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RIL protein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9초

내과계 중환자의 영양공급 현황 및 영양상태 변화 (Degree of Nutritional Support and Nutritional Status in MICU Patients)

  • 지수나;고재영;이수하;임은화;권국환;윤미선;김은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5호
    • /
    • pp.384-39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nutritional support in patients treated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MICUs) by evaluating the extent of current nutritional support using the patient care plan and considering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the amount of nutrition supplied. From April to December 2010, 114 patients (age ${\qeq}$ 18 years) admitted to the MICU and who underwent nutritional support for > 5 days were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the 114 patients received nutritional support within 1.2 ${\pm}$ 0.7 days and for 16.2 ${\pm}$ 11.7 days in the MICUs. The total delivered/required caloric ratio was 81.08 ${\pm}$ 27.31%, and the protein ratio was 80.32 ${\pm}$ 28.93%. Patients who received > 80% of required calories and protein showed improved nutritional status (p < 0.05). The results showed that adequate nutritional support is crucial to critically ill patients. We suggest early nutritional screening using simple tools such as periodic monitoring and management to recalculate nutritional status and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nutritional support using a multidisciplinary method. Systematic nutritional support teams are needed to provide adequate nutritional support for patients in the MICU.

Modification of nutrition strategy for improvement of postnatal growth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Choi, Ah Young;Lee, Yong Wook;Chang, Mea-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4호
    • /
    • pp.165-173
    • /
    • 2016
  •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modified parenteral nutrition (PN) and enteral nutrition (EN) regimens on the growth of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VLBW infants weighing <1,500 g, admitted t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2010 and April 2014, who were alive at the time of discharge. Subjects were divided according to 3 periods: period 1 (n=37); prior to the PN and EN regimen being modified, period 2 (n=50); following the PN-only regimen modification, period 3 (n=37); following both PN and EN regimen modification. The modified PN regimen provided 3 g/kg/day of protein and 1 g/kg/day of lipid on the first day of life. The modified EN regimen provided 3.5-4.5 g/kg/day of protein and 150 kcal/kg/day of energy. We investigated growth rat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t 40 weeks postconceptional age (PCA) and the incidence of 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EUGR) at 40 weeks PCA. Results: Across the 3 periods,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stational ag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t birth, multiple births, sex, Apgar score, surfactant use and PDA treatment, were similar. Growth rates for weight and height, from time of full enteral feeding to 40 weeks PCA, were higher in period 3.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t 40 weeks PCA were greatest in period 3. Incidence of weight, height and head circumference EUGR at 40 weeks PCA decreased in period 3. Conclusion: Beginning PN earlier, with a greater supply of protein and energy during PN and EN, is advantageous for postnatal growth in VLBW infants.

수집 재래 검정콩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Black Soybean Seeds Collected in Korea)

  • 김석동;김용호;홍은희;이홍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
    • /
    • 1993
  • 우리나라에서는 특수한 용도로 이용되어온 수집 검정콩 및 기타 유색콩 1,081점에 대한 종실의 주요 품종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종실의 화학적 조성과 이와 관련된 몇가지 형질들에 관한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수집 검정콩 유전자원 1,081점의 조단백, 조지방, 전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 함량 변이는 34.1 ~ 48.0% (평균 39,8%), 조지방은 14.1~ 23.8 (평균 20.1%)이었으며 전당함량은 8.3~12.1% (평균 10.1%)의 변이를 보였다. 이들 화학성분을 성숙군별로 나누어 비교하면 대체로 조생종일수록 조단백 함량치가 높은 반면 전당은 만생종일수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녹색자엽을 가진 수집종이 황색자엽 보다 종실의 당함량이 높고, 소비자의 선호도도 높아 밥및콩 육성시 중요한 형질일 것으로 판단된다. 수원 15005 등 5계통의 평균 지방산 중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 비율은 84%였다.

  • PDF

광주지역 영유아의 영양실태 (Infant Feeding Practices in Kwangju Area)

  • 노희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8-54
    • /
    • 1994
  • The survey on feeding practice in 202 infants in Kwangju area was undertaken from April to May, 1993. The incidence of breast feeding was 35.6% of the interviewed mothers while 35.1% of infants were formula fed. Baby's sex, birth order, birth weight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did not affect the infant's feeding method of the respondents , but family's monthly income affect it significantly(p<0.05). Initiating time f weaning in infants was 4.83 month. Fruits and fruit juice, infant's most favorite food were the first food introduced to infants. Cereal's were offered frequently as infant foods while animal protein source and vegetables were lesser used 52.8% of mothers purchased commercially prepared infant food , while 33.2% of them did not use it at all. Depending on mo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 got information on weaning with the aid of different education materials. The respondents were most interested in the way how to prepare weaning food. It might be suggested that development of effective nutrition education technique specific to the different groups of mothers should be focused.

