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B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8초

돌미나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작용과 암세포증식 억제효과 (The Antimutagenic Activity and the Growth Inhibition Effect of Cancer Cells on Methanol Extracts from Small Water Dropwort)

  • 이경임;이숙희;박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9
    • /
    • 2005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small water dropwort. The methanol extracts from small water dropwort significantly reduced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_1\;(AFB_1)$ and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in Salmonella typhimutium TA 100. Also, the methanol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and HT-29 colon cancer cells. The chloroform fraction from methanol extracts of small water dropwort inhibited $40\;to\;80\%$ of the mutagenicity by $AFB_1$ in Sal. typhimurium TA 100 by the addition of 2.5 to $10\%$. To separate active compounds, the chloroform fraction was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on a silica gel and separated into five fractions. Among the five fractions, fraction 4 showed the highest antimutagenic effect against $AFB_1$ and an anticancer effect in the HT-29 colon cancer cell.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GC-MS, 1-napthalene carbonitrile, 5,6,7,8-tetrahydrol and benzene, 1,1'-(1,4-pentadiene-1,5-diyl) bis-,(E,E) were identified potentially from fraction 4.

  • PDF

들깻잎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 이경임;이숙희;김정옥;정해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5-180
    • /
    • 1993
  •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균주에서 AFB$_1$, Trp-P-2 및 B(a)P의 돌연변이유발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들을 용매로 더 분획 했을 때 수층에서는 효과가 없었지만 헥산획분과 부탄올 획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었다. Lipid peroxidation은 들깻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억제되었으며 특히 부탄올 획분 첨가시 크게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돌연변이 유발억제 및 항산화 효과가 관찰된 부탄올 획분에서 2-propyl furan, ethanodioate, dibutyl ester, benzaldehyde, 2-methyl-2-ethyl-3-hydroxy-propanoic acid, octahydro-3a-methyl-2H-inden-2-one등이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 PDF

에어컨 먼지내 비결핵 항산균의 동정 (Isolation of 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from Air Conditioner Dust)

  • 최승구;최명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35-438
    • /
    • 2017
  • 비결핵 항상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 NTM) M. avium-intracellular complex (MAC), M. fortuitum, M. chelonae, M. abscessus, M. kansasii 등을 함유한다. 비결핵 항상균은 자연 환경속에 서식하며 다양한 가축등에 감염한다. 그리고 사람한테는 기회감염을 유발하여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면역결핍 사람한테 기회감염을 유발하는 비결핵 항상균이 사람들이 흔히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내 존재 유무를 확인하기위해 40개 에어컨 먼지를 채취하여 직접 AFB 염색, 직접 PCR, 간접 AFB 염색, 간접 PCR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채취한 샘플의 직접 AFB 염색, 직접 PCR 에서는 인형결핵균(MTB), 비결핵 항상균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배양된 집락을 이용한 간접 AFB 염색, 간접 PCR 결과 인형결핵균 (MTB)은 모두 음성반응을 나타냈으며, 비결핵 항상균은 40개 샘풀 중 2개(5%)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다. 본 실험결과는 자연 내 비결핵 항상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했으며 비결핵 항상균이 기회감염의 원인임을 감안했을 때 다중이용시설의 청결한 위생처리가 중요함을 암시한다. 다만 비결핵 항상균의 종(species) 감별과 기회감염 유발 유무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두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68-1373
    • /
    • 2007
  • 대두를 먼저 헥산(Hex)으로 지방을 제거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용매인 디클로로메탄($CH_2Cl_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MeOH)의 분획물들 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은 2.5 mg/plate 첨가농도에서 각각 83%로 상당히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는 5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분획물들의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가 낮았다. 한편 MNNG의 경우, $AFB_1$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67%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간 분획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은 각각 63%, 49%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66%로 위암세포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디클로로메탄($CH_2Cl_2$)과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에는 각각 54% 및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의 경우, 대두 메탄을 추출물을 2 mg/assay 투여했을 때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도 분획물들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73%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결장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77%의 결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분획물들 중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 분획물에 주로 isofavone류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더욱 정제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의 병리소견과 항산균 검출 및 임상소견에 관한연구 (Cervical Tuberculous Lymphadenitis :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AFB Positivity)

  • 황영준;고미혜;윤세영;김용호;김도형;이계영;김건열;명나혜;박재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5호
    • /
    • pp.720-729
    • /
    • 2000
  • 연구배경 : 결핵의 병리소견은 하나의 스펙트럼을 이루는데, 결핵균에 대한 면역기능이 정상이면 육아종의 형성이 좋고 결핵균이 거의 발견되지 않지만, 결핵균에 대한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면 육아종의 형성이 나쁘며 많은 결해균이 발견된다. 이에 저자들은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 환자의 림프절 조직에서 결핵균에 대한 면역기능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병리소견과 항산균의 유무를 분석하고 임상적인 특징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조직검사로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으로 진단받은 33명의 환자들의 병리소견을 분석하고 조직표본들을 탈파라핀화한 후 auramine-rhodamine 염색을 시행하여 조직에서의 항산균 유무를 검사한 후, 조직에서의 결핵균 검출 유무가 병리적인 특성(육아종의 형성정도, 건락성 과시의 유무, 중성구의 침윤) 또는 임상적인 특성(림프절의 크기, 림프절의 발견시점에서 조직검사까지의 기간, 림프절 부위의 통증이나 압통의 유무, 흉부방사선 소견상 결핵 소견의 유무)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1)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42.4세였고, 남녀비는 1:4.5였다. 2) 조직검사 소견 상 모든 예에서 육아종의 형성이 좋았고, 다양한 정도의 건락성 괴사가 관찰되었으며, 39%에서 육아종성 염증 주위로 다형백혈구의 침윤이 관찰되었다. 3) 52%의 예에서 조직표본에서 항산균이 검출되었고, 항산균은 세포 외에 존재하였고, 건락성괴사 부위의 가장자리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4) 조직에서의 항산균 검출 유무와 병리학적 특성 또는 임상적 특성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결핵성 경부 림프절염의 경우 육아종의 형성이 좋았고, 조직에서의 항산균 검출 유무와 병리적 또는 임상적 특성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 PDF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동시성 원발성 폐암의 진단 (Primary Synchronous Lung Cancer Detected using Autofluorescence Bronchoscopy)

