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6초

Starch gel 전기영동법에 의한 한국산 초파리의 alcohol dehydrogenase (ADH)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lcohol Dehydrogena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in Korea by Starch Gel Electrophoresis)

  • Chung, Yong-Jai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7-77
    • /
    • 1973
  • 한국산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starch gel 영동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춘천, 진주, 신촌(서울), 대전의 초파리 4계통을 starch gel media를 사용하여 벤드의 분포, 염색강도 및 이동도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춘천, 진주, 신촌(서울)의 3계통은 벤드의 수와 분포, 염색강도, 이동도가 다 같이 심한 변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반하여 대전계통은 변이가 거의 없다. 2) 이러한 전기영동상의 차이는 대전 계통의 초파리 집단이 ADH구성에 관하여 동질적(homogeneous)이고 다른 3계통의 집단은 이질적(heterogeneous)이라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3) 전기영동상이 4계통의 초파리에서 다 같이 암$\\cdot$수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설명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로서 장차 분석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4) Starch gel media가 cellulose acetate media보다 해상력이 월등하다는 것이 재확인 되고 있다. 5) Agar gel이나 acrylamide gel 같은 다른 영동 media를 써서 ADH의 전기영동 실험을 하여 starch gel media를 사용한 본 실험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과 ADH에 관한 유전적 분석이 시급히 요구되는 앞으로의 과제이다.

  • PDF

Effect of alcohol dehydrogenase 1C (ADH1C) genotype on vitamin A restriction and marbling in Korean native steers

  • Peng, Dong Qiao;Jung, U Suk;Lee, Jae Sung;Kim, Won Seob;Jo, Yong Ho;Kim, Min Jeong;Oh, Young Kun;Baek, Youl Chang;Hwang, Seong Gu;Lee, Hong G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099-1104
    • /
    • 2017
  • Objective: This work was to find the correl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1C (ADH1C) genotype with vitamin A reduction and carcass traits during the vitamin A restriction period. Methods: In study 1, 60 Korean native steers were fed a diet (890 IU/kg) with 8,000 IU and 0 IU of supplemental premix vitamin A/kg of dry matter (DM) for control and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e levels of serum vitamin A were analyzed through high preparative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the ADH1C genotype was analyzed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78.1% TT type, 21.9% TC type); however, CC type was not found. Then, the interaction between ADH1C and carcass traits on the vitamin A restriction was investigated in study 2. A total of 136 Korean native steers were fed a diet that included 930 IU/kg vitamin A of DM. Results: Serum vitamin A in treatment was reduced to 112.4 IU/dL in steers with TT type of ADH1C, while for steers with TC type the concentration of serum vitamin A was dropped to 79.5 IU/dL (p<0.1) in study 1. This showed that TC type had the potential to lower serum vitamin A concentration during vitamin A restriction compared to TT type. In study 2 we found that eye muscle area, marbling and carcass weight in Korean native steers with TC type were higher than in steers with TT type (p<0.05). Conclusion: The interaction between vitamin A restriction and TC type of ADH1C gene could have the potential of increasing the marbling in Korean native steer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teers with TC type of the ADH1C gene were more sensitive to the change of serum vitamin A than TT types. Furthermore, this finding has the potential to enable a higher marbling score under the condition of vitamin A restriction in Korean native steers.

The Differential Staging of Murine Thymic Lymphoma Cell Lines, Scid.adh, R1.1 and EL-4

