼세불화 연구의 기준이 되는 작품으로 귀중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탱화가 그려진 바탕직물의 섬유에 대해 현미경 관찰 및 용해법과 감쇠 전반사이용 적외분광분석법, 주사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섬유의 재질을 동정하였다. 실험을 위해 보존처리과정 중 수거된 약사불 시료 2점(A, B), 석가불 시료 1점(C), 아미타불 시료 1점(D)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료들에 대해 기존의 문화재 명칭에는 삼베로 기록되어 있었다. 열화가 심하고 두꺼운 먼지층을 형성하고 있어 육안으로는 감별이 어려웠으나 본 실험을 통하여 약사불 시료1점(A)을 제외하고는 모두 견직물임을 알 수 있었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 제조를 위한 지르코니아 표면의 소수화 개질 연구 (Study on the hydrophobic modification of zirconia surface for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s)

  • 이수;문성진;박정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60-270
    • /
    • 2017
  • 백색을 띄고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지르코니아는 열전도도가 낮고 강도와 인성, 내식성이 우수하여 단열재, 내화물과 같은 고온 재료와 각종 산업용 구조세라믹스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르코니아를 낮은 경도 및 굴절률 등과 같은 단점을 가진 고분자 코팅제에 도입하게 되면 화학적, 전기적, 광학적인 특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유기 소재에 무기 소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을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표면에 trimethylchlorosilane(TMCS)과 hexamethyldisilazane(HMDZ)을 사용하여 실릴화반응을 통한 $-CH_3$기를 도입하여 소수성을 나노지르코니아 표면에 도입하였다. 소수화된 지르코니아 표면에서의 TMCS와 HMDZ에 의해 도입된 $Si-CH_3$의 존재는 FT-IR ATR spectroscopy를 통해 확인하였고, silicon 원소의 존재를 FE-SEM/EDS와 ICP-AES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개질 전후의 지르코니아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분산하여 침강속도를 확인하여 분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르코니아 입자의 크기 및 분포는 입도 분석기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BET 분석을 통해 개질 반응 전후의 비표면적은 $18m^2/g$ 정도로 큰 변화가 없었다.

표면 개질된 지르코니아를 함유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액으로 도포된 PET 필름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ET films coated with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system containing surface modified zirconia)

  • 이수;김상엽;김영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95-605
    • /
    • 2018
  • 최근 우수한 유연성과 화학적 안정성 등을 가진 고분자 수지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등을 나타내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 시스템으로써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필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써 사용된 o-phenylphenoxyethyl acrylate (OPPEA)는 1.576의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고,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BAEDA)는 굴절률은 낮지만 경화된 고분자의 경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무기 소재로써 사용된 지르코니아는 산화지르코늄으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광학특성 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BAEDA의 함량을 조절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연필 경도계와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광학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고, UV-vis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해 투과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실란 커플링제인 ${\gamma}$-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S)를 사용하여 지르코니아를 소수화 처리하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질 전후의 물에 대한 분산성 변화를 조사하여 물에 대한 친화력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고, FT-IR ATR spectrophotometer를 통해 MPS에 의해 도입된 $1716cm^{-1}$에서의 에스터 C=O 결합 peak의 존재를 통해 MPS에 의한 지르코니아 표면의 개질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르코니아의 표면에 도입된 규소 원자의 존재는 X 선 형광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화학적으로 개질된 지르코니아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도입하여 광경화 필름을 제조하였을 때, 굴절률은 아크릴레이트 자체 필름보다 1.2%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고, SEM/EDS mapping 분석을 통해 PET 필름에 코팅된 개질 후 지르코니아가 아크릴레이트 코팅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MPA의 함량이 우레아 수지의 수분산 안정성과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MPA Contents on the Water Dispers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Urea Resin)

  • 박재철;김동수;이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28-1135
    • /
    • 2019
  • 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민의 빠른 반응성으로 인해 고가의 전용 도포 설비가 있어야만 시공이 가능하였던 우레아 수지를, 일반적인 도포 설비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수분산 상태의 우레아 수지를 합성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분자량과 관능기의 수가 다른 폴리이서 아민과 다이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수분산 우레아 수지 합성 조건을 찾고, 2차적으로 DMPA [2,2-Bis(hydroxymethyl)propanoic acid]의 함량이 수분산 우레아 수지의 수분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우레아기의 형성은 FT-IR ATR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수분산 우레아수지의 기계적 물성은 분자량과 관능기 수가 다른 폴리이서 디아민과 폴리이서 트리아민을 함께 투입한 PU-4와 PU-6 배합의 경우, 각각 인장강도가 10.5 N/㎟, 12.7 N/㎟ 및 신장률이 1165 %, 969 %로 우수하였다. 또한, 인장강도가 가장 높은 PU-6 배합에 DMPA을 0.5 몰 첨가하여 합성한 후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수분산 우레아 수지가 14.2 N/㎟의 인장강도와 993 %의 신율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8 주 동안의 저장안전성 평가에서도 수분산 상태가 가장 안정하게 유지되었다.

