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to-PM

검색결과 458건 처리시간 0.03초

자두와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생태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ios on the Bark Beetles on Plum and Apricot)

  • 윤주경;김규진;천승주;김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8-86
    • /
    • 1982
  • 자두 살구나무에 기생하는 나무좀의 종류와 생태를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자두살구나무를 하는 나무좀은 서울나무좀 (Scolytus seulensis), 뽕나무좀(Xyleborus atratus), 오리나두좀(X. germanus, 붉은목나무좀(X. rubricollis) 및 감나무좀(X. saxeseni)을 채집하였고 기주로는 서울나무좀은 자두와 살구나무에 뽕나무좀 오리나무좀, 감나무좀은 살구, 밤나무에 붉은목나무좀은 자두, 밤나무등에 각각 침입함을 확인하였는데 자두, 살구나무에 발생량과 피해가 심한 종은 서울나무좀이었다. 2. 서울나무좀의 발생소장을 보면 1980년 7월 10일과 8월 25일 1981년에는 7월 15일과 8월 20일로 1화기는 7월 중순에 2화기는 8월 하순의 1년 2회로 추정되었다. 3. 살구품종중 서울나무좀에 의한 m당 충공수는 Henderson(Apricot)과 V-49057(Apricot)은 100개 이상이었으며 Derbyroyal(Apricot)은 12개 이하로 적었다. 대체로 한국재래종과 일본계도입종들에 비하여 구주계품종에 치해공이 많았고 방향별 차이는 적었으나 동서남북순이었으며 모공의 길이가 길수로 유충공수도 많았다. 4. 성충의 교미는 $27^{\circ}C$ 내외가 많았으며 5.6월의 교미는 7.8월에 비하여 교미시간이 다소 길었다. 5. 자두나무 과실중의 변화는 피해주에서 개화 4주일 후인 6월 23일에 12.25g으로서 과중증가가 없었으나 건전주의 과실은 6월 23일에 32.23gr이었고 수확기인 7월 7일에는 63.5gr이었다. 6. 서울나무좀의 천적으로 어깨넓적좀벌과의 일종인 Eurytoma sp.를 서울나무좀의 노숙유충이나 용에서 용상태로 발생하였고 5월 초부터 6월 25일 사이에 우화하였으며 성충의 일주일 내외였다.

  • PDF

가로수와 바닥 포장 표면 알베도의 도시 열 환경 개선 효과 (Impact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 by Street Trees and Pavement Surface Albedo)

  • 김나연;김은섭;윤석환;박정강;김상혁;남상준;제화준;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9
    • /
    • 2023
  • Due to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abnormally high temperatures and heat wave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urban and deteriorate thermal comfort. Planting of street trees and changing the albedo of urban surfaces are the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urban, and both of these strategies affect the exposure and blocking of radiative fluxes to pedestrians. After measuring the shortwave and longwave radiation according to the ground surface with different albedo and the presence of street trees using the CNR4 net radiometer,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wo strategies in terms of thermal environment mitigation by calculating the MRT(Mean Radiant Temperature) of each environ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measured under the right tree and at the control, the shortwave radiation blocking effect of the tree increased as the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increased. During daytime hours (from 11 am to 3 pm), the MRT difference caused by the albedo difference(The albedo of the surfaces are 0.479 and 0.131, respectively.) on surfaces with no tree is approximately 3.58℃. When tree is present, the MRT difference caused by the albedo difference is approximately 0.49℃.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ight-colored ground surface with high albedo, the surface temperature was low and the range of temperature change was lower than the surrounding surface with low albedo. This result shows that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can be midigate through the planting of street trees, and that the ground surface with high albedo can be considered for short pedestrian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in planning street and open space in urban by choosing surfaces with high albedo along with the shading effect of vegetation, considering the use by various users.