  • PDF

번식기, 비번식기 및 손상상태에 따른 한국꿩 고환의 면역조기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Pheasant Testis in Active, Inactive and Damaged States)

  • 양홍현;;이영훈;백영기;김인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7-116
    • /
    • 1997
  • In order to achieve optimal reproductive performance, reliabl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basic data on the reproductive organs are desirable. Adult male Korean ring-necked pheasant in inactive(mid of January) and active state (end of April) were used in this study. In addition, five active state pheasants were received a single dose of 60Co-ray 500 rads each to damage the test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protein gene product (PGP) 9.5 and ${\alpha}$-tubulin in the pheasant testes of the active, inactive and ${\gamma}$-ray irradiated active state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miniferous tubules collected in inactive states( mid of Jan) showed narrow lumen, and the spermatogonia and the Sertoli cell were well preserved. The PGP 9.5 immunoreactivity of these tubules showed a positive reaction in paranucleus area of the spermatogonia, and a positive reaction in a small number of the Leydig cells in the interstitium of the seminiferous tubules. 2. The seminiferous tubules were dilated in active state(end of April) as compared with the inactive state. The PGP 9.5 reactivity in these tubules showed a positive reaction in many Leydig cells in the interstitium of the seminiferous tubules, and the testes of ${\gamma}$-ray irradiated group showed partially weak reaction in the interstitium of the seminiferous tubules. 3. The ${\alpha}$-tubulin reactivity in the seminiferous tubules of the inactive testes was strongly positive in the cytoplasmic process of the Sertoli cell from the basal stem region to the apical ex-tension. From the broad part of the stem region to the luminal space, the active testes showed a strong positive reaction. The ${\gamma}$-ray irradiated groups showed diminished reaction in the basal region.

  • PDF

패류의 가공적성 4. 진주담치의 가공적성 (SUITABILITY OF SHELLFISHES FOR PROCESSING 4. Suitability of Mussel for Processing)

  • 이응호;김우준;김세권;조덕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26
    • /
    • 1980
  • 가공적성을 판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진주담치의 년중 월별 비만도와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도는 $12\~4$월이 높았다. 2. 글리코겐은 $12\~5$월까지는 $2.7\~3.9\%$로서 비만도의 지표인 F값과 G값이 높은 $12\~3$월 사이에 높았고, F값과 G값이 가장 높았던 3월과 12월에는 $3.9\%$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단백질 함량은 $7\~8$월에 가장 높았다. 3. 비만도 및 화학성분 측정결과로서 가공적성을 판정한다면 가공원료로서 여수 연안의 진주담치 채취적기는 $12\~4$월 및 $7\~8$월이라고 볼 수 있다.

  • PDF

韓半島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 Makino)의 稔性 및 재배학적 특성 (The Fertility and Some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Morus tiliaefolia Makino Growing Wild in the Korean Peninsula)

  • 박광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9-12
    • /
    • 2002
  • 한반도에 자생하는 돌뽕나무(Morus tiliaefolia)의 임성과 재배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종자형성률은 46∼80%이며 종자의 발아율은 19∼28%에 불과하다 2. 개화최성기(1994년)는 4월 28일∼5월 3일로서 산뽕나무보다는 늦고 개량뽕보다 빠르다 3. 춘기 동아의 탈포기는 4월 21일∼24일로서 산뽕나무와 개량뽕보다 늦다. 4. 잎은 대형으로 엽형지수 1.05의 폭광성을 나타내며 잎두께는 산뽕나무보다 두껍다. 5.성숙엽의 화학성분은 가용성 무질소물과 조회분이 많고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가 적다. 6. 낮추베기때의 자세는 대부분 전개성이며 가지는 조장형이고 절간장이 길다 7. 추위견딜성과 뽕나무 동고병에 약하다.

Gonad Maturation Cycle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nudus Population Inhabiting an Artificial Seaweed Forest, Samchuk, Korea

  • Kim, Su-Kyoung;Kim, Young-Dae;Jo, Q-Tae;Lee, Jong-Ha;Lee, Chu;Lee, Chae-S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40-149
    • /
    • 2010
  • We determined the seasonal gonad maturation in Strongylocentrotus nudus sea urchins inhabiting an artificially enhanced seaweed forest along the Samchuk Coast of Korea from April 2006 to March 2007. A total of 30 sea urchins per month were collected from the study area, and gonadosomatic index (GSI), gonad index (GI), egg diameter, and RNA/DNA variation were measured for each specimen. GSI values of female and male urchins achieved maximums of 17.6 and 17.0, respectively, in June. Based on histological studies, maximum GI values occurred in July (4.6 for females and 4.8 for males). A mean ovarian egg diameter of $73.7\;\pm\;14.2\;{\mu}m$ was measured in August; during the main spawning period in September, mean egg diameter reached a maximum of $74.2\;\pm\;17.8\;{\mu}m$. The RNA/DNA ratio and RNA content for both males and females showed a distinct peak during the ripe stage in July, but another peak occurred in the spring season from March to April, when urchins deposit protein into the nutritive phagocytes of immature gonads prior to gametogenesis. The reproductive cycle of S. nudus is divided into five stages: early active (December-May), late active (March-July), ripe (July-September), spent and degenerative (August-November), and inactive (October-February). Our continuous removal of sea urchins from the study area did not influence the reproductive cycle, as populations quickly recovered, and achieved normal gonad development cycle in the site.

