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8초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인체 종양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fermented Chaga Mushroom(Inonotus obliquu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차재영;박상현;허진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1-677
    • /
    • 2007
  •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수용성 추출물이 정상 세포주 NIH3T3 mouse normal fibroblast cell 및 인체 종양 세포주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위암), HCT-15 human colon cancer cell(대장암), Hep3B human hepatoma cancer cell(간암),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유방암),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자궁경부암)에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방법에 의한 세포 증식 억제와 암세포 증식억제의 기전 연구의 일환으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인체 종양 세포주의 생육저해 효과가 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이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실험조건하에서 마우스 정상 세포주 NIH3T3은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 본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 중에서 대장암 세포주 HCT-15에 대해 가장 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뛰어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첨가 농도 의존적 이였다. 발효 및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가 기전 연구로 apoptosis가 일어날 때 나타나는 DNA fragmentation을 세포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agarose gel electrophoresis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NIH3T3 세포는 DNA fragmentation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세포 생존율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특히 대장암 세포주인 HCT-15에서는 발효 차가버섯뿐만 아니라 비발효 차가버섯 추출물에서도 DNA fragmentation이 많이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Antimutagenic and Anticance Effects of Buchu Kimchi

  • Jung, Keun-Ok;Lee, Kyeoung-Im;Suh, Myoung-Ja;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33-37
    • /
    • 1999
  • The antimutagenic effects of buchu kimchi and Chinese cabbage kimchi and theri cytotoxic effects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 were investigated in the Salmonella typhimurium system and MTT assay, respectively. Leek and Chinese cabbage were aslo evaluated in the same system. Buchu kimchi was fermented at 15 $^{\circ}C$ for 4 days . Buchu kimchi samples showed somewhat higher antimutagenic effects against aflatoxin B1(AFB1) than CHinese cabbage kimchi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strain. There was no difference onthe antimutagenic activity according to the length of fermentation . Leek exerted stronger antimutagenicity against AFB1 than Chinese cabbage in the Ames assay. In MTT assay, 6-day fermented buchu kimchin revealed the highest cytotoxicity against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in which 62% and 82% of the inhibition were observed wiht the addition of 100ug, 400ug/well, respectively. Buchu kimchi samples caused 60~70%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HT-29 at 400ug/well. Leek exhibited higher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both AGS cells and HT-29 cells than Chinese cabbage in MTT assay. From thes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buchu kimchi has stronger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than Chinese cabbage kimchi and the high inhibition rate of buchu kimchi probably results from leek, the major ingredient of buchu kimchi .

  • PDF

Purification of Cucurbitacins D, E, and I from Ecballium Elaterium (L.) A. Rich Fruits and Study of Their Cytotoxic Effects on the AGS Cell Line

  • Jafargholizadeh, Naser;Zargar, Seyed Jalal;Yassa, Narguess;Tavakoli, Sae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0호
    • /
    • pp.4631-4635
    • /
    • 2016
  • Background: The plant Ecballium elaterium (L.) A. Rich, belongs to the Cucurbitaceae family which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raditional medicine prescriptions. It has been reported that a freeze-dried aqueous extract of E. elaterium fruits has cytotoxic effects on the AGS human stomach adenocarcinoma cell line. We here focused on anticancer effects of the main chemicals purified from E. elaterium fruits. Materials and Methods: We isolated cucurbitacins D, E, and I from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of a methanolic extract of E. elaterium fruits and assessed their cytotoxic effects on the AGS cell line by MTT assay. The methanolic extract was fractionated to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The compounds isol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were identified by NMR spectroscopy. Results: After 24 h of incubation with AGS cells, the IC50 values were 0.3, 0.1, and $0.5{\mu}g/ml$ for cucurbitacins D, E, and I respectively. Conclusions: This finding suggests that because of its cucurbitacins, E. elaterium fruit may have some cytotoxic effects on gastric cancer cells. Also, compared with D and I, cucurbitacin E showed greater potency in this regard.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DR5의 발현 및 ROS 생성의 증가를 통한 sanguinarine과 TRAIL 혼합처리의 apoptosis 유도 활성 촉진 (Sanguinarine Increases Sensitivity of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to TRAIL-mediated Apoptosis by Inducing DR5 Expression and ROS Generation)

