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5초

Alkaline Prote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Alkaline Protease Producing Bacillus subtilis)

  • 최양미;이태경;홍범식;성하진;양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435-440
    • /
    • 1989
  • Alkaline prote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를 $100{\mu}g/ml$ NTG 처리하여 $Arg^-,\;Try^-,\;His^-\;Ade^-$ 영양요구성주를 분리하였다. 원형질체 형성은 대수증식기의 균체를 lysozyme $200{\mu}g/ml$$42^{\circ}C$에서 $10{\sim}30$분간 처리하였을 때 약 99%였다. 재생배지에 0.3M sodium succinate, polyvinylpyrrolidone 2.0%, casamino acid 0.5%, $10mM\;MgCl_2$$20mM\;CaCl_2$를 첨가했을 때 재생율은 25.2% 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40%(w/v)의 PEG 6,000 용액을 상온에서 $1{\sim}5$분간 처리시 약 $2{\sim}8{\times}10^{-5}$의 융합빈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이동체의 위성 수신용 안테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for mobile satellite receiver antenna)

  • 주상호;고정호;김영구;최익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529-153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Ku-band에서 동작하는 환형의 주름을 가진 코니컬 급전혼을 가진 축 이동 그레고리안 안테나를 개발하였다. 중심축을 기준으로 $1.5^{\circ}$정도 기울어진 부반사경을 회전하는 방식으로 위성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축 이동 그레고리안 안테나의 주반사경, 부반사경의 곡률 및 급전 중심점을 안테나의 효율이 최대가 되도록 최적화하였다. 제안된 반사경 안테나는 12.2GHz에서 33dB(효율 : 64%, 이론치 : -1dB)의 이득을 가지며 교차편파 레벨은 -21dB이하이다. 그리고 -14dB의 사이드로브레벨을 특성을 보였다. 또한 제작된 안테나로 무궁화 위성수신 실험에서 C/N비는 19dB임을 실제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NTG에 의한 Amylase활성이 높은 누룩사상균의 변이주의 분리 (Isolation of Mutants Overproducing Amylase from Nuruk Fungi by NTG)

  • 정혁준;김영숙;유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87-994
    • /
    • 2000
  • 한국 전통누룩으로부터 분리.동정된 Asp. coreanus NR 15-1, Asp. oryzae NR 15-3, 그리고 Asp. oryzae NR 2-5로부터 amylase활성이 높고 세포융합에 사용될 변이주를 분리하고 그의 특성을 검토했다. Aspergillus 속 사상균을 변이처리하기 위한 변이원으로는 NTG를 사용하였으며 Asp. coreanus NR 15-1로부터 총 15종의 변이주중 8종의 영양요구변이주, Asp. oryzae NR 15-3 으로부터 총 5종중 3종의 영양요구변이주를, Asp. oryzae NR 2-5로부터 총 6종중 2종의 영양요구변이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영양요구변이주는 최소배지 에서는 생육하지 않았으며 특정 아미노산과 핵산염기 등을 배지에 첨가했을 경우에만 생육하였다. 분리된 변이주의 당화력, 액화력 및 산 생성능 등을 검토한 결과, 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인 Asp. coreanus NR 15-1로부터 glucoamylase 활성이 높은 \ulcorner(Arg. ̄) 변이주와 Asp. oryzae NR 2-5로 부터 $\alpha$-amylase 활성이 우수한 영양요구변이주인 Z6(Ade. ̄) 변이주를 세포융합에 사용이 가능한 변이주라 사료되었다. 앞으로 이 들의 변이주를 대상으로 세포융합을 통해 우수한 사상균주를 획득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가 됨으로서 전통누룩의 과학화에 기여할 뿔만 아니라 외국 주류와 경쟁력이 있고 과학화된 전통주류의 개발이 가능하리 라 사료된다.

  • PDF

합성곱 저장대모형을 이용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 거동 해석 (Solute Transport Analysis in a Natural River using Convolutional Storage Model)

  • 김병욱;서일원;권시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0-200
    • /
    • 2021
  • 하천은 용수공급, 관개, 친수활동, 산업활동 등 인간의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수질관리는 필수적이며 유기물, 중금속, 화학물질 등의 용존물질들은 수질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하천에서의 용존물질의 혼합 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지난 수십년간 이루어지고 있다. 하천 흐름에 따른 오염물질의 이동 및 확산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1차원 추적모형이 활용되는데, 그 중 하천저장대 모형(Transient Storage Model, TSM)은 자연하천의 복잡하고 불규칙한 수리·지형적인 특성을 단순하게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TSM은 매개변수에 대한 의존성과 불확도가 크며, TSM의 저장대에서의 농도분포에 대한 지수함수형태의 모델링이 하상간극수역(Hyporheic zone)에서의 저장대 특성을 반영하기에 구조적으로 부정확하다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TSM의 단점을 보완하고 하천에서의 저장대 메커니즘을 보다 정확하게 구현하고자 체류시간분포(residence time distribution)를 이용한 확률론적 저장대 모델링 프레임워크가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류대와 저장대에서의 오염물질의 체류시간분포를 분리하여 해석하고 이를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를 이용한 합성곱으로 결합한 형태의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상기의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9년 감천의 4.85km 구간에서 추적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당시 유량은 12.9 m3/s로 풍수기에 해당되며 평균 유속은 약 0.6 m/s로 측정되었다. 모형의 매개변수는 추적자 실험으로부터 최적화 기법을 통해 역모델링기법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모형에 의한 모의 결과를 추적자 실험에서의 농도측정자료와 비교한 결과, 평균 0.988의 결정계수를 보여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장대특성을 나타내는 농도곡선의 꼬리부에 대하여 같은 조건에서 1차원 이송-분산(ADE) 모형, TSM의 모의결과와도 비교한 결과 본 모형은 추적자 실험 농도측정 결과와 평균 0.195의 오차율을 보이며, 이는 ADE 모형과 TSM의 오차율인 14.03과 1.866에 비해 매우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gmentation 기반 전동킥보드 주차/비주차 구역 분류 기술의 개발 (Development of segmentation-based electric scooter parking/non-parking zone classification technology)