Relative Frequency of Oral Malignancies and Oral Precancer in the Biopsy Service of Jazan Province, 2009-2014

  • Idris, AM;Vani, NV;Saleh, Sanna;Tubaigy, Faisal;Alharbi, Fahd;Sharwani, Abubkr;Tadrus, Nabil;Warnakulasuriya, Sa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2호
    • /
    • pp.519-525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types and relative frequency of oral malignancies and precancer in the Jazan region of Saudi Arabia during the period 2009-2014. Materials and Methods: Pathology reports were retrieved from the archives of Histopathology Department, King Fahd hospital in Jazan. Demographic data on tobacco habits, clinical presentation and histologic grading of oral precancer and cancer cases were transcribed from the files. Results: 303 (42.7%) oral pre-malignant and malignant cases were found out of 714 oral biopsy lesions. A pathology diagno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85.1%)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premalignant lesions/epithelial dysplasia (8.6%), verrucous carcinoma (3.3%) and malignancy of other histological types (3%) such as ameloblastic carcinoma, salivary gland malignancy and sarcomas.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was predominant in female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1:1.9. Patient age ranged from 22 to 100 years with a mean of $65{\pm}13.9$. Almost 44.6% of oral cancer had occurred after 65 years of age. Only 16.3% cases were reported in patients younger than 50 years, predominantly females. The majority of female patients had the habit of using shammah with a long duration of usage for more than 45 years. Buccoalveolar mucosa (52.3%) was the common site of involvement followed by tongue/floor of the mouth (47.7%) and clinically presented mostly as ulceration/swelling clinically. Moderately differentiated tumours (53.9%) were common followed by well differentiated (32.2%) and poorly differentiated tumours (5.8%). The prevalence of oral verrucous carcinoma (3.3%) was comparatively low with an equal distribution in both males and females. Both bucco-alveolar mucosa and tongue were predominantly affected. Oral precancer/epithelial dysplasia (8.6%) was common in females with a shammah habit. Bucco-alveolar mucosa was commonly involved and clinically presented mostly as white/red patches. Most cases were mild followed by moderate and severe dysplasia. Tumours of other histological types (3%) include 1 ameloblastic carcinoma, 3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urs and 5 sarcoma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oral cancers reported in the pathology service to be a common occurrence. This study reconfirms previous reports of the high burden of oral cancer in this population This indicates that conventional preventive programs focused on oral cancer are in need of revision.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nto identifying new risk factors and molecular markers for oral cancer are needed for screening high risk individu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Patterns and Urban Morfometri in the Jakarta City, Indonesia

  • Maru, Rosmini;Ahmad, Shaharuddi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9권2호
    • /
    • pp.128-136
    • /
    • 2015
  • Sky View Factor (SVF) is one of the urban morfometri parameters that impact on the Urban Heat Island (UHI). SVF analisys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Jakart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temperature with urban morfometri. Jakarta City is the most populous city in the world that has a surrounding area $66,152km^2$ and the total population around 23 million people. The population of the city is the sixth highest in the world today. SVF measurements done by taking pictures at the six stations that have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namely (1) the narrow streets Apartment Cempaka Mas (JS ITC), (2) the width of the road Apartment Cempaka Mas (JL ITC), (3) in front of Colleges Kanisius (DKK), (4) in front of office Journalist of Indonesia (DKWI), (5) Utan Kayu (UK), and (6) Tambun (TB). SVF value is obtained from the photgraphic image. Taking pictures at the location using a Nikon D90 camera with a Nikon Fisheye Nikkor 10.5 mm 1 : 2.8 G ED, further processed through a global mapper program. Therefore, the SVF derived from the six stations that vary 0.21 to 0.78. Temperature measurement is done during daylight hours from 06:00 am to 18:00 pm during the Western Part of Indonesia (WIB). Measurements performed at three different times, namely working days (HK) regular holidays (HCB) national holidays (HC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average temperature of $33.32^{\circ}C$, occurring at UK station (SVF=0.45) at the time of HCB. Meanwhile, the average low temperature of $31.22^{\circ}C$ occurred at JLITC station (SVF=0.42). The two-time occurred on ordinary holidays. Maximum temperature of $38.4^{\circ}C$ occurred in Utan Kayu station (SFV=0.45) that occurred at 11.00 hrs, normal holidays. Furthermore minimum temperature 24.5 occurred at Tambun station (SVF=0.78) at 06.00 hrs in the morning at the usual holidays and national holidays. In general, the results showed that areas with large SVF has a lower temperature compared with areas with smaller SVF. Though, are not the only factors that matter, but this research may show that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 the city of Jakar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itigate the serious from the government or society.

