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F

검색결과 947건 처리시간 0.036초

The Evaluation of Nutritive Value of Three Tropical Browse Species for Sheep Using in Vitro and in Vivo Digestibility

  • Yahaya, M.S.;Kibon, A.;Aregheore, E.M.;Abdulrazak, S.A.;Takahashi, J.;Matsuok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96-500
    • /
    • 2001
  •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nutritive value of three tropical browse species as assessed by DM and CP digestibility, and NDF and ADF degradability with incubation times (T) of 6, 12, 24 and 48h. During the in vivo digestibility experiment three male castrated sheep (age 16 - 25 months) with a mean liveweight of $11.5{\pm}0.9kg$ were placed in individual metabolism stalls and were allocated to one of the three browse species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browse species were all leguminous and consisted of: Acacia sieberina (A. sieberina), Ficus polita (F. polita), and Ficus sycomorus (F. sycomorus). The mean DM and CP contents of F. polita were higher than for A. sieberina and F. sycomorus (p<0.05). In contrast the NDF and ADF contents of F. sycomoru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examined (p<0.05). The in vitro DM and CP digestibility, and NDF and ADF degradability observed at different stages of incubation were higher in F. polita followed by A. sieberina and F. sycomorus. The DM and CP digestibility at 48 h incubation were 72.92, 74.84 and 53.52% and 77.38, 77.68 and 63.64% for A. seiberina, F. polita and F. sycomorus,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F. polita contains more soluble materials which ruminant can benefit from and hence has more feeding value. The fermentation of F. sycomorus was slower for all the nutrients evaluated due to the presence of more fibre. Similarly, higher in vivo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DM, CP, NDF, ADF and hemicellulose were observed for F. polita reflecting its higher values of CP, ether extract (EE) and hemicellulose associated with lower values of NDF and ADF. Higher DMI and daily gain were recorded in sheep during feeding of F. polita compared to the other species evaluated. The digestibility of all the nutrients examined were higher in the in vivo than in the in vitro trial except for CP and DM. Sheep showed no visual signs of toxicity throughout the study periods. These results showed A. seiberina, F. polita and F. sycomorus can sustain sheep on a maintenance diet and could as well be used as a supplementary feed to low producing animals during the tropical dry seas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certain the viability of using these browse species on a long-term basis.

율무와 염주의 식이섬유, 아미노산 및 지질 성분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etary Fiber, Amino Acids and Lipid Components of Yullmoo and Yeomjoo)

  • 우자원;이미숙;이희자;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9-275
    • /
    • 1989
  • 현율무, 율무쌀, 율무겨 그리고 현염주를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함량, acid detergent fiber 함량, lignin 함량, 수분 결합력, 아미노산 조성 및 중성지질 조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율무쌀의 총 식이섬유량은 2.70% 였고, 현율무는 3.86% 였으며 현염주는 4.33% 그리고 율무겨는 13.12%였다. Acid detergent fiber 양은 율무쌀이 1.81%로 가장 낮았고 현율무, 현염주는 각각 3.45%, 3.26%로 비슷한 값이었다. 율무겨에서 추출한 총 식이섬유와 acid detergent fiber 의 수분 결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바 총 식이섬유의 수분 결합력은 $2.63{\pm}0.02g\;H_2O/g\;TDF$로 매우 낮았고, acid detergent fiber의 수분 결합력은 $5.89{\pm}0.152g\;H_2O/g\;ADF$였다. 율무쌀, 현율무, 현염주 그리고 율무겨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leucine 이었으며, 율무쌀의 경우 leucine 의 chemical score는 189로 매우 높았으며 반면에 lysine의 chemical score는 22-32 사이로 매우 낮아 율무, 염주의 제한 아미노산이 되었다. 지질성분은 중성지질이 80.89%-96.55% 범위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당지질이 2.35%-7.48% 사이로 현염주의 당지질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함량이 매우 낮아서 1.10%-2.12% 범위였다. 각 지질 성분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 였으며 현염주를 제외하고는 조성상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PDF