비드형 이온교환체의 합성 및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선택 흡착 특성 (Synthesis of Bead Type lon Exchangers and Selective Adsorption Properties of Carbonyl Compounds in Cigarette Mainstream Smoke)

  • 이존태;박진원;이문수;황건중;황택성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74-80
    • /
    • 2005
  •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감소를 위한 필터 물질로 비드 형상의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체를 glycidylmethacrylate(GMA)와 d9ivinylbenzene(DVB)의 현탁중합에 의해 중합체를 합성한 후 설폰화 반응 및 아민화 반응에 의해 합성하였다. 합성한 이온교환체의 구조는 FT-IR/AT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주류연 흡착에 따른 이온교환체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온교환용량, 관능화율 및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화합물의 흡착 특성을 확인하였다. 관능화율과 이온교환용량은 공단량체 중 DVB의 함량이 5 wt%에서 최대를 나타내었다. 이온교환체에 의한 담배 주류연 중 카보닐 흡착량은 카보닐기 내의 전자 편재화에 의한 음이온교환반응이 더 용이하여 음이온교환체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존재 시 더 많은 흡착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짧은 접촉 시간에서도 높은 흡착량을 가지고 있어 궐련 필터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fermentation on protein profile of coffee by-products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ernal protein structure measured by vibrational spectroscopy

  • Samadi;Xin Feng;Luciana Prates;Siti Wajizah;Zulfahrizal;Agus Arip Munawar;Peiqiang Yu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8호
    • /
    • pp.1190-1198
    • /
    • 2023
  • Objective: To our knowledge,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structure of fermented products and nutrient delivery from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in the ruminant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was to use advanced mid-infrared vibrational spectroscopic technique (ATR-FT/IR) to reveal interac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internal structure and ruminant-relevant protein and energy metabolic profiles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affected by added-microorganism fermentation duration. Methods: The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were fermented using commercial fermentation product, called Saus Burger Pakan, consisting of various microorganisms: cellulolytic, lactic acid, amylolytic, proteolytic, and xylanolytic microbes, for 0, 7, 14, 21, and 28 days. Protein chemical profiles, Cornell Net Carbohydrate and Protein System crude protein and CHO subfractions, and ruminal degradation and intestinal digestion of protein were evaluated. The attenuated total reflectance-Ft/IR (ATR-FTIR) spectroscopy was used to study protein structural features of spectra that were affected by added microorganism fermentation duration. The molecular spectral analyses were carried using OMNIC software. Molecular spectral analysis parameters in fermented and non-fermented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included: Amide I area (AIA), Amide II (AIIA) area, Amide I heigh (AIH), Amide II height (AIIH), α-helix height (αH), β-sheet height (βH), AIA to AIIA ratio, AIH to AIIH ratio, and αH to βH rati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structure spectral profiles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and protein related metabolic features in ruminant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Fermentation decreased rumen degradable protein and increased rumen undegradable protein of by-products from coffee processing (p<0.05), indicating more protein entering from rumen to the small intestine for animal use. The fermentation duration significantly impacted (p<0.05) protein structure spectral features. Fermentation tended to increase (p<0.10) AIA and AIH as well as β-sheet height which all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otein level. Conclusion: Protein structure spectral profiles of by-product form coffee processing could be utilized as potential evaluators to estimate protein related chemical profile and protein metabolic characteristics in ruminant system.

고온 (300~1000 ℃)에서 티타늄 금속시편의 표면 산화거동 (Oxidation behavior on the surface of titanium metal specimens at high temperatures (300~1000℃))

  • 박양순;한선호;송규석
    • 분석과학
    • /
    • 제22권6호
    • /
    • pp.464-470
    • /
    • 2009
  • 온도에 따른 티타늄금속의 산화거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금속시편을 각각의 온도($300{\sim}1000^{\circ}C$)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생성된 산화시편의 표면에 대하여 X-선 회절(XRD)분석, 주사전자현미경 (SEM)/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분석과 감쇠된 전반사(ATR) Fourier 변환 적외선(FT-IR) 분광 분석을 수행하였다. $300^{\circ}C$에서 대기 중의 산소가 티타늄 금속(hexagonal) 표면층으로 확산되어 적외선 흡수띠가 검출되었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확산되는 산소 양이 증가하여 적외선 흡수띠와 X-선 회절 피크의 이동(shift) 현상이 나타났고 $700^{\circ}C$에서 XRD에 의해 $Ti_3O$ (hexagonal)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티타늄 금속 표면에 $TiO_2$ (rutile, tetragonal) 산화층이 생성되기 시작한 온도는 $600^{\circ}C$ 이었으며 이때 두께가 $1{\mu}m$ 이하 수준이었으나 $700^{\circ}C$에서는 약 $2{\mu}m$로 두꺼워졌고 $1000^{\circ}C$에서는 약 $110{\mu}m$ 두께에 달했다. 또한 $9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TiO_2$ (rutile) 산화층 표면은 (110) 면의 방향으로 결정이 성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