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K Modulation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9초

가우스성 잡음과 임펄스성 잡음이 혼재하는 다중전파 페이딩 전송로상에서의 제반 디지털 통신 시스템 특성의 종합분석 및 비교에 관한 연구(제 1 부) (Comprehensive Performance Analysis and Comparison of variou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in an Multipath Fading Channel with additive Mixture of Gaussian and Impulsive Noise [Part-1])

  • 김현철;고봉진;공병옥;조성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63-279
    • /
    • 1989
  • 본 논문의 제 1 부에서는 대표적인 제반 디지털 통신시스템, 즉, 진폭변조(ASK), 직교진폭변조(QAM), 동기위상변조(CPSK), 차동위상변조(DPSK), 주파수변조(FSK), 및 최소편이 주파수변조(MSK) 시스템이 가우으성 잡음과 임펄스성 잡음이 존재하는 채널 환경하에서 신호가 영향을 받았을 때의 오율에 관한 식을 유도하여 반송파 전력대 잡음전력비(CNR), 임펄스지수 및 임펄스성 잡음전력에 대한 가우스성 잡음전력비를 함수로 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구했다. 각 시스템의 열화 특성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임펄스성 잡음이 가우스성 잡음보다 시스템의 성능을 얼마나 더 열화시키는가를 알 수 있게 했다.

  • PDF

RFID System의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f RFID System)

  • 함정기;권오흥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42-545
    • /
    • 2006
  • RFID는 각종 서비스 산업은 물론 물류, 산업 현장, 제조 공장과 물품의 흐름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적용이 가능하여 사회 여러 분야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 900MHz 대역의 RFID에서 사용하는 ISO18000-6의 프로토콜에서는 에러검출을 위한 CRC16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에러정정능력을 갖추지 못해 그 신뢰성이 매우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RFID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Reader에서 Tag로의 데이터 전송 시에 대역확산방식과 컨볼루션 부호를 적용하여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방식을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때의 에러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 PDF

GSFM 펄스를 이용한 다중 수직지향각 기반 선체고정소나 능동 표적 탐지 (Multiple vertical depression-based HMS active target detection using GSFM pulse)

  • 홍정표;조점군;김근환;이균경;윤경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5
    • /
    • 2020
  • 수중표적의 저소음화로 표적의 방사소음이 감소함에 따라 수동소나의 한계가 나타나면서 신호를 송신하고 표적 반사 신호를 탐지하는 능동탐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체고정소나(Hull-Mounted Sonar, HMS)를 이용한 능동탐지 시 음파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구역을 줄이기 위해 수직지향각을 조정하면서 다수의 Linear Frequency Modulation(LFM) 부펄스를 대역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송신한다. 하지만 최근에 Sinusoidal Frequency Modulation(SFM)의 일반화된 형태인 Generalized SFM(GSFM) 펄스가 제안되었고,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GSFM 부펄스 간에 직교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SFM을 선체고정소나의 다중 수직지향각 능동탐지에 활용함으로써 부펄스의 대역폭 사용을 극대화 하여 신호처리 이득에 따른 능동탐지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부펄스가 3개일 때, GSFM이 LFM 대비 약 5 dB 정도의 정합필터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돌고래 휘슬을 이용한 지연시간 기반 생체 모방 통신 기법 (A biomimetic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time shift using dolphin whistle)

  • 이호준;안종민;김용철;이상국;정재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580-58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은밀하게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돌고래 휘슬음을 모방한 통신 기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SS(Chirp Spread Spectrum) 변조 기법은 돌고래 휘슬음을 정해진 시간 단위에 따라 여러 슬롯으로 나누고 각 슬롯에 상향 및 하향 처프 신호를 통해 변조하는 기법이다. 이에 따라 본래의 돌고래 휘슬음과의 시간-주파수 특성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모방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변조 기법을 제안하였다. 전산 모의실험 결과 기존의 CSS 변조 기법에 비해 제안 방법의 비트오류율 성능이 약 3.5 dB ~ 8 dB 우수하였으며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상호 상관도를 통한 모방 성능 평가에서도 CSS 변조 기법에 비해 우수한 것을 보였다.

소노부이 신호 송수신을 위한 오토인코더 기반 신호 변복조 기법 (Autoencoder-based signal modulation and demodulation method for sonobuoy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 박진욱;석종원;홍정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61-467
    • /
    • 2022
  • 소노부이는 수중 음향 정보를 수집하는 일회용 장치로 특정지역에서 수집된 신호를 주변의 항공기 또는 함정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임무를 완수하면 해저로 가라앉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소노부이 신호 송·수신 시스템의 경우 주파수 분할 다중화나 가우시안 주파수 편이와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신호를 변·복조하여 송·수신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전송해야할 정보의 양이 많고 변조와 복조방법이 비교적 단순하여 보안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토인코더를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저차원의 잠재 벡터로 변조하여 잠재 벡터를 항공기 또는 함정으로 전송하고 수신한 잠재벡터를 복조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전송정보량을 기존 전송방법 대비 약 100배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으로 복원된 샘플 스펙트로그램을 확인한 결과 저차원의 잠재 벡터로부터 원본 신호 복원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SK 변조방식이 수중통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PSK Modulation Methods in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 조진수;정승백;심태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66-374
    • /
    • 2007
  • 수중에서 무선통신이 기존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단거리통신에 국한되었으나 최근 고주파를 이용한 장거리 통신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음성뿐만이 아니라 각종 데이터나 고화질 영상자료의 송수신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중에서 디지털 변조방식의 차이에 따라 실제 수중통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의 환경 하에서 PSK기반의 변조방식(BPSK, QPSK, MSK, GMSK)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한 결과 GMSK만이 큰 차이를 보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SNR을 35dB이하로 하고 부산 남방에 위치한 207-선(한국해양자료센타)의 15Km 구간을 모의하여 음성통신과 영상자료를 전송실험한 결과 음성통신시($10^{-2}$BER, 채널용량 1Kbps기준)는 약 8Km의 거리 차이를, 그리고 영상자료($3{\times}10^5$ 화소, 화소 당 정보량 4bit) 전송시는 BPSK, QPSK, MSK 는 60Kbps, GMSK는 45Kbps의 전송율을 확보하여 약 7초의 전송시간 차이가 생김을 확인하였다.

