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L impairmen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9초

요양병원에 내원한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진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t Convalescent Hospitals)

  • 김윤종;김두리;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77-85
    • /
    • 2018
  •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요양병원의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일반적 특성, 입원 및 진료특성을 분석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효율적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일 지역에 소재하는 요양병원에서 경도인지장애(F067)를 주진단으로 하는 입원환자 303명의 명세서 건이다. 본 연구결과, 재원일수는 계절별로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겨울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결과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퇴원일 때 재원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총 진료비는 계절별로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에서 겨울이 높았다. 환자 분류군는 ADL 4~5점 그룹에서는 인지장애군의 진료비가 가장 높았고,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문제행동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조기발견과 치료는 잠재적인 치매환자 발생과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 감소에 효과적인 방안이자 대단히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고찰 (Review of the instrumental ADL for th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안시내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2호
    • /
    • pp.37-45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관심이 되고 있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특징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임상가들에게 작업치료에서 경도인지장애환자를 평가 및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현재 치매환자를 위한 작업치료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매로 전환될 위험이 높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하여 작업치료적 접근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고찰에서는 정상노인과 감별하기 어려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작업영역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근거들을 다루었으며,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치매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치매로 발전 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 집단인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의 작업영역을 고려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와 그에 따른 작업치료적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00세 이상 고령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수준 및 관련 요인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entenarians in Korea)

  • 송영수;김태백;배남규;김기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68-277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인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00세 이상 고령자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을 알아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부터 2014년까지의 기간 동안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 및 장기요양인정조사를 받은 주민등록상의 100세 이상 고령자 268명(남성 132명, 여성 136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거주 지역, IADL,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IAD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ADL과 인지기능장애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인지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흡연상태, ADL 및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신체적 건강(ADL, IADL) 및 정신적 건강(인지기능장애, 치매) 수준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은 좋은 군보다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수준이 저하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맞춤형 인지프로그램이 치매와 경도인지손상노인의 LOTCA-G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Cognitive Program on LOTCA-G and ADL in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효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9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OTCA-G and ADL by individualized cognitive program in elderly with vascular dementia, alzheime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old man and woman diagnosed with vascular dementia, alzheime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24 patients were picked up, who were agreed with this research and were having hospital care for 3weeks at nursing care centers. Individualized cognitive program was applied to 8 patients of vascular dementia, 8 patients of alzheimer dementia and 8 patient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Cognitive function measured by LOTCA-G and performance measured by FIM. The SPS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he significance level for statistical inspection was set as 0.05. Result : In comparison of LOTCA-G was significant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and among three group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ut FIM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intervention and among three group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erefore, the individualized cognitive program is useful to improve the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재가노인의 시청각기능장애가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 박은옥;김은영;김희걸;소애영;이꽃메;전경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17-427
    • /
    • 200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home visiting interviewers from 452 older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community. Resident Assessment Instrument MDS-HC(2.0version)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as made by SAS 6.2 Results: 34.7% of the subject had hearing impairment and 64.3% had visual impairment Among IADL. one half of them were dependent in ordinary house work and meal preparation. In the case of ADL. 13.9% of subjects were dependent in bathing and 8.9% in personal hygien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ADL performance by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On the other hand, ADL performance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case of hearing impairment. As the result of inpu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in the process of regression. variances were increased from 3% to 11%. Conclusions: Large proportions of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have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It could be confirmed that hearing and vision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on IADL performance of older people. Intervention and support policy for elderly needs to focus on improvement of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

  • PDF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활동(ADL) 결정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Path Analysis of Determinants Influencing ADL Among the Adult Population with Cerebral Palsy)

  • 김정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57-85
    • /
    • 2006
  • 본 연구는 장애가 신체적 손상과 ADL 사이에 개인의 건강문제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포함되는 것이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장애개념 정의에 따라 뇌성마비를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손상이 실제적인 장애로 발현되는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통증과 도구적 지지를 각각 일상생활활동(ADL)의 매개변인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총 3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마비부위가 일상생활활동(ADL)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성별, 연령, 뇌성마비유형 등은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적 통증문제가 매개될 경우 연령, 뇌성마비유형, 마비부위 모두가 통증문제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일상생활활동(ADL)에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구적 지지의 정도가 통증문제와 일상생활활동(ADL) 모두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개인의 손상이 곧바로 활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이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이 매개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PDF

