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SYS fluent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4초

블레이드요소 운동량 이론에 의한 수평축 조류발전용 터빈 블레이드 설계 및 성능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Software Development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Blade Design of a HACT by BEMT)

  • 모장오;김만응;현범수;김유택;오철;이영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96-10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평축 조류발전용 터빈 블레이드 설계 및 성능평가가 가능하도록 블레이드 끝단 손실모델을 고려한 블레이드요소 운동량 이론을 적용하여 설계를 수행함으로써 관련 설계기법을 확립하였고 최종적으로 설계 및 성능평가를 위한 국산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된 성능평가 소프트웨어인 MCT-Blade V2.0을 통해 2MW급 블레이드 설계 및 성능평가를 수행하였으며, ANSYS FLUENT 상용코드를 이용하여 BEMT에 의한 성능평가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2.5m/s 정격유속에서 BEMT에 의한 기계적 출력은 2,121kW로써 전기적 출력을 만족하였지만, CFD에 의한 기계적 출력은 1,901kW로써 목표출력에 다소 부족한 결과를 보였다.

뇌동맥류 모델에 대한 혈류역학 해석 (Computational Hemodynamics in the Intracranial Aneurysm Model)

  • 서태원;변준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10호
    • /
    • pp.927-932
    • /
    • 2013
  • 뇌동맥류모델은 CT 영상을 기반으로 추출하여, ANSYS-FLUENT를 사용해 전산 유체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동맥류에서 최소 벽전단응력은 동맥류가 발생한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뇌동맥류 모델에서 우측중뇌동맥 안쪽벽면에 작용하는 벽전단응력의 크기는 동맥류 전부와 후부의 벽면에 작용하는 벽전단응력의 크기에 비해 20 배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동맥류 영역에서의 전단응력의 크기는 매우 작게 나타났다. 혈관 수축이 일어나는 동안 동맥류의 영역에서 매우 복잡한 이차유동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맥류 내부에서의 혈류유동은 나선형 유동형태를 보이며, 본 연구의 혈류역학적 특성 분석을 통해 뇌동맥류의 파열을 예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초음속 막냉각 유동에서 분사 노즐 형상이 냉각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jection Nozzle Shape on the Cooling Performance in Supersonic Film Cooling)

  • 김상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641-6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 모델을 기반으로 초음속 막냉각 유동에서 분사 노즐 형상이 냉각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노즐의 형상 변수로는 막냉각 노즐의 상부벽면 내외부경사각과 노즐 팁 두께가 고려된다. 해석결과를 통해서, 노즐 상부벽면의 내부경사각이 증가할수록 유량은 감소하지만 유량감소율 대비 막냉각효과 감소는 상대적으로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 상부벽면의 외부경사각과 노즐 팁 두께는 대체적으로 크기가 증가할수록 막냉각 성능을 감소시키지만, 충격파와 막냉각 유동의 간섭이 발생하는 국부적인 영역에서는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은 해석은 상용소프트웨어인 ANSYS Fluent V15.0을 활용하며, CFD 해석모델은 선행연구의 실험결과와 비교를 통하여 검증된다.

멀티콥터용 동축반전 프로펠러 상하 간격에 따른 제자리 비행 공력 특성에 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pacing in Coaxial Propeller Multi-Copter in Hovering)

  • 심민철;이경태;김해동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9-9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동축반전 프로펠러 설계 파라미터 중 프로펠러 상하 간격이 동축반전 프로펠러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ANSYS Fluent 19.0 Solver를 이용하여 26 inch 단일, 동축반전 프로펠러에 대해 수치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일 프로펠러에 대해 Moving Reference Frame (MRF)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동축반전 프로펠러에 대해 방위각에 따라 변하는 유동을 분석하기 위해 Sliding Mesh 기법을 사용하였다. 위, 아래 프로펠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가까워지는 구간에서 추력과 동력이 감소하였다. 프로펠러 상하 간격이 증가하면서 위, 아래 프로펠러의 상호 간섭이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동축반전 프로펠러 주위 유동장 변수 등고선을 확인한 결과, 프로펠러가 가까워지는 구간에서 발생하는 공력 성능의 변화는 Loading 효과와 동시에 날개 끝 와류후류의 영향으로부터 기인한다.

Experimental and modelling study of clay stabilized with bottom ash-eco sand slurry pile

  • Subramanian, Sathyapriya;Arumairaj, P.D.;Subramani, 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3호
    • /
    • pp.523-539
    • /
    • 2017
  • Clay soils are typical for their swelling properties upon absorption of water during rains and development of cracks during summer time owing to the profile desorption of water through the inter-connected soil pores by water vapour diffusion leading to evaporation. This type of unstable soil phenomenon by and large poses a serious threat to the strength and stability of structures when rest on such type of soils. Even as lime and cement are extensively used for stabilization of clay soils it has become imperative to find relatively cheaper alternative materials to bring out the desired properties within the clay soil domain. In the present era of catastrophic environmental degradation as a side effect to modernized manufacturing processe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creative idea would be treating the waste products in a beneficial way for reuse and recycling. Bottom ash and ecosand are construed as a waste product from cement industry. An optimal combination of bottom ash-eco sand can be thought of as a viable alternative to stabilize the clay soils by means of an effective dispersion dynamics associated with the inter connected network of pore spaces. A CATIA model was created and imported to ANSYS Fluent to study the dispersion dynamics. Ion migration from the bottom ash-ecosand pile was facilitated through natural formation of cracks in clay soil subjected to atmospheric conditions. Treated samples collected at different curing days from inner and outer zones at different depths were tested for, plasticity index,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free swell index, water content,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pH and ion concentration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in improving the clay soil.