오존이 기린초와 비비추의 광합성, 항산화효소, 해부학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 (Photosynthesis, Antioxidant Enzyme, and Anatomical Difference of Sedum kamtschaticum and Hosta longipes to Ozone)

  • 정효정;우수영;이성한;백생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94-402
    • /
    • 2010
  • 이 연구의 도심 녹화 수종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린초($Sedum$ $kamtschaticum$)와 비비추($Hosta$ $longipes$)를 대상으로 오존에 의해 나타나는 광합성률, 항산화 효소활성, 해부학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오존을 하루 8시간씩(08:00-16:00) $200{\mu}g{\cdot}kg^{-1}$ 처리하였다. 대조구를 설정하고 광합성률, 항산화 효소활성, 해부학적 특성(기공, 플라스토글로블리의 크기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오존처리 후 측정된 순광합성량은 두 식물 종에서 감소하였고 호흡률은 증가하였다. 오존처리 후 비비추의 경우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린초와 비비추는 황화, 백화 및 반점 등의 전형적인 오존 피해 증상을 나타내었다. 오존 처리후 기린초와 비비추의 단위면적당 기공의 수는 증가하였으며, 기공크기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대기오염에 피해 받은 식물에서 관찰 할 수 있는 플라스토글로블리의 수가 기린초와 비비추에 있어 유의성 있게 증가하고 그 직경도 증가하였다.

도시 건조환경 유형에 따른 서울시 주간 지표면 온도 변동성 분석: ECOSTRESS 데이터의 활용 (Examining Diurnal Thermal Variations by Urban Built Environment Type with ECOSTRESS Land Surface Temperature Data: Evidence from Seoul, Korea)

  • 전규원;박유진
    • 지역연구
    • /
    • 제40권2호
    • /
    • pp.107-130
    • /
    • 2024
  • 도시의 지표면 기온 변화는 도시민의 열 쾌적성, 에너지 소비, 나아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환경요인이다. 많은 연구가 도시 지표면 기온과 도시 건조환경(built-environment) 형태 간의 관계를 탐색해 왔으나 대부분 극궤도위성 자료를 사용해 정오 시간대 기온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간대 지표면 기온을 관측하는 ECOSTRESS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여름철 지표면 기온의 주간 변동을 탐색하였으며 기온 변동이 건조환경 유형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ECOSTRESS는 2018년 발사된 NASA 위성으로 점진 변화 궤도를 운항하며 다양한 시간대 지표면 온도를 70m 고해상도로 관찰한다. 본 연구는 2019~2022년 이른 오전(6:25AM)과 늦은 오후(5:26PM)에 걸친 자료를 수집하여 서울시 지표면 온도의 시계열 자료를 구축하였다. 환경 특성을 반영하는 녹지, 수면, 건축 형태(건폐율, 용적률, 높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해 8가지 건조환경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유형별 온도변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각 유형은 저층고밀거주지(low-rise compact), 저밀아파트단지(low-BCR Apt.), 강변 중고층 주거단지(Riverside Mid-rise Apt.), 중고층 용도혼합지역(mid-to-high-rise mixed use), 고층고밀지역(high-rise compact), 초고층빌딩(skyscrapers), 산림, 수면(하천)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지표 기온의 공간적 격차는 새벽 이후 증가하여 정오(12:04)에 극대화된 뒤 다시 감소하였으며, 기온 변화가 급격한 지역과 안정적인 지역이 구분되었다. 저층 고밀 거주지와 고층 고밀지역의 경우 기온이 빠르고 높게 증가하여 기온변동성이 높았고, 저밀 아파트단지는 기온이 온화하고 완만하게 증가하며 기온 변동성이 낮았다. 건조환경 유형 간 평균기온의 서열은 시간별로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폭염과 일교차 증가에 적응할 수 있는 도시형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선형 프레넬 반사판 시스템의 집광 특성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Linear Fresnel Reflector System)

  • 이현진;김종규;이상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12호
    • /
    • pp.927-934
    • /
    • 2015
  • 고일사 지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태양열로 구동하는 흡수식 냉동 시스템 개발을 염두에 두고, 본 논문에서는 태양을 추적하는 선형 프레넬 반사판 시스템의 집광 특성을 수치해석 하였다. 몬테카를로 광선추적법을 기반으로 하는 광학 프로그램을 통해 집광 열유속, 집광 효율, 집광 에너지를 일년을 대표하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날짜에 계산하였다. 동지를 제외하면, 9 시에서 15 시까지는 집광 성능이 일정한 가운데, 집광 효율도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시간대에서 흡수기 중심 20% 영역에 모이는 최대 열유속은 하지 때 약 $13.0{\sim}14.6kW/m^2$ 범위에서 변했다. 집광 시스템의 설계 인자 중에서 흡수기 설치 높이, 반사판의 폭, 반사판 사이의 거리가 집광 효율을 조사해 보면, 흡수기 설치 높이는 반사판의 폭에 관계없이 5 m 에서 최적의 성능을 나타냈다. 반사판의 폭이 작을수록 집광 효율이 좋지만, 반사판의 폭은 집광 되는 에너지에 직접적으로 비례하기 때문에 냉동 시스템의 용량에 맞추어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흡수기의 열전달 해석의 중요한 선행조건이므로 향후에 광학-열전달 연계된 해석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하고 설계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Gastric Cancer Cohort Study: Study Protocol and Brief Results of a Large-Scale Prospective Cohort Study