채소류(菜蔬類)의 식이성(食餌性) 섬유소(纖維素)의 함량(含量)과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 강태순;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9-54
    • /
    • 1987
  • 일반적인 식용채소류인 무우잎, 배추, 시금치, 냉이, 고추잎, 콩잎, 양배추를 시료로 하여 건물양에 대한 DF값으로 NDF, ADF, Lignin, Hemicellulose, Cellulose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NDF는 $12.9{\sim}41.9%$, ADF는 $7.7{\sim}16.9%$ Lignin은 $0.9{\sim}7.6%$, Hemicellulose는 $2.9{\sim}25.0%$, Cellulose는 $6.3{\sim}12.7%$로서 고추잎, 들깨잎, 콩잎에서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물성적 측면에서는 DF의 Water-Holding Capacity(WHC)와 밀도를 조사하였는데 시료의 Acetone Dried Powedr(ADP)의 WHC는 $6.6{\sim}10.4(gwater/g\;ADP)$였고 무우잎, 콩잎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고추잎, 들깨잎에서는 다소 낮은 편이었다. 밀도에서는 대체로 Direct(non-packed) 값은 Bulk(packed) density와 상응하였다.

  • PDF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Selection of Promising Forage Crops and Variety for Forage Production in Paddy Field 3. Yeongnam region (Milyang))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고종민;임시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5-92
    • /
    • 2007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양질의 조사료를 최대한 생산하기 위한 적정 사료작물을 선발하고자 경남 밀양 영남농업연구소에서 보리(5품종), 밀(2), 호밀(3),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3) 등 4작목 13품종을 공시하여 $1999{\sim}2001$년까지 3년간 생육단계별로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보리의 출수기는 4월 $20{\sim}24$일, 유숙기는 5월 $9{\sim}10$일, 황숙기는 5월 $21{\sim}24$일이었다.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ha당 $7.89{\sim}9.66$톤이었으며, 평균 ADF는 29.7%, NDF는 56.3%였고, 5품종 중 알보리와 내한쌀보리가 가장 우수하였다. 밀은 보리에 비해 출수 및 성숙기가 1주일 가까이 늦었으나 수량성이 높고 사료가치가 우수하며(평균 ADF 29.2%, NDF 54.8%), 유숙기${\sim}$황숙기 기준 건물수량은 $9.13{\sim}10.38$톤이었다. 호밀은 출수기가 4월 $20{\sim}24$일이었으며, 초장이 148cm 정도로 개화 이후 도복이 심하였고, 개화기 건물수량은 13.64톤, 사료가치는 평균 ADF 35.0%, NDF 59.9%로 가장 낮았다. 중만생 IRG는 답리작용으로 권장하기 어려웠으나 조생 IRG는 5월 2일 출수로 개화기 전후(5월 13일경)수확이 유리하고, 이 때 건물수량은 5.51톤이었다. 본 시험에서 벼 이앙시기, 건물생산성, 출수기, 사료가치, 도복 등을 종합고려한 유망작목은 보리, 호밀, 조생 다수성 IRG, 밀로 추정된다. 5월 중순 벼 이앙시 적정 사료작물은 5월 상순에 수확이 가능한 호밀, 5월 하순 벼 이앙시에는 5월 중순 수확이 가능한 보리(알보리, 내한쌀보리)와 조생 다수성 IRG, 6월 상순으로 벼 이앙시기가 늦을 경우에는 5월 하순 수확이 가능하면서 생산성과 사료가치가 높은 밀이 권장되었다.

THE AKARI DEEP FIELD SOUTH: PUSHING TO HIGH REDSHIFT

  • Clements, David L.
    • 천문학논총
    • /
    • 제32권1호
    • /
    • pp.275-279
    • /
    • 2017
  • The AKARI Deep Field South (ADF-S) is a large extragalactic survey field that is covered by multiple instruments, from optical to far-IR and radio. I summarise recent results in this and related fields prompted by the release of the Herschel far-IR/submm images, including studies of cold dust in nearby galaxies, the identification of strongly lensed distant galaxies, and the use of colour selection to find candidate very high redshift sources. I conclude that the potential for significant new results from the ADF-S is very great. The addition of new wavelength bands in the future, eg. from Euclid, SKA, ALMA and elsewhere, will boost the importance of this field still further.