흑조위축병이 심한 지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와 수수의 건물생산성 (Forage productivity of Silage Corn and Sorghum at Differnet Planting Dates in Rice Black-Streaked Dwart Virus Prevalent Area)

  • 최상집;이석순;백준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6
    • /
    • 1991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경화 경산에서, 흑조위축병 내병성이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 2품종과 생육기간이 다른 사일리지용 수수 2품종을 6개 파종기(4월 l일, 4월 15일, 4월 29일, 5월 13일, 5월 27일,6월 10일)에 재배하여 옥수수는 황숙기에 1회, 수수는 유숙기에 1차 수확하고, 재생한 것은 10월 1일에 2차 수확하여 건물생산성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입묘솔은 옥수수가 수수보다 높았다 옥수수는 품종간 및 파종기간에 입묘솔의 차이없이 91% 이상이었으나 수수는 37. 2~80.3%로서 퍼종기간에 차이가 컸다.2 파종에서 출아까지 소요일수는 작물간,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 출아에서 출사기(옥수수) 혹은 출수기(수수)까지 소요일수는 옥수수 두 품과 수수 P 956은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수수P 931은 5웰 13일 이전 파종에서는 비슷하였고, 그 이후에는 파종이 늦을수록 소요일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3 . 옥수수의 흑조위축병 이병솔은 4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고(광안옥 24. 8%,진내옥 63.0%), 4윌 2 29일까지는 파종이 지연될수록 감소하였다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수수는 이병되지 않았다 4 . 전식물체 중 이삭비율은 옥수수(30.6~47.9%) 가 수수(3.1~30.7%) 보다 높았고, 품종간.파종기간 차이는 옥수수에서 보다 수수에서 더 컸다. 옥수수와 수수 P 956은 수정에 지장이 없었으나 수수 P 9 931은 5월 13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수정불량으로 이삭이 잘 발달하지 못하였다 5 .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작물간, 품질간, 파종기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이삭발육이 나빴던 수수 P 931은 옥수수와 P 956 보다 조섬유는 높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낮았다. 옥수수와 1차수확한 수수는 파종기간에 조섬유, 가용성 무질소물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재생한 수수는 파종이 늦을수록 조섬유와 가용성 무질소물은 감소하고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다 6 . 옥수수와 수수 모두 파종이 지연될수록 건물수량이 감소하였으나 진내옥은 4월 29일 파종에서 보다 그 이전의 파종에 서 수량이 더 낮았다. 옥수수의 건물수량은 수수의 1차수량과 비슷하였지만 재생한 2차수확을 합하면 재생량이 많은 4월 파종에서는 수수가 옥수수보다 건물수량이 현저히 많았다.

  • PDF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소 발달 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 변화

  • 정의영;김종배;문재학;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1-51
    • /
    • 2003
  •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생식기구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생식주기는 조직학적 관찰에 의해 조사되었고,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 내의 생화학 성분들은 생화학적 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다. 바지락의 생식소 발달에 따른 생식주기는 초기활성기 (1-3월), 후기활성기 (2-5월), 완숙기 (4-8월), 부분산란기 (5-10월), 퇴화/비활성기 (8-2월)의 연속적인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폐각근 조직내 총단백질 함량 (%) 변화는 초기 및 후기 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다음 완숙기 및 부분활성기인 5월에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단백질 함량 변화는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6월에 최대에 이른 후 부분산란기인 6월부터 10월까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단백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 -0.292, P < 0.05). 폐각근 조직 내 총지질 함량 (%) 변화는 비활성기 및 초기활성기인 1월에 최대에 이른 후, 2월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총지질 함량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4월에 최대를 나타내었고, 부분산란기인 5-10 월 사이에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총지질 함량 변화 사이에는 음 (-)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699, p < 0.05). 폐각근 조직내 글리코겐 함량 (%) 변화는 후기활성기 및 완숙기인 5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부분산란기인 5월부터 10월까지 급격히 감소되었다. 반면, 내장낭 조직 내 글리코겐 함량 변화는 초기 및 후기활성기인 2월에 최대에 이른 다음, 후기활성기인 3월에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그 후 완숙 및 부분산란기인 4월에서 7월까지 점차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 내의 글리코겐 함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062, p > 0.05). 상기 언급된 결과들은 바지락의 폐각근 조직 및 내장낭 조직들이 중요한 에너지 저장소이며, 영양 공급 기관임을 알 수 있었으며,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들의 영양물질 함량 변화는 생식소의 에너지 요구에 따라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