만성 관절염 환자의 기능적 손상과 심리적 상태 분석 (Functional Impairment and Psychological Status in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 임난영;이은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2-8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unctional impairment and psychological status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s in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The sample was consisted of 75 arthritic patients who visited H hospital and S welfare center. Functional impairment was measured by ADL, pain, and the number of painful joint. Psychological status was measured by depress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mean ${\pm} S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n functional Impairment, ADL was below average which means somewhat difficult, pain was above average, and the number of painful joint was 9.20. 2. In psychological status, scores of quality of life was 97.89, depression was 41.28, self-efficacy was 895.35. 3. Pai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self-efficacy, ADL and quality of life,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depression. 4.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explained 45%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nursing intervention improving psychological status would be useful for patients with chronic arthritis.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implement nursing intervention focused on increasing self-efficacy and decreasing depression.

  • PDF

농촌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ADL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 김석범;강복수;김상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65-71
    • /
    • 1999
  • 농촌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일상생활 활동도 사이의 상관성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하여 추후 공공보건기 관에서 치매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계획 수립과 우선순위 선정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1998년 2월부터 4월까지 경상북도 경주시 소재 l개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내의 65세 이상 전체 노인 265명 중 부재중이거나 비협조적인 55명을 제외한 210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 연령, 배우자 유무, 동거가족 수, 교육정도, 종교, 의료보장 형태 등을 설문조사하였고, MMSE-K와 K-MMSE로 인지 기능장애를 검사하였으며,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활동도 측정도구인 Bristol ADL 평가척도로 일상생활 활동도를 조사했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과 연령에 따라 t-test, ANOVA 및 $\chi^2-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인지기능장애정도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검사 점수의 평균값은 두가지 검사 모두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MMSE-K점수에 의한 확정적 치매는 전체 노인에서 12.9%였고 남자 7.0%, 여자 16.9%로 여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인지기능검사 점수의 평균값은 두가지 검사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MMSE-K점수에 의한 확정적 치매가 남자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에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했다(p<0.05). 일상생활 활동도의 평균값은 총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MMSE-K와 K-MMSE의 두가지 성적 모두는 일상생활 활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65-69세, 70-79세, 80세 이상의 세 연령군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 항목들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단적 일상 생활 활동도, 자기관리, 인지능력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인지기능검사 점수와 일상생활 활동도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으며 추후 지역사회 공공의료 조직에서 치매노인을 관리할 때 그 대상자의 선정에서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더 불어 일상생활 활동도의 정도를 감안하여 우선순위를 두고, 관리시에도 인지기능장애 정도와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 맞는 일상생활 활동도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 PDF

파킨슨병 환자의 인구학적.임상적 특성에 따른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Influence of Clinical and Demographical Variables on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송경애;최동원;박혜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9-256
    • /
    • 200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linical and demographical variables on depressi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nd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Meth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100 participants registered in the neurology department of C university hospital. Duration and stage of disease, fall history, vision impairment,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orthostatic hypotension, ambulation impairment, and use of walking aid were included in clinical variables. Depression, IAD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assessed using Kee's GDSSF-K, Cho's scale, and K-MM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Results: The depression score for the participants was 7.78, higher than cut-off score(5). Participants who were male, living with spouse, above high school education, high economic status, with no vision impairment, and no ambulation impairment revealed high cognitive scores. Average IADL score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articipants who were male, who had high economic status, low stage of disease, and no ambulation impairment. Depression IADL & cognitive funct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mbulation impairment. Scores for AD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Conclusion: It is recommended that make programs for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clinical and demographic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needs.

  • PDF

스위스볼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여성노인의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wiss Ball Exercise on Lower Extremity Function of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신형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9-12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 Swiss Ball exercise program is effective to improve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ethods: This study was a double blind control study. Subjects participated 34 female elderly women who were assigned to exercise group (n=17) and control group (n=17). The Swiss Ball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2 times a week during the 12 weeks. Pre-and post-exercise various measurements were made: lower extremity function (OLS, TUG, STS). Results: In exercise group, There showed statically significance improve between pre-and post-exercise in OLS (7.29${\pm}$1.10 and 7.64${\pm}$1.32), TUG (10.47${\pm}$2.03 and 10.05${\pm}$2.04), STS (7.71${\pm}$1.04 and 7.94${\pm}$.82)(p<.05). ADL also showed statically significance improve between pre-and post-exercise (13.76${\pm}$3.54 and 12.82${\pm}$3.39, p<.05). There showed sta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5). Conclusion: The Swiss Ball exercise program improved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ADL of elderly women with MCI.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assessment of motor function of lower extrem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