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I CCTV

Search Result 7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Implement of AI-based Integrated Smart Fire Safety (ISFS) System in Public Facility

  • Myung Sik Lee;Pill Sun Se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Rise Buildings
    • /
    • v.12 no.3
    • /
    • pp.225-234
    • /
    • 2023
  • Even at this poin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e are still facing many problems in the safety sector that cannot prevent the occurrence or spread of human casualties. When you are in an unexpected emergency, it is often difficult to respond only with human physical ability. Human casualties continue to occur at construction sites, manufacturing plants, and multi-use facilities used by many people in everyday life. If you encounter a situation where normal judgment is impossible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t a life site where there are still many safety blind spots,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existing manual guidance method. New variable guidance technology, which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win, can make it possible to prevent casualties by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needed to derive appropriate countermeasures in real time beyond identifying what safety accidents occurred in unexpected crisis situations. When a simple control method that divides and monitors several CCTVs is digitally converted and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3D digital twin control technology, intelligence augmentation (IA) effect can be achieved that strengthens the safety decision-making ability required in real time. With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Disaster Enterprise Punishment Act, the importance of distributing a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that urgently solves the decision-making delay that occurs in safety accidents at various industrial sites and strengthens the real-time decision-making ability of field workers and managers is highlighted. The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that combin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win consists of AIoT HW equipment, wireless communication NW equipment, and intelligent SW platform. The intelligent SW platform consists of Builder that supports digital twin modeling, Watch that meets real-time control based on synchronization between real objects and digital twin models, and Simulator that supports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various safety management scenarios using intelligent agents. The smart location guidance system provides on-site monitoring using IoT equipment, CCTV-linked intelligent image analysis, intelligent operating procedures that support workflow modeling to immediately reflect the needs of the site, situational location guidance, and digital twin virtual fencing access control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fixed passive guidance methods, analyzes global technology development trends to overcome them, identifies the digital transformation properties required to switch to intelligent variable smart location guidance methods,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AI-based public facility smart fire safety integrated system (ISFS).

Precision Evaluation of Expressway Incident Detection Based on Dash Cam (차량 내 영상 센서 기반 고속도로 돌발상황 검지 정밀도 평가)

  • Sanggi Nam;Younshik Ch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114-123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technology, video sensors such as CCTV are detecting incident. However, most of the current incident have been detected based on existing fixed imaging equipment.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limit to the detection of incident in shaded areas where the image range of fixed equipment is not reache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dge-computing technology, real-time analysis of mobile image information has become possi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expressway emergencies by introduc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to dash cam. To this end, annotation data was constructed based on 4,388 dash cam still frame data collected by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analyzed using the YOLO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diction accuracy of all objects was over 70%, and the precision of traffic accidents was about 85%.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P(mean Average Precision), it was 0.769, and when looking at AP(Average Precision) for each object, traffic accidents were the highest at 0.904, and debris were the lowest at 0.629.

Development of a flood warning technologies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

  • Cheong, Tae Sung;Choi, Changwon;Ye,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2-102
    • /
    • 2022
  • 소하천의 홍수 예측은 대부분 수치모형을 직접 활용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험식을 활용한다. 수치모형과 그 결과를 홍수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변수를 최적화하는 등의 수치모형 검증 절차가 매우 중요하다. 소하천은 국가, 지방하천에 비해 계측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으로 소하천의 홍수 모의를 위해서 주로 국가, 지방하천에서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검증된 소하천 수치모형은 국가 혹은 지방하천 유역 전체를 모의하여야 하므로 모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1시간내에 홍수유출이 이루어지는 소하천 홍수 모의에는 적절치 않다. 또한 소하천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빨라 실시간 홍수모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하천의 홍수 예측 방법으로 수치모형 보다는 계측자료에 기반한 추정삭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부터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하여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소하천에 확대적용하고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CCTV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구하고 동시에 계측된 수위와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기술이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저비용, 저노동, 고효율의 유량계측기술로써 부족한 계측인력과 계측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소하천에 적합한 계측기솔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25년 까지 전국 소하천의 10%인 2,230개 소하천에 자동유량계측기술을 확대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수리량 자료를 걔측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계측자료와 AI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홍수 예측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예측기술은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을 구분하며, 계측유역에 대해서는 계측자료를 이용하고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는 단위도법과 CE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유량 노모그래프와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발한다. 이때 노모그래프는 토양수분조건을 고려하여 개발하며, 미계측 소하천의 예측결과는 소하천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내에 포함된 소하천의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개발된 홍수 예측기술은 소하천 홍수 예·경보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소하천의 인명피해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 flood warning technologies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

  • Cheong, Tae Sung;Choi, Changwon;Ye,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7-107
    • /
    • 2022
  • 소하천의 홍수 예측은 대부분 수치모형을 직접 활용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험식을 활용한다. 수치모형과 그 결과를 홍수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변수를 최적화하는 등의 수치모형 검증절차가 매우 중요하다. 소하천은 국가, 지방하천에 비해 계측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으로 소하천의 홍수 모의를 위해서 주로 국가, 지방하천에서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검증된 소하천 수치모형은 국가 혹은 지방하천 유역 전체를 모의하여야 하므로 모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1시간내에 홍수유출이 이루어지는 소하천 홍수 모의에는 적절치 않다. 또한 소하천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빨라 실시간 홍수모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하천의 홍수 예측방법으로 수치모형 보다는 계측자료에 기반한 추정삭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부터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하여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소하천에 확대적용하고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CCTV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구하고 동시에 계측된 수위와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기술이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저비용, 저노동, 고효율의 유량계측기술로써 부족한 계측인력과 계측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소하천에 적합한 계측기솔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25년 까지 전국 소하천의 10%인 2,230개 소하천에 자동유량계측기술을 확대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수리량 자료를 걔측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계측자료와 AI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홍수 예측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예측기술은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을 구분하며, 계측유역에 대해서는 계측자료를 이용하고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는 단위도법과 CE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유량 노모그래프와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발한다. 이때 노모그래프는 토양수분조건을 고려하여 개발하며, 미계측 소하천의 예측결과는 소하천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내에 포함된 소하천의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개발된 홍수 예측기술은 소하천 홍수 예·경보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소하천의 인명피해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 and User Perception of Smart Park - Focused on the IoT See Park Users in Daegu City - (스마트공원 개념 정립 및 공원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대구 IoT See 시범사업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 Lee, Hyung-Sook;Min, Byoung-Wook;Yang, Tae-Jin;Eum, Jeong-Hee;Kim, Kwon;Lee, Ju-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5
    • /
    • pp.41-48
    • /
    • 2019
  • Our daily lives are changing at a rapid pace and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spreading,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y to various fields. However, efforts to prepare for changes in society due to technological evolution are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concept of smart parks, to investigate how smart technology has been applied to parks, and to identify the use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mart park services. To this end,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180 users of the IoT See pilot smart park in Daegu. Smart parks can, as a result, be defined as sustainable parks that improve users' experience in parks and solv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by utilizing various high technology. Smart technologies introduced at the park so far have been mostly focused on safety and environmental areas, including AI CCTV, smart street lamp, and fine dust warning devices. The results of survey showed that not many users were aware of the smart services the park provided due to the lack of public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nature of maintenance-oriented smart services. The survey also found that AR services for the education of historic parks were the least utilized, while solar power benches and WiFi service were most preferred by the park users. In conclusion, smart technologies need to be integrated with diverse park contents more centered user needs, providing services to enhance safe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order to develop user-oriented smart pa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