  • 이택주;임용균;최우영;최성현;황원덕;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27-934
    • /
    • 2014
  • 혈근초(Sanguinaria canadensis) 뿌리에서 유래된 benzophenanthridine alkaloid의 일종인 sanguinarine은 항균, 항산화 및 항암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TRAIL이 암세포에서는 apoptosis를 유도하지만 정상세포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큰 장점으로 제 2 임상 단계에서 유의적인 성과를 이루었지만, TRAIL 저항성을 극복해야 하는 큰 어려움이 남아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TRAIL이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범위의 sanguinarine과 혼합처리에 의하여 TRAIL 저항성 AGS 위암세포에서 apoptosis를 유발하였음을 보고한 바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sanguinarine의 TRAIL 저항성 관련 극복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는 각각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 AGS 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의 상승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MTT assay, agarode gel 전기영동, 염색질 응축 현상 및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는 DR5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ROS의 생성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동일 조건에서 MAPKs 신호 전달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아울러 ROS 생성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였을 경우, sanguinarine과 TRAI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생존도 저하가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nguinarine과 TRAIL이 DR5의 발현 증가와 ROS의 생성을 촉진시킴으로서 apoptosis 신호를 활성화하였음을 의미하는 결과로서 TRAIL 저항성 극복을 위한 sanguinarine 활용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on Growth and DNA Synthesis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6-940
    • /
    • 2004
  • 본 연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원재료인 콩과 밀가루의 메탄올추출물과 비교하면서 여러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실험과DNA 합성 저해 실험을 행하였다. AGS 인체 위암세포의 경우 첨가농도 200 $\mu\textrm{g}$/mL에서 콩된장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80%, 78%의 저해효과를 가졌으며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은 65%, 일본의 미소 메탄올 추출물은 54%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 결과에서도 콩된장과 70% 콩된장의 경우, 첨가농도 200 $\mu\textrm{g}$/mL에서 각각 77%, 73%의 저해효과를 가지는 반면, 청국장, 일본의 미소는 각각 60%, 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콩과 콩/밀가루의 경우 각각 56%, 4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이상의 간암, 위암세포의 결과와 유사하게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콩된장과 70% 된장 메탄올 추출물이 각각 86%, 8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다른 콩관련 발효식품들과 원재료 콩에 비해 큰 활성을 보였다. 또한 DNA 합성 저해 실험에서 AGS 인체 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u\textrm{g}$/mL, 200 $\mu\textrm{g}$/mL 투여시에는 각각 65%, 76%의 DNA 합성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고, 반면 콩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100 $\mu$/mL, 200 $\mu$/mL 때 각각 47%, 68%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졌으며 된장의 경우보다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u\textrm{g}$/mL, 200 $\mu\textrm{g}$/mL 투여시 각각 43%, 59%의 DNA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된장이 다른 콩 발효식품 및 원재료 콩보다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은 콩만으로 3개월 간 발효시킨 된장의 우수성과 함께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택란의 일반성분, 지방산 조성 및 세포독성 효과 (Proximate Analysis, Fatty Acid Composition of Lycopus lucidus Turcz. and Its Cytotoxic Effect in Cancer Cell Lines)

  • 나은;이정우;임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8-215
    • /
    • 2019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o determine quality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and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whole Lycopus lucidus Turcz. roots. Additionally, we evaluated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human fibrosarcoma cells (HT-1080) and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GS), human colon cancer cell (HT-29) lines using a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from L. lucidus Turcz. were obtained through solvent extraction. Then we further fractionated both extracts with n-hexane, 85% aq. 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In fatty acid composition, L. lucidus Turcz. contained 33.2% of 18:1n-9 and 1.81% of 18:3n-3, respectively. The incorporation of treatment with A+M and MeOH extracts and n-hexane, 85% aq. 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fractions dose-dependently increased cytotoxicity against the growth of HT-1080 and AGS, HT-29 cancer cells (p<0.05). The A+M extract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all cancer cells in comparison to MeOH extract. Among the fractions, the 85% aq. MeOH and n-hexane fractions showed a higher inhibitory effect after proliferating the three canc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85% aq. MeOH and n-hexane fractions have a potential to inhibit the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Seaweeds