  • Chae, Jong Seok;Kim, Hae-jung;Park, Weon Seo;Bae, Youngmee;Jung, Kyeong Cheon
    • IMMUNE NETWORK
    • /
    • 제2권4호
    • /
    • pp.217-222
    • /
    • 2002
  • Background: Scid.adh is a recently developed murine thymic lymphoma cell line, which has been used as in vitro model for the study of double negative stage III thymocyt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xpression profile of a number of genes and proteins, which are tightly related to T cell development and apoptosis, in thymic lymphoma cell lines, R1.1, EL-4, and Scid.adh for the developmental staging. Methods: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development marker genes and proteins in three lymphoma cell lines by flow cytometry and RT-PC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apoptosis-related molecules including bcl-2, bax and Fas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As previously reported, Scid.adh cell line expressed CD8 and CD25 but not TCR ${\alpha}$ chain, while R1.1 cells expressed TCR ${\alpha}$ chain and both CD4 and CD8 transcripts. These suggest that R1.1 might be in double positive stage, and low level of CD44 expression and the absence of CD25 support this suggestion. In contrast, EL-4 cells showed high level of TCR ${\alpha}$ chain transcript, and low-level of CD4 expression, suggesting that EL-4 is in more mature stage than R1.1. Further, this suggestion was supported by the lack of mT-20 in EL-4 cells, which is expressed in the immature thymocytes, and Scid.adh and R1.1 cell lines, but not in the terminally differentiated thymocytes and peripheral T cells. Among the apoptosis-related gene, transcripts of bcl-2 gene were detected in both R1.1 and EL-4 but not in Scid.adh cells, while bax was expressed in all cell lines. Fas expression was the highest in EL-4 cells and low in Scid.adh cell line. Conclusion: R1.1 cell may represent double positive stage, and EL-4 is more differentiated cell line. In addition, Scid.adh and EL-4 cell lines are suspecte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function of bcl-2 family and Fas during the thymocyte development, respectively.

재조합 효모의 유가배양에서 Exoinulinase생산을 위한 Promoter의 선별 (Selection of Constitutive Promoter for Exoinulinase Production in Fed-Batch Culture of Recombinant Yeast)

  • 김이경;고지현;김연희;김성구;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06-211
    • /
    • 2001
  • Klyyveromyces marxianus exoinulinase를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구성적으로 과발현 생산하기 위해, 구성적 promoter인 GAPDH, ADH1, PGK 및 ENOI promoters 하류에 exoinulinase 유전자 (INUI)의 ORF를 in frame으로 연결한 각각의 plasmi에 YIGP, pADHI,-INU, pPGK-INU 및 pENO-INU 를 구축하였다. 이들 각 plasmid를함유한 형질전환주 4종을 포도당 농도 5% 배지에서 회분배양한 결과 균체증식은 promoter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exoinulinase 발현수준과 plasmid 안정성은 사용한 promoter 에 크게 좌우되었다. 즉 exoinulinase 발현수준은 GAPDH PGK ADH1 ENO1 promoter 각각 1.70, 1.67 1.29, 0.80 unit/ml 였으며 plasmid 안정성은 GAPDH promoter 계의 55%를 제외하고 모두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plasmid 안정성과 exoinulinae 발현수준을 고려하여 ADH1 및 PGK 발현계를 선정하여 유가배양하였다 Yeast extract와 포도당을 간헐적으로 공급한 유가배양 결과, 두 발현계에서 약 30 g-DCW/1의 균체농도를 얻었지만, ADHI promoter 계에서는 3.70 unit/ml 의 최대 exoinulinase 활성과 96%의 plasmid 안정성을 보여TRh 반면에 PGK promoter 계는 각각 2.70 unit/ml/와 80%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lasmid 안정성과 긴 배양시간을 고려할 때 비선택적 영양배지를 사용하는 고농도세포 유가배양에서 ADH1 promoter가 exoinulinase 의 구성적 과발현, 생산에 더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lucose Oxidase의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의 대량생산 및 고효율 분비 (Overproduction and High Level Secretion of Glucose Oxid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홍성용;최희경;이영호;백운화;정준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5
    • /
    • 1998
  • A. niger의 GOD(Glucose Oxidase) 대량생산과 효율적인 분비를 protein의 대량생산에 많이 사용되는 strain인 S. cerevisiae에서 시도하였다. S. cerevisiae의 ADH1과 GAL 10 promotor, 그리고 ${alpha}$-MF signal sequence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 및 S. cerevisiae의 GAL7과 A. niger의 GOD terminator를 이용하여 4개의 expression vector를 합성한 후 S. cerevisiae 2805에 auxotroph 방법으로 형질변환시켰다. 변이체들을 배양하여 세포내와 세포외의 GOD활성도를 분석한 결과 GAL 10 promotor가 삽입된 pGAL변이체들이 ADH1 promotor가 삽입된 pADH 변이체들 보다 GOD 생산성이 높았다. GAL 10 promotor와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2에서 115시간 배양시 GOD의 생산이 가장 높았다($GOD_{total}$: 10.3 unit/mL, $GOD_{ex}$: 8.7 unit/mL). 이 수치는 같은 promotor인 GAL 10 promotor와 ${alpha}$-MF signal sequence가 삽입된 pGALGO1보다 3배정도 높다. 이 결과는 ADH 1 promotor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일치하였다. 또한 A. oryzae의 ${alpha}$-amylase signal sequence가 S. cerevisiae의 ${alpha}$-MF signal sequence보다 GOD를 더 효과적으로 분비시켰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보면 signal sequence가 단백질의 분비 외에도 단백질 합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된다. pGALGO1과 pGALGO2의 GOD분비효율은 각각 89%, 84%이었다. S. cerevisiae에서는 일반적으로 과당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S. cerevisiae에서 합성된 재조합 GOD의 분자량은 250 kDa으로 A. niger의 GOD(170 kDa)보다 더 컸다.

