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P

검색결과 1,823건 처리시간 0.039초

관상동맥 질환 진단에서 ATP부하 T1-201 심근 관류 SPECT의 안전성과 유용성 (Safety and Feasibility of Thallium-201 Myocardial SPECT with Intravenous Infusion of Disodium Adenosine Triphosphate (ATP)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 배문선;박찬희;윤석남;김원;김한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0-258
    • /
    • 1998
  • 목적 : ATP는 작용 시간이 빠르고 반감기가 짧은 효과적인 관상동맥 확장제로 알려져 있어 이를 심근관류 SPECT의 부하 약물로 사용 할 때에 부작용의 빈도와 안전성, 그 진단적 가치에 대해 알아 보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는 3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ATP 부하(0.08 mg/kg/ min for 6min) T1-201 심근관류 SPECT를 실시하여 그 부작용을 조사하고 관상동맥 조영술과 비교하였다. 결과: 76.5%의 환자에서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일시적이고 경미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ATP 주입을 끝낼 수 있었고 aminophylline이 필요했던 환자는 2명이었다. 관상동맥 조영술과 비교한 결과, 예민도 80%, 특이도 90% 였다. 결론: 6분간 0.08mg/kg/min의 ATP 주입 용량을 사용한 본 연구 결과에서 ATP 부하 심근관류 SPECT는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에서 adenosine이나 dipyridamole을 이용했을 때보다 부작용의 발생 빈도 및 부작용의 정도가 낮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진단 성능도 동등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yanidin-3-glucoside Inhibits ATP-induced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ROS Formation an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in PC12 Cells

  • Perveen, Shazia;Yang, Ji Seon;Ha, Tae Joung;Yoon, Shin 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4호
    • /
    • pp.297-305
    • /
    • 2014
  • Flavonoids have an ability to suppress various ion channels. We determined whether one of flavonoids, cyanidin-3-glucoside, affects adenosine 5'-triphosphate (ATP)-induced calcium signaling using digital imaging methods for intracellular free $Ca^{2+}$ concentration ([$Ca^{2+}$]i),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PC12 cells. Treatment with ATP ($100{\mu}M$) for 90 sec induced [$Ca^{2+}$]i increases in PC12 cells. Pretreatment with cyanidin-3-glucoside ($1{\mu}g/ml$ to $100{\mu}g/ml$) for 30 min inhibited the ATP-induced [$Ca^{2+}$]i increas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C_{50}=15.3{\mu}g/ml$). Pretreatment with cyanidin-3-glucoside ($15{\mu}g/ml$) for 30 m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TP-induced [$Ca^{2+}$]i responses following removal of extracellular $Ca^{2+}$ or depletion of intracellular [$Ca^{2+}$]i stores. Cyanidin-3-glucosid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latively specific P2X2 receptor agonist 2-MeSATP-induced [$Ca^{2+}$]i responses. Cyanidin-3-glucosid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thapsigargin or ATP-induced store-operated calcium entry. Cyanidin-3-glucosid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TP-induced [$Ca^{2+}$]i responses in the presence of nimodipine and ${\omega}$-conotoxin. Cyanidin-3-glucosid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KCl (50 mM)-induced [$Ca^{2+}$]i increases. Cyanidin-3-glucoside significantly inhibited ATP-induce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The intracellular $Ca^{2+}$ chelator BAPTA-AM or the mitochondrial $Ca^{2+}$ uniporter inhibitor RU360 blocked the ATP-induce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in the presence of cyanidin-3-glucoside. Cyanidin-3-glucoside blocked ATP-induced formation of ROS. BAPTA-AM further decreased the formation of ROS in the presence of cyanidin-3-glucoside.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anidin-3-glucoside inhibits ATP-induced calcium signaling in PC12 cells by inhibiting multiple pathways which are the influx of extracellular $Ca^{2+}$ through the nimodipine and ${\omega}$-conotoxin-sensitive and -insensitive pathways and the release of $Ca^{2+}$ from intracellular stores. In addition, cyanidin-3-glucoside inhibits ATP-induced formation of ROS by inhibiting $Ca^{2+}$-induced mitochondrial depolarization.