춘파재배에 따른 사초용유채의 주요형질차이 (Difference of Major Characters by Spring Sowing of Forage Rape)

  • 권병선;신정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76-280
    • /
    • 2003
  • 남부지역에 적응한 사초용 유채의 춘파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3월 25일에 파종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수성이며 조단백질 함량과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가 높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이 낮아서 영양가가 우수한 춘파 용 사초 유채는 Velox 품종이었다. 2. Velox품종은 초장이 길고 경태가 두꺼웠으며 주경의 잎도 많았고 생체중 과 총건물수량이 가장 많았다. 3. 모든 형질에 대한 유전력은 대부분의 형질에서 높았으나 hemicellulose에서만이 낮게 평가되었다.

탄닌함량이 높고 낮은 사초류를 급여했을 때 산양에 의한 섭취량 , 소화율 및 질소이용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Intake , Digestibility , and Utilization of Nitrogen by Gcats Consuming High and Low Tannin For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이중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0-234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take, digestibility and utilization of nitrogen by goats consuming high and low tannin diets. Low tannin diets were 100% grass(GS) and 50% grass + SO% alfalfa (GA), and high tannin diets were 50% grass + 50% lespedeza(GL) and 50% grass + 50% oak browse(G0). Dry matter intake did not differ among all diets, bu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ellular constituents, NDF and ADF showed slightly lower for high tannin diets(GO) than low tannin diets(GS and GA), but those were not differ between GL and low tannin diets with the exception of ADF digestibility. Total faces and urinary N were lower for high tannin diets than for low tannin diets. Apparently digested N was high in GA diets, but low in GO diets(P

  • PDF

도심 환경에서의 이동 통신 다경로 페이딩 채널 시뮬레이션 (Multipath Fading Channel Simulation in Urban Mobile Radio Environment)

  • 이동윤;김형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21-729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도심환경에서 채널 상태를 잘 나타내는 Aulin의 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육상 이동 통신 채널을 시뮬레이션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고, 다양한 채널 상태를 모사할 수 있는 Jakes 방식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Jakes 방식의 전력 스펙트럼이 실제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제안된 방식으로 생성된 신호의 자기상관관계, LCR(Level crossing rate), ADF(average duration of fades)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얻은 후 이론치와 비교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였다. 또한 본 방법은 여러개의 독립적인 페이딩 신호를 쉽게 발생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광섬유 비대칭 커플러 Add-drop Filter의 해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Fiber-optic Asymmetric Coupler Add-drop Filter)

  • 강준환;김병성;정영철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75
    • /
    • 2000
  • WDM(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광통신 네트웍을 이루는 핵심기술중의 하나는 ADF(Add-drop Filter)의 구현에 있다. 광섬유격자와 여러형태의 구조를 이용한 ADF들 중에서도 비대칭 결합기와 광섬유 격자를 이용한 구조는, 간섭계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보다 안정된 특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어 많은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1)}$ . 비대칭 결합기 구조의 경우, 두 광도파로의 코어반경이나 굴절율 분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광파의 결합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브래그 격자의 반사조건을 만족하는 파장성분의 경우 입력단(input port)에서 드롭단(drop port)으로 반사되어 나오고, 그 외의 파장성분은 출력단(Output port)으로 나오게 되어 드롭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비슷한 원리로 add port에서 출력단으로의 add 기능도 수행된다. 본 논문에서는 연산자 분리 시영역 모델$^{(2)}$ 을 이용하여 비대칭구조에서의 파장응답 특성을 해석하였다. 또한 최적화를 위한 조건을 알아 보고, 소자 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정의하여 최적설계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구하였다. (중략)

  • PDF

Varietal Differences of Nutrient Quality of Rape in Spring Sowing

  • 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04-10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oil seed rape could be used as a forage fodder crop and to select the most suitable variety of forage rape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Two varieties of oil seed rape currently grown for oil production and six introduced varieties of forage rape with relatively high yield and high nutritional value were grown at the same condition and their nutritional value were observed in Spring. Generally, rape was considered as a useful forage fodder crop with high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 contents of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Differences in mean values of the above characters between two groups of ra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Velox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significantly lower contents of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and lignin compared with other varieties of forage rape in spring. Rape was relatively high in IVDMD compared with other forage fodder crops, and forage rape was more or less in IVDMD and DDMW than oil seed rape. Velox was the highest in IVDMD and DDMW among the varieties of forage rape in Spring, in this e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