  • PDF

저산소 조건하에서 맥류 유묘의 근생장 및 혐기발효 효소의 반응 (Effects of Hypoxia on Root Growth and Anaerobic Fermentative Enzymes in Winter Cereal Seedlings)

  • 박명렬;임정현;유남희;권인숙;김정곤;최경구;윤성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00-40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맥류 습해의 원인인 과습에 의한 근권의 산소부족이 맥류 뿌리의 생장 및 혐기 발효대사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 lactate dehydrogenase, LDH)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1.5엽기 맥류 유묘에 용존산소 1.5-2 ppm 정도의 혐기처리를 1, 3, 5, 7일간 실시하였다. 혐기조건에서 뿌리의 생장은 모든 맥종에서 감소하였으며, 감소정도는 내습성이 낮은 보리가 내습성이 높은 밀과 호밀보다 낮았다. 정상조건에서 ADH 활성은 보리가 LDH 활성은 호밀이 가장 높았으나 두 효소 모두 맥종 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처리에 의해 ADH와 LDH 활성은 모든 맥종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증가 정도는 호밀과 밀에서 가장 높았고 보리에서 가장 낮았다. 혐기조건에서 이들 효소의 활성증가는 모든 맥종에서 유사하게 항시발현 동위효소의 증가 및 새로운 동위효소의 발현유도에 의해 나타났다. 혐기조건에서 ADH와 LDH 활성 증가 정도는 맥종의 재해저항성과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맥류의 내습성에 혐기 발효계 효소가 관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녹두나물 재배온도에 따른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ADH 및 ALDH 활성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ADH, ALDH Activities of Mungbean Sprout Based on Growth Temperature)

  • 김동관;손동모;천상욱;이경동;김경호;임요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6
    • /
    • 2009
  • 본 연구는 녹두나물 재배온도($15{\sim}30{\pm}1^{\circ}C$)에 따른 나물의 생육과 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DPPH와 ADH 및 ALDH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 녹두나물 재배온도가 높을수록 나물 생산수율은 높고, 경실비율은 낮았으나 $25{\pm}1^{\circ}C$$30{\pm}1^{\circ}C$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녹두나물의 ethanol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 $25{\pm}1^{\circ}C$,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재배온도 $15{\pm}1$, $20{\pm}1^{\circ}C$에서 많았다. 3. 녹두나물 ethanol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재배온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ADH와 ALDH활성은 재배온도 간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 이상의 녹두나물 생산수율, 페놀화합물 함량, 생리활성 등을 고려해볼 때 녹두나물 재배 최적온도는 $20{\sim}25^{\circ}C$로 보아진다.

Populus alba × P. glandulosa의 4가지 Isozyme (GOT, ACP, MDH, ADH)의 유전(遺傳) (Inheritance of four Isozymes(GOT, ACP, MDH, and ADH) in Populus alba × P. glandulosa F1 Hybrids)