Ad-hoc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를 지원하는 ATP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 Multi-path ATP Protocol at Ad-hoc Networks)

  • 이학주;장재신;이종협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23-131
    • /
    • 2009
  • 무선 네트워크의 특징들 중에 노드들은 이동성을 가지며, 제한된 대역폭과 대역폭의 변화, 높은 지연시간과 지연시간의 변화, 무선랜덤오류를 가지며 경로의 연결이 자주 단절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의 특징들이 무선 네트워크에서 유선 네트워크용 TCP를 사용 할 때에 성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현재 무선 네트워크에 적절한 전송 프로토콜은 계속 연구 중이며, 기존에 연구된 연구 결과들은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며, 특정한 환경에서만 좋은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 알맞은 전송프로토콜을 연구하고 제안하기 위해 기존의 TCP 프로토콜과 이미 제안된 무선 전달계층용 프로토콜들을 분석한 뒤 성능이 더욱 우수한 무선 전달계층용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 다중경로를 사용하여 기존 연구가 경로의 연결이 끊기고 연결이 재설정될 때까지 전송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해결한다. 이를 위해 TCP를 무선 환경에 적합하게 수정한 ATP(A reliable Transmission Protocol)와 TCP를 다중경로를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는 TCP-M 방식을 기반으로 ATP-M을 제안하였다. 성능이 더욱 개선되고 다중경로를 지원하는 ATP-M 프로토콜이 기존의 TCP, TCP-M, ATP보다 처리량이 우수함을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인다. 또한 다중경로 ATP-M에서 다중경로 개수에 따른 성능평가를 통하여 적절한 다중경로 개수를 찾는다.

Analysis of Double Stranded DNA-dependent Activiti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RecA Protein

  • Kim, Jo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5호
    • /
    • pp.508-514
    • /
    • 2006
  • In this study, the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ctivities of Deinococcus radiodurans RecA protein (Dr RecA) were characterized. The interactions of the Dr RecA protein with double-stranded DNA were determined, especially dsDNA-dependent ATP hydrolysis by the Dr RecA protein and the DNA strand exchange reaction, in which multiple branch points exist on a single RecA protein-DNA complex. A nucleotide cofactor (ATP or dATP ) was required for the Dr RecA protein binding to duplex DNA. In the presence of dATP, the nucleation step in the binding process occurred more rapidly than in the presence of ATP. Salts inhibited the binding of the Dr RecA protein to double-stranded DNA.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TPase activities showed a different sensitivity to anion species. Glutamate had only a minimal effect on the double-stranded DNA-dependent ATPase activities, up to a concentration of 0.7 M. In the competition experiment for Dr RecA protein binding, the Dr RecA protein manifested a higher affinity to double-stranded DNA than was observed for single-stranded DNA.

틸팅열차용 ATP 차상장치의 인터페이스 연구 (The Study of ATP Onboard System Interface for Tilting Train)

  • 백종현;김용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84-186
    • /
    • 2008
  •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서울-부산 간 운행시간이 새마을호 기준 4시간 30분에서 2시간으로 단축되는 등 획기적인 시간 절감을 이루었으나 이는 고속철도가 운행되는 지역에 국한된 것이다. 이에 고속철도 비 수혜지역의 운행시간 단축을 위해 기존선 속도향상이 요구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틸팅열차를 개발하여 시운전 10만Km를 목표로 시험운행중이다. 또한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이와 유사한 목적으로 기존선 신호시스템인 ATS 시스템을 차상신호시스템(ATP)으로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틸팅열차에는 기존의 ATS(자동열차정지장치) 차상장치만을 장착하여 차량의 성능 확인을 위한 시험 및 시운전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러한 ATS 차상장치는 160km/h 이하의 속도에서만 본연의 기능이 유지되고,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틸팅열차의 목표속도인 200km/h에서 적합하게 시험하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한국철도공사에서 추진하고 있는 ATP 구축사업의 지상설비와 연계될 수 있는 ATP 차상장치를 설치하여 시험을 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틸팅열차와 ATP 차상장치와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Modulation of Cardiac ATP-Sensitive $K^+$ Channels Via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s During Ischemic Preconditioning

  • Han, Jin;Kim, Nari;Seog, Dae-Hyun;Kim, Euiy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33-42
    • /
    • 2002
  • In several species, a short period of ischemic preconditioning protects the heart by reducing the size of infarcts resulting from subsequent prolonged bouts of ischemia. The mechanism by which activation of ATP-sensitive $K^+$($K_ATP$) channels could provide the memory associated with ischemic preconditioning is still under debate. Several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have been implicated in the mechanisms of protection induced by ischemic preconditioning. The exact receptor-coupled pathways involved in preconditioning remain to be identified. Likely extracellular agonists are those whose circulating levels increase under conditions that activate $K_ATP$ channels; these conditions include ischemia and ischemic preconditioning. Potential physiological agonists include the following: (1) nitric oxide; (2) catecholamine; (3) adenosine; (4) acetylcholine; (5) bradykinin and (6) prostacyclin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biological signal transduction mechanism acts as a link in one or more known receptor-mediated pathways to increase $K_ATP$ channel activity during ischemic preconditioning.