  • 조용현;최진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25-133
    • /
    • 2023
  • 본 논문은 공유형 전동킥보드 시스템 운영 시, 관리 상 발생할 수 있는 주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납 인증사진으로 주차, 비주차 구역을 판단하는 AI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주차/비주차 구역 배경 관련 객체를 판별하기 위해 ADE20K에 Pre_trained된 Segfomer_b0 모델과 점자블록, 전동킥보드에 Fine_tuning한 Segfomer_b0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에 관련된 객체의 Segmentation map을 추출하고, Swin 모델을 통해 주차/비주차 구역을 이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1,689장을 직접 라벨링한 후 진행한 Fine_tuning SegFomer 모델은 mAP가 81.26% 수준으로 전동킥보드와 점자블록을 인식하였으며, 총 2,817장을 훈련한 Classification 모델은 92.11%의 정확도와 91.50%의 F1-Score로 주차구역과 비주차 구역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국내외 자율주행자동차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 이병윤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4호
    • /
    • pp.10-16
    • /
    • 2016
  • 최근 자동차와 ICT가 융합되면서 이전에 느껴보지 못한 새로운 가치를 고객에게 전해주고 있다. 자동차산업의 가치사슬 또한 전자업체들이 들어오면서 이전과 다른 양상으로 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자율주행기술에서 이러한 모습이 잘 드러난다. 자율주행기술의 개발 추이를 보면 충돌방지기술(ADC) 분야의 특허가 53%로 가장 많고, 센싱 및 트래킹기술(AEC) 분야가 28%, 주행주차 지원기술(ACE) 분야가 9%로 그 다음 순이었다. 특히, 주행주차 지원기술(ADE) 분야의 특허는 1994년 이후 다른 분야의 특허보다 배 이상 앞서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일본의 주요 자동차회사들은 양적 수준에서 외국의 다른 완성차업체들보다 앞선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카 기술 개발에 대한 준비를 오래 전부터 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도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IT업체들과 자동차업체들의 제휴를 촉진하고 유망 중소기업과도 협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스마트카 분야의 선순환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화장칼만필터를 이용한 스티랩다운 관성항법시스템의 수평축 정렬 알고리즘 (A Leveling Algorithm for Strapdown Inertial Navigation System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 홍현수;박찬국;한형석;이장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31-1239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new leveling algorithm that estimates the initial horizontal angles composed of roll angle and pitch angle for a moving or stationary vehicle. The system model of the EKF is designed by linearizing the nonlinear Euler angle differential equation. The measurement models are designed for the moving case and for the stationary case, respectivel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leveling algorithm is ade-quate not only for acquiring the initial horizontal angles of the vehicle in the motion with acceleration and rotation but also for the stationary one.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다단 인발 공정 설계 (Process Design of Multi-Step Wire Drawing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김동환;김동진;김병민
    • 소성∙가공
    • /
    • 제7권2호
    • /
    • pp.127-138
    • /
    • 1998
  • Process design of multi-step wire drawing process, conducted by means of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has been considered. The investigated problem involves the ade-quate selection of the drawing die angle and the correspondent reduction rate in the condition of desired initial and final diameter. Combinations of the process parameters which are used in finite ele-ment simulation are selected by using the orthogonal array. Also the orthogonal array. Also the orthogonal array and the results of finite element simulation which are related to the process energy are used as train data of ANN. In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application of new technique using ANN and Othogonal array table to the process design of metal forming process is useful method.

  • PDF

청심연자탕(淸心蓮子湯)으로 치료하여 호전된 강직성 척추염을 동반한 중증 궤양성 대장염 1례 (A Case Report of Chengsim Yeunja-Tang for Ankylosing Spondylitis associated with Severe Ulcerative Colitis)

  • 장혜진;선중기;손덕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85-691
    • /
    • 2005
  • A 33 year-old mal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severe ulcerative and ankylosing spondylitis was treated and observed. Even though he had been treated with western medicine, he still complained of severe diarrhia, hemafecia, abdominal pain, general weakness, mild fever($37.8^{\circ}C$) and lower back pain. On radiologic examination, the lumbar view revealed the sacroliac joint space are irregular with adjacent bony sclerosis on both sides. He was treated with Chengsim Yeunja-Tang. Having been treated for 99 days, severity of ulcerative colitis changed from severe to mild ade, lower back pain reduced from nine to three, and all other symptoms impro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