  • 손두식;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90-98
    • /
    • 1985
  • 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의 유전변이(遺傳變異)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GOT, ACP, MDH, ADH의 isozyme을 starch gel에 의한 수평식(水平式)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으로 조사(調査)하였다. 염색결과(染色結果) 4종류(種類)의 동위효소(同位酵素)에 모두 band가 나타났으며 GOT의 band는 6 - 7 loci로 구분(區分)되고, 이 중 변이(變異)를 보인 다섯 loci에서 양친수(兩親樹)의 유전자형(遺傳子型) 추정(推定)에 의한 차대(次代)의 분리비(分離比)는 이론치(理論値)와 관찰치(觀察値)가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ACP에 있어서 두 개의 locus가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되며 A-zone은 monomorphic하게 나타났고, B-zone에서는 P. alba는 band가 없고 P. alba ${\times}$ P. alba는 $B_1$-band가 있으므로 교잡종(交雜種)에서 현사시나무 2호가 1호보다 유전변이(遺傳變異)가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MDH는 변이(變異)가 없는 한 개 유전자좌(遺傳子座)와 변이(變異)가 있는 두 개의 유전자좌(遺傳子座)가 확인되었다. ADH는 교배양친수(交配兩親樹)가 각각(各各) 한 개의 다른 A-band만 나타내나 차대(次代)는 모두 3개의 band를 나타내어 양친수(兩親樹)는 homozygote, 차대(次代)는 heterozygote로 추정(推定)되고 중간(中間) band가 나타남으로 dimer로 판단되었다. 교배모수(交配母樹)인 은백양과 화분수(花粉樹)인 수원사시나무는 4가지 enzyme에 있어서 클론간(間)에 모두 변이(變異)가 없었다.

  • PDF

담수조건하 벼 발아 및 입모단계시 항산화효소 및 Alcohol dehyrogenase활성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Alcohol Dehydrogenase in Young Rice Seedlings Submerged in Water)

  • 손지영;고종철;김우재;김보경;김정곤;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0-446
    • /
    • 2008
  • 상시담수 하에서 발아 및 안정적인 입모를 확보하는 것은 담수직파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조건에 서는 유묘생장이 억제되지만, 담수 처리 시 초기생육이 우수한 익산429와 담수 처리 시 생육이 저조하며 생존율이 낮은 Woodrose 2품종에 대해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담수 처리하여 혐기대사와 관련된 ADH활성과 항산화효소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담수 처리 시 벼는 유아만 신장하며 뿌리는 신장하지 못했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담수상태에서 생존기간이 길었고 생장도 빨랐다. 그러나 무 처리에서는 Woodrose의 생육이 빨랐다. 2. ADH활성은 담수 처리 시 무 담수에 비해 급격히 증가하였고, 익산429가 Woodrose보다 활성이 오래 유지되었는데, 처리 7일째는 익산429가 무처리에 비해 약 7배, Woodrose는 약 2.5배 증가하였다. 4. SOD, POX, CAT 활성 모두 담수 처리에서 무 담수보다 낮았다. 그러나 SOD는 담수시 무 담수에 비해 크게 활성이 낮지는 않았으며 품종 간에는 익산429의 활성이 무 담수 및 담수 처리 모두 Woodrose보다 높았고 담수 시에도 익산429가 Woodrose보다 높게 유지되었다. POX 활성변화는 담수시 익산429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Woodrose는 큰 변화가 없었다. CAT활성은 담수 처리 초기부터 아주 낮은 활성을 보여 처리기간 동안 거의 증가하지 않았으나 무 담수시에는 3일까지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담수 처리 시 발아 및 초기생육기간 동안 담수내성이 약한 품종에서 SOD와 POX의 역할이 크고 ADH활성이 높게 유지되어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품종이 담수 시 초기생육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Aloe속 식물이 알콜대사에 미치는 작용에 관한 연구(1) -Aloe vera가 알콜 및 알콜대사효소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the Effect of Aloe spp. on Ethanol Methabolism (I). -Effect of Aloe vera on Serum Ethanol Level and Hepatic ADH Activity-)

  • 신국현;우원식;송영진;정하숙;이정미;심창섭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8-153
    • /
    • 1995
  • As an initial step for evaluating hepatoprotective components against alcohol-induced toxicity, the effect of various fractions from Aloe vera on alcohol metabolism in rats were examin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ater soluble fraction, after a single oral administration to rats, was found to cause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erum ethanol concentration as well as enhancement of liver cytosolic ADH activity. On the other hand, the fractions soluble in organic solvent was found to cause an increase in the blood ethanol concentration and inhibit ADH activity. Further fractionation of the water soluble fraction by ultrafiltration system gave four subfractions corresponding to molecular weight and treatment of them in rats demonstrated that subfraction of M.W. > 30,000 exhibited the most potent enhancing activity of ethanol methabolis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