연속 뜸의 열 자극에 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Thermal Stimulation of Continuous Moxibustion)

  • 양소라;강호영;전병진;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9호
    • /
    • pp.915-9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속 뜸의 열자극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복합대류 열전달 간이 모형을 만들어 ANSYS-FLUENT 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연속 뜸의 주기가 열자극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러 장의 뜸을 다양한 주기로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뜸의 장수가 증가할수록 유효자극영역의 깊이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교체온도가 체온과 같거나 체온보다 커야 함을 확인하였고, 뜸의 적용 수가 증가함에 따른 유효자극 영역 깊이의 증가율은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유효자극의 지속시간이 최대가 되는 연속 뜸의 최적의 교체 주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디퓨저 형상의 유량 분배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Flow Rate Distribution of Diffusers with Various Shapes)

  • 김명수;김후배;최형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9호
    • /
    • pp.789-7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축열시스템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진 디퓨저의 유량 분배 특성을 수치해석 하였다. 작동유체가 분기배관의 양 방향으로 나뉘어져 있는 구멍들을 통하여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4가지 형상의 디퓨저를 설계하였다. 상용 해석 프로그램인 ANSYS-FLUENT을 사용하여 비압축성 유체의 3차원 정상 층류 유동으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한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분배되는 디퓨저는 유량이 일정하게 분배되지 않는 반면에 양 방향 헤더 형식과 H형 대칭구조의 디퓨저는 균등한 분배 특성을 보였다. 한편, H형 대칭구조의 디퓨저는 양 방향 헤더 형식 디퓨저보다 높은 펌프 양정을 필요로 하므로 유량분배도 일정하고 펌프 양정도 낮은 양 방향 헤더 형식 디퓨저가 최적임을 확인하였다.

소방 배관 동파방지용 열선의 위치 선정을 위한 비정상 열전달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Unsteady Heat Transfer for the Location Selection of Anti-freeze for the Fire Protection Piping with Electrical Heat Trace)

  • 최명영;이동욱;최형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52-5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방정식과 비정상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적식을 사용하여 동절기 소방배관의 동파방지를 위한 최적의 열선위치를 확인하였다. 물의 자연대류와 소방 배관의 전도 열방정식이 결합된 복합열전달을 해석하였다. 혼합 열전달 배관 내 물의 비정상적인 유동과 온도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SIMPLE 형태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상용코드(ANSYS-FLUENT)가 사용되었다.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등온선과 벡터장을 살펴보았다. 물의 열팽창계수를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소방 배관 단면의 하부에 열선을 설치하는 것이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보다 시간에 따른 물의 최저온도가 가장 높아서 동파방지에 가장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선의 직선시공과 감기시공의 동파방지 효과 비교를 위한 3차원 비정상 수치해석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traight and Twisted Heat Trace Installations Based on Three-dimensional Unsteady Heat Transfer)

  • 최명영;전병진;최형권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49-5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동절기 소방배관의 동파방지를 위한 열선의 직선 시공과 감기 시공의 효과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공법들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3차원 에너지방정식과 비정상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적식의 비정상 해를 구하였다. 수치해석에서 물의 자연대류와 소방 배관의 열전도 방정식이 상호작용을 하므로 복합열전달 해석을 상용코드 ANSYS-FLUENT에서 제공하는 압력-속도 연성기법들 중의 하나인 SIMPL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시간에 따른 배관 내의 유동장 및 온도분포와 배관 내 물의 최대 및 최소온도 변화를 고찰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배관 단위 길이 당 투입열량이 동일한 경우에 감기 시공과 직선 시공의 동파방지 효과는 거의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열선 손상과 단락 등을 고려하면 직선 시공이 더 나은 시공법이라 판단된다.

FLUID-STRUCTURE INTERACTION IN A U-TUBE WITH SURFACE ROUGHNESS AND PRESSURE DROP

  • Gim, Gyun-Ho;Chang, Se-Myoung;Lee, Sinyoung;Jang, Gang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633-640
    • /
    • 2014
  • In this research, the surface roughness affecting the pressure drop in a pipe used as the steam generator of a PWR was studied. Based on the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using a commercial code named ANSYS-FLUENT, a straight pipe was modeled to obtain the Darcy frictional coefficient, changed with a range of various surface roughness ratios as well as Reynolds numbers. The result is validated by the comparison with a Moody chart to set the appropriate size of grids at the wall for the correct consideration of surface roughness. The pressure drop in a full-scale U-shaped pipe is measured with the same code, correlated with the surface roughness ratio. In the next stage, we studied a reduced scale model of a U-shaped heat pipe with experiment and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into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The material of the pipe was cut from the real heat pipe of a material named Inconel 690 alloy, now used in steam generators. The accelerations at the fixed sta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model are measured in the series of time history, and Fourier transformed to the frequency domain. The natural frequency of three leading modes were traced from the FFT data,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a numerical analysis for unsteady, incompressible flow. The corresponding mode shapes and maximum displacement are obtained numerically from the FSI simulation with the coupling of the commercial codes, ANSYS-FLUENT and TRANSIENT_STRUCTURAL. The primary frequencies for the model system consist of three parts: structural vibration, BPF(blade pass frequency) of pump, and fluid-structure inter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