  • Cho, Eun-Ju;Rhee, Sook-Hee;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4호
    • /
    • pp.348-353
    • /
    • 1997
  • The antimutagenic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9 kinds of seaweed were studied in the Ames assay and cell culture systems, respectively.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 seaweeds of sea lettuce, chlorella, sea tangle, sea mustard, sporophyll of sea mustard, fusiforme, seaweed papulosa, purple laver and ceylon moss showed antimutagenicities against aflatoxin B₁(AFB₁)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in the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hese extracts revealed relatively higher antimutagenicity against AFB₁(indirect mutagen) than MNNG(direct mutagen). Sporophyll of sea mustard and seaweed papulosa exhibited strong 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AFB₁, and sporophyll of sea mustard, sea tangle and ceylon moss also reduc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MNNG. The sporophyll fo sea mustard exerted the highest antimutagenic activity among the samples treated. The methanol extracts from 9 kinds of seaweed inhibited the growth of two cancer cell lines,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and HT-29 human colon carcinoma cells. Sea tangle, sea mustard and sporophyll of sea mustard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seaweeds show not only antimutagenic activity but also growth inhibitory effect of some cancer cells.

  • PDF

해양심층수 및 다시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간장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 함승시;김수현;유수정;오현택;최현진;정미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4-279
    • /
    • 2008
  • 해양심층수 간장 및 일반간장을 제조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측정하였으며 sarcoma-180 cell을 이용하여 in vivo에서 항암효과를 살펴보았다. S. typhimurium TA98과TA100 균주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시료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없었으며,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0.4{\mu}g$/plate)의 경우 TA100 균주에서 해양심층수간장의 시료농도 $200{\mu}g$/plate에서 90.9%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4NQO($0.15{\mu}g$/plate)에 대해서는 같은 시료농도에서 6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4NQO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해서 해양심층수 간장은 61.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모든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HeLa, Hep3B, AGS, A549와 MCF-7을 사용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효과를 조사한 결과, 해양심층수 간장이 1 mg/mL의 농도에서 각각 69.4%, 70.5%, 55.6%, 82.1% 및 73.2%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해양심층수 간장은 고형암 성장 억제 실험에서 대조군에 비해서 40.9%의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배추김치의 재료 종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Kinds of Ingredient in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56-1463
    • /
    • 1998
  • 배추김치 재료 종류의 표준화를 위하여 고춧가루, 젓갈, 소금, 배추의 종류를 달리하여 배추김치를 담근 후 $15^{\circ}C$에서 4일간 발효시켜 관능검사와 이화학적 실험 및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문헌을 통해 대조김치로 담근 재료의 종류 중 소금만이 구운소금으로 담근 경우가 군덕내, 군덕맛이 가장 적었고 관능적으로 우수하였으며, 이 때의 pH는 4.3, 산도는 0.72%, 환원당 함량은 1.6 g%로 나타났다. 또 기능성의 하나로 Ames System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SRB assay로 in vitro 항암 효과를 검토한 결과 재료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즙액은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 $AFB_1$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을 60%이상 억제하였으며, 특히 구운소금을 이용하여 담근 배추김치의 경우 74%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SRB assay 결과 구운소금, 유기배추로 담근 배추김치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생존을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한 적절한 재료로는 영양태양초 고춧가루, 멸치젓, 구운소금, 가락 신1호 배추를 사용하였을 때가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항돌연변이 및 in vitro 항암효과도 컸었다.

  • PDF

한국산 현미 및 율무 추출물에 의한 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415-141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양질의 영양소를 가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억제 실험에서 $AFB_1$ (0.6 mg/plate)에 대해 현미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0% 및 7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60% 및 7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들은 첨가농도 5 mg/plate에서 각각 79% 및 69%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현미 메탄올 추출물을 5, 10, 20 mg/ml의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현미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0 mg/ml일 때 77%의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에서도 이들 현미 및 율무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그 억제효과가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