  • 권선중;이연선;정미경;이유진;장필순;이정은;정재욱;박희선;정성수;김선영;김주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6호
    • /
    • pp.645-652
    • /
    • 2006
  • 연구 배경 : 새로이 폐암으로 진단되는 환자에 대하여 기존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 더하여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시, 2차성 동시성 원발성 폐암 및 전암성 병변의 발견율 향상의 정도를 알아 보고자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 날짜를 달리하여 형광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여, 원발성 병변과는 해부학적으로 다른 부위에 내시경 소견상 이상이 있는 경우 모두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새로이 폐암으로 진단되는 99명에 대하여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및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이 시행되었고,. 이들 중 46명의 환자에 대하여 84곳의 조직검사가 시행되었다. 이차성 암성 병변의 경우 6명의 환자에서 확인이 가능하였고, 이중 동시성 폐암으로 판단한 환자는 4명(4.0%)으로 모두 절제 불가능한 1차성 병변을 가지고 있는 환자이었고, 전이성 폐암으로 판단한 환자는 2명(2.0%)이었으며, 이 중 한명은 IIIB병기에서 IV병기로 병기상승을 가져왔다. 전암성 병변인 중증 이형성증은 초기 절제 가능한 비소세 폐암 환자 중 2명, 절제 불가능한 비소세포 폐암 환자 중 1명, 1명의 소세포 폐암 환자에서 발견 되었다(4/99, 4.0%).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전과 후의 발견율의 차이는, 이차성 암성 병변의 경우 3명(3%)에서 6명(6%)으로, 동시성 폐암만 살펴 보았을 경우 2명(2.0%)에서 4명(4.0%)으로 향상되었고, 중증 이형성증은 모두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에만 발견되었다. 이러한 이차성 암성 병변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는데, 이는 대부분이 수술적 치료가 불가능한 진행된 1차성 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었다. 결 론 : 자가 형광 기관지 내시경은 2차성 초기 암성내지 전암성 병변의 발견율 향상에는 백색빛 기관지 내시경 단독 검사보다 우수하나, 전체 폐암환자에서 진단 시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Antimutagenic Compounds Indentified from Chloroform Fraction of Persimmon Leaves

  • Moon, Suk-Hee;Jeong-Ok kim;Park, Kun-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203-207
    • /
    • 1996
  • Methanol extract of dried persimmon leaves was refractionated using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n-butanol aqueous fractions. Among these chloroform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ion rate on the mutagenicities of aflatoxin B₁(AFB₁) and 3,2' -dimethyl-4-amino-bipheny1(DMAB)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Chloroform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into eight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The fraction 5 on TLC exhibited the highest antimutagenic activities in AFB₁and DMAB. 2,4-Decadienal, dihydro-4-methyl-2(3H)-furanone, hexanoic acid 1,4-bis(1-methy1 ethy1)benzene, heptanoic acid, phenol, octanoic acid, nonanoic acid and benzoic acid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this antimutagenic fraction by GC-MS.

  • PDF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Korean Soy Paste)

  • Park, Kun-Young;Suk-Hee;Cheigh, Hong-sik;Baik, Hyu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권2호
    • /
    • pp.151-158
    • /
    • 1996
  •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soy paste) on various carcinogens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of TA98 and TA100 were studied. By the addition of methanol extract of Doenjang to aflatoxin B₁(AFB₁)in the experimental system, the mutagenicity of AFB₁ on the strains of TA98 and TA100 was com-pletely inhibited. The methenol extract of the Doenjang also inhibited the mutagencities induced by direct mutagens such as N-methy1-N'-nitro-N-nitroguanidine(MNNG)and 4-nitroquinoline-1-oxide(4-NQO), and another indirect mutagens of benzo(a) pyrene(BaP) and dimethylnitrosamine(DMN). From the solvents and thin layer chromatographic(TLC) fractionations, free fatty acid(s), especially linoleic acid in Doenjang seemed to be one of the active antimutagenic compounds.

  • PDF

미나리와 돌미나리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작용과 항산화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ater Dropwort and Small Water Dropwort)

  • 이경임;이숙희;박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ater dropwort and small water dropwort by Ames test and by measuring malondialdehyde(MDA) production. Water dropwort and small water dropwort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further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stepwise. The methanol extracts from both samples reduced the mutagenicities by aflatoxin $B_1(AFB_1)$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The production of MDA also decreased when the methanol extracts were added to the system. The hexane,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fractions revealed higher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AFB_1$ than th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Among the five fractions,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ater dropwort and small water dropwort seem to be good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sources of food.

  • PDF

Artemisia속 식물들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Some Artemisia Species)

  • 박건영;하정옥;유영법;이종호;박종철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6-100
    • /
    • 1996
  • The extracts of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 argyi, A. capillaris, A. rubripes and A. laciniata were investigated on the antimutagenic effect againt aflatoxin $B_1$ $(AFB_1)$. The methanolic extracts of 5 Artemisia species reduced the mutagenicity of $AFB_1$. And also 4,5-O-dicaffeoylquinic acid isolated from A. princeps var. orientalis revealed the antimutagenic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