  • PDF

Block of ATP-Sensitive $K^+$ Channels Expressed in Xenopus Oocytes by Dimethyl Sulfoxide

  • Park, Jin-Bong;Chae, Soo-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5권2호
    • /
    • pp.157-163
    • /
    • 2001
  • The effects of dimethyl sulfoxide (DMSO) were studied in two groups of Xenopus oocytes, one expressing ATP sensitive $K^+\;(K_{ATP})$ channel comprised of sulfonylurea receptor SUR1 and inwardly rectifying $K^+$ channel subunit Kir6.2, and the other expressing renal $K_{ATP}$ channel ROMK2. At concentrations of $0.3{\sim}10%$ (vol/vol) DMSO inhibited whole cell Kir6.2/SUR1 currents elicited by bath application of sodium azide (3 mM)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inhibition constant and Hill coefficient were 2.93% and 1.62, respectively. ROMK2 currents, however,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DMSO. Th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DMSO inhibits $K_{ATP}$ channel expressed in Xenopus oocyte through a protein-specific mechanism(s) that remains to be further elucidated.

  • PDF

통증 신호 전달에 있어서 ATP의 역할 (The Role of the ATP in the Pain Signal Transmission)

  • 구현모;남기원;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4호
    • /
    • pp.20-27
    • /
    • 2002
  • A role for ATP in nociception and pain induction was proposed. ATP-gated P2X ion channel receptors are localized throughout the nervous system and have been identified on neurons which participate in conduct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from the periphery to central nervous system. We consider the role of ATP as a peripheral activator of nociceptive sensory neuron via ATP-gated ion channels.

  • PDF

ATP-Induced Apoptosis of Human Luteinized Granulosa Cells: a Role of Mitochondria

  • 김미란;박동욱;김영아;조태섭;황경주;민철기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1년도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 /
    • pp.32-36
    • /
    • 2001
  • 난소의 재형성 과정은 난소 내 여러 조절인자들에 의해 조절되는 성장 및 퇴행 과정을 반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황체는 주기적 성장과 퇴행을 보이며 과립세포의 세포자멸사 (apoptosis)를 통해 황체의 퇴행이 일어나게 된다지. 이러한 세포자멸사 과정은 난소의 정상 생리에 매우 중요하다. ATP 는 자율신경으로부터 세포외 유출을 통해 분비되어 근육 수축, 신경전달체계, 외분비 및 내분비 호르몬의 분비, 면역반응, 염증, 혈소판 응집, 동통 및 심장기능의 조절 등 매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작용은 세포 표변에 존재하는 purinoceptor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TP는 일반적으로 세포 내에서는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나 세포외부에 존재하는 ATP의 경우에는 조절물질로 작용하여 어떤 세포에 있어서는 세포용해를 일으키기도 하며, 어떤 세포에서는 세포자멸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세포 내에 존재하는 ATP는 세포의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살아있는 세포에서는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세포 외에 존재하는 ATP는 말초신경계 혹은 중추신경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고 있다. (중략)

  • PDF

Disruption of ATP binding destabilizes NPM/B23 and inhibits anti-apoptotic function

  • Choi, Joung-Woo;Lee, Sang-Bae;Ahn, Jee-Yin;Lee, Kyung-Hoon
    • BMB Reports
    • /
    • 제41권12호
    • /
    • pp.840-845
    • /
    • 2008
  • Nucleophosmin/B23, a major nucleolar phosphoprotein, is overexpressed in actively proliferating cell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B23 exclusively localizes in the nucleolus, whereas ATP depletion results in the redistribution of B23 throughout the whole nucleus and destabilizes B23 via caspase-3 mediated cleavage. Interestingly, ATP binding precedes PI(3,4,5)P3 binding at lysine 263 and ATP binding mutants fail to restore the anti-apoptotic functions of B23 in PC12 cells. Thus, the ATP-B23 interaction is required for the stability of the B23 protein and regulates cell survival, confining B23 within the nucleolus in PC12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