H-대역(220~325 GHz) 주파수를 이용한 1.485 Gbps 비디오 신호 전송 송수신기 (H-Band(220~325 GHz)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an 1.485 Gbit/s Video Signal Transmission)

  • 정태진;이원희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45-353
    • /
    • 2011
  • H-대역(220~325 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구현하였으며, 1.485 Gbps 비디오 신호 전송을 국내 최초로 시연하였다. H-대역의 RF front-end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기술을 이용한 서브 하모닉 믹서, 주파수 3배기, 대각선 혼 안테나로 구성하였다. 송신 및 수신 캐리어 주파수는 H-대역 중에서 246 GHz를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서브 하모닉 믹서의 LO 주파수는 각각 120 GHz, 126 GHz이다. 변조 방식은 ASK(Amplitude Shift Keying), IF 주파수는 5.94 GHz이며, 수신기는 헤테로다인 구조와 ZBD(Zero Bias Detector) 두 방식 모두를 이용하여 envelop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HD-SDI 형식을 갖는 1.485 Gbps 비디오 신호를 송신기 출력 20 ${\mu}W$에서 약 5 m까지 성공적으로 HDTV로 전송하였다.

UHF 대역 RFID 리더의 순방향 링크 신호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Forward Link Signal for the UHF RFID Reader)

  • 김도윤;장병준;윤현구;박준석;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02-61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MATLAB를 이용하여 UHF RFID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를 구현하고, 구현된 모델을 통해 국내 RFID 기술 기준인 200 kHz 채널 대역폭을 만족하기 위한 순방향 디지털 필터의 설계 변수와 송신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구현된 순방향 링크 모델은 PIE 소스 코딩과 디지털 송신 필터, 변조 블록, 국부 발진기 및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서 EPCglobal class 1 generation 2(EPCglobal C1G2) 규격의 변조 방식과 Tari값에 따른 디지털 송신 필터의 roll-off factor, 차단 주파수, 탭 수의 사용 가능 범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변조 방식이 다중 리더 환경 및 밀집 리더 환경에 따라 EPCglobal C1G2 규격의 시간 영역 파형과 스펙트럼 마스크에 대한 만족 여부를 확인한 결과, 다중 리더 환경에서 Tari값 $6.25{\mu}sec$의 경우는 DSB/SSB-ASK 변조방식을 국내 채널 규격에 맞춰 사용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RFID 리더 제작 시 국내 기술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설계 지침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향후 다중 리더 및 밀집 리더 환경에서 주파수 간섭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선행 연구라 판단된다.

MTF-STI를 이용한 유리창 도청음의 명료도 분석 (Intelligibility Analysis on the Eavesdropping Sound of Glass Windows Using MTF-STI)

  • 김희동;김윤호;김석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5
    • /
    • 2007
  • 음향 공동-유리창 연성계를 대상으로 도청음의 음성 명료도를 검토한다. MLS신호를 음원으로 유리창의 가속도와 속도 응답을 가속도계와 레이저 도플러 진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변조전송함수 (MTF)를 사용하여 공동-유리창 진동계의 음성전달특성을 규명한다. 변조전송함수에 근거하여 음성전송지수 (STI)를 구하고, 유리창 진동음의 음성명료도를 평가한다. 가속도음과 속도음의 음성명료도를 비교하고, 최종적으로 대화음의 명료도를 주관적 평가로 확인한다.

유리창의 레이저 탐지음에 대한 음성명료도 분석 (Speech Intelligibility Analysis on the Laser Detected Sound of the Glass Windows)

  • 김석현;이현우;김희동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7-13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두께의 유리창을 대상으로 레이저 원격 도청 가능성을 검토한다. MLS 신호음을 사용하여 유리창을 진동시키고 레이저 도플러센서로 진동음을 탐지한다. 탐지된 진동음으로부터 음성정보의 인식 수준인 음성명료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평가에는 변조전송함수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음성전송지수를 사용한다. 또한, 외부 스피커와 유리창 교란기로 각각 교란파를 발생시켜, 배경소음과 도청방지기의 음성명료도에 대한 교란효과를 평가한다. 다양한 두께의 유리창을 대상으로 레이저 원격 도청음의 음성인식 수준과 국산 도청 방지장치의 도청방지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