  • Eom, Bang Wool;Kim, Young-Woo;Nam, Byung-Ho;Ryu, Keun Won;Jeong, Hyun-Yong;Park, Young-Kyu;Lee, Young-Joon;Yang, Han-Kwang;Yu, Wansik;Yook, Jeong-Hwan;Song, Geun Am;Youn, Sei-Jin;Kim, Heung Up;Noh, Sung-Hoon;Park, Sung Bae;Yang, Doo-Hyun;Kim, S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3호
    • /
    • pp.182-19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large-scale database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cancer management system and a comprehensive cancer control policy. Materials and Methods: An observational prospective cohort study on gastric cancer was initiated in 2010. A total of 14 cancer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and 152 researc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Patient enrollment began in January 2011, and data regarding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life style-related factors, quality of life, as well as diet diaries were collected. Results: In total, 4,963 patients were enrolled until December 2014, and approximately 5% of all Korea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nually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58.2{\pm}11.5$ years, and 68.2% were men. The number of patients in each stage was as follows: 3,394 patients (68.4%) were in stage IA/B; 514 patients (10.4%), in stage IIA/B; 469 patients (9.5%), in stage IIIA/B/C; and 127 patients (2.6%), in stage IV.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3,958 patients (79.8%), endoscopic resection was performed in 700 patients (14.1%), and 167 patients (3.4%) received palliative chemotherapy. The response rate for the questionnaire on the quality of life was 95%; however, diet diaries were only collected for 27% of patients. Conclusions: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gastric cancer for patients, phys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a large-scale database of Korea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cohort study, an effective cancer management system and national cancer control policy could be developed.

토양수분조건 및 화학물질처리가 오이묘의 저온장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Moisture and Chemical Application on Low Temperature Stres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

  • 남윤일;우영회;이관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84
    • /
    • 2006
  • 오이묘가 저온피해를 입기 전, 후 토양수분조건과 몇 가지의 화학물질처리가 오이묘의 냉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토양수분 -0.3bar 적습상태에서 07:00시에 $2^{\circ}C$로 저온처리를 했을 때, 생존율은 28.3%이었으나 -5.5bar에서는 83.3%로 높아져 토양수분이 건조하면 저온피해가 감소되었다. 그러나 18:00시에 저온처리하면 -0.3bar에서도 생존율은 87% 이상이었다. 토양수분이 건조하면 엽신의 ABA함량은 크게 증가되었다. 저온처리 전, 후 ABA의 토양 및 엽면처리는 오이묘의 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세포의 전해질 누출량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수량의 감소를 경감시켰다. 또한 ABA 처리는 저온처리 후보다는 저온처리 전에, 엽면처리보다는 토양에 처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ABA($10^{-5}M$)와 더불어 요소(0.2%)와 $KH_2PO_4$의 엽면살포는 오이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저온피해를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고령인구 주요 체류지 및 체류지별 특성 (Analysis of Elderly Population's Staying Places in Seoul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 이주윤;김현덕;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231-245
    • /
    • 2020
  • 본 연구는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고령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을 도출하고 체류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5년 10월 18일까지 7일간의 서울시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지, 강남 등 14개 지역이 주 체류 공간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체류지별 방문 사용자 특성과 체류 시간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5개 그룹으로 특성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지 대부분은 해당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많은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그룹의 경우 상대적으로 방문 고령자의 거주지가 넓게 나타나 체류지간 위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 집중 시간대는 주로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기동과 영등포의 경우 오후 12부터 체류가 집중되며, 잠실, 선릉, 양재의 경우 주중 오전 9시부터 체류가 집중되어 체류지별 인구 집중 시간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내의 고령 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과 각 체류 공간별 체류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정책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