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8초

THE FUNDAMENTAL SOLUTION OF THE SPACE-TIME FRACTIONAL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 HUANG F.;LIU F.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8권1_2호
    • /
    • pp.339-350
    • /
    • 2005
  • A space-time fractional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ADE) is a generalization of the classical ADE in which the first-order time derivative is replaced with Caputo derivative of order $\alpha{\in}(0,1]$, and the second-order space derivative is replaced with a Riesz-Feller derivative of order $\beta{\in}0,2]$. We derive the solution of its Cauchy problem in terms of the Green functions and the representations of the Green function by applying its Fourier-Laplace transforms. The Green function also can be interpreted as a spati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evolving in time. We do the same on another kind of space-time fractional advection-dispersion equation whose space and time derivatives both replacing with Caputo derivatives.

Streptomyces tubercidicus에서 Adenine과 Histidine에 의한 Tubercidin 생합성 조절 (Regulation of Tubercidin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tubercidicus by Adenine and Histidine)

  • 유진철;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0-166
    • /
    • 1991
  •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ubercidin biosynthesis in Streptomyces tubercidicus was studied. In a wild type strain, addition of adenine and histidine into the medium decreased the tubercidin production by 60-65% and 40%, respectively. The effects of adenine and histidine were alleviated by the addition of inosine monophosphate and 5-aminoimidazole-4-carboxamide ribotide. The production of tubercidin in S. tubercidicus K115 strain ($ade^{-}$ ) was nearly shut off by histidine. In contrast with K115 strain, adenine inhibited the tubercidin biosynthesis in S. tubercidicus K412 strain ($his^{-}$. In S. tubercidicus F667 strain ($ade^{-}$ , $his^{-}$ ), tubercidin production was increased by adenine and histidine. From the effects of adenine and histidine on tubercidin biosynthesis in S. tubercidicus wild type and mutant strains, it became known that feedback control by adenine and histidine of biosynthetic pathwat for purine ribonucleotide and histidine a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ubercidin biosynthesis.

  • PDF

2010년 3월 극심한 황사사례의 발생 및 수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break and Transport Processes of the Severe Asian Dust Event Observed in March 2010)

  • 김석우;송상근;한승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6-271
    • /
    • 2016
  • The source and transport of the severe Asian dust event (ADE) recently observe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based on observations (surface weather charts and satellite data) and modeling study (WRF-CMAQ modeling systems). The ADE occurred on 20-21 March 2010 in South Korea with very high $PM_{10}$ concentrations (up to approximately $3,000{\mu}g/m^3$ in Daegu and Jeju). The dominant meteorological conditions affecting the dust outbreak and transport process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two synoptic features: (1) strong airflows (i.e., westerlies) induced by a strong pressure gradient resulting from a dense isobar pattern (west-high and east-low) between Tuva Republic and Mongolia and (2) a rapid movement of the strong westerlies merged with airflows generated near Gobi Desert and Inner Mongolia. The merged strong westerlies with a low pressur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huge amount of AD and its transport height of 5-8 km. The time and location of dust emissions calculated in the source region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weather charts and satellite image. The ADE simulation mostly showed agreement in the patterns and the concentration levels of modeled dust (including $PM_{10}$) with those of the observations.

CityGML ADE를 이용한 실내공간 데이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Spatial Data Model Using CityGML ADE)

  • 강혜영;황정래;이지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1-21
    • /
    • 2013
  • 최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 및 활용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공간 기반의 공간정보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중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물의 대형화 및 복잡화로 인하여 재난 및 재해를 대비한 실내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실내공간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복잡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공간정보의 관리 및 서비스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실외를 중심으로 개발된 3차원 공간모델 및 서비스 등을 실내공간으로 확장 및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실내공간에 대한 공간정보 구축을 지원하고 위상정보를 통한 실내공간 위치기반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3차원 실내공간 데이터 모델은 CityGML 확장 객체모델과 객체간의 위상관계를 표현하는 IndoorGML을 참조하는 위상모델로 구성된다.

전력 품질 및 전력 고조파 측정 장치에 관한 연구 (A Research in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Electric Power Quality and the Harmonic Frequency)

  • 오규태;유영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0호
    • /
    • pp.233-239
    • /
    • 2012
  • 전력 계통에서 발생하는 고조파는 전동기 등 기기 오동작 및 고장, 불필요한 전력 소모 등을 야기시킨다. 고조파 발생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고조파 발생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며 본 논문에서는 아날로그 디바이스사의 ADE7880을 이용하여 고조파 발생 원인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전력품질 측정장치를 제작하고 동작을 검증하여 다양한 전력 품질 측정 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력은 일반적으로 45Hz에서 66Hz까지의 라인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사용한 ADE7880 필터대역인 2.8kHz 밴드 내에서 분석될 수 있는 고조파의 수는 2800/f로 최대 2800/45 = 63차 고조파까지 가능하며, 라인주파수가 60Hz인 한국에서의 최대 고조파차수는 2800/60 = 46차까지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전압, 전류, 전력 측정의 정확도는 0.1%이내의 오차를 가져 매우 정밀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CityGML ADE를 이용한 3차원 지하시설물 데이터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3D Data Model for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CityGML ADE)

  • 정다운;신동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5-252
    • /
    • 2021
  • 지하시설물은 여러 관리 주체들에 의해 필요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이는 곧 무질서하고 난립된 형태의 지하 공간 개발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지하 공간에서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하시설물의 체계적인 구축 및 관리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하시설물 정보의 체계적인 구축·관리 방안과 정보의 정확도와 품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관련 국제 표준을 준용한 3차원 지하시설물의 데이터 모델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논리적 모델을 설계 및 시각화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지상-지하를 포괄하는 현실 세계와의 일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정보를 통해 기존 지하정보의 정확도 및 활용도를 제고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기존의 2차원 형태의 지하시설물 네트워크 모델과 관로 중심의 3차원 시각화 모델과는 달리 지상과 지하 공간에서의 다양한 객체들을 포함하고 데이터 간 상호 연계 및 운용이 가능한 통합적인 데이터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LC-MS/MS를 이용한 수도권에 유통되는 친환경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Distributed Using LC-MS/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김종율;정유민;오한슬;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06-320
    • /
    • 2015
  •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분석 가능한 85종 농약을 대상으로 2014년 4-9월까지 수도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잔류농약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농산물은 유기농산물 170건, 무농약농산물 271건으로 총 441건이었고, 이를 대분류별로 구분하면 채소류 389건, 과실류 10건, 곡류 14건, 콩류 4건, 버섯류가 24건이었다.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채소류와 버섯류에서 유기농산물은 170건 중 2건, 1.2%의 부적합률을, 무농약농산물은 271건 중 6건, 2.2%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어 총 441건의 시료 중 8건에서 정량 한계 이상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1.8%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다. 대분류별로는 채소류에서 389건 중 5건, 1.3%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고, 버섯류에서 24건 중 3건, 11.1%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으며, 품목별로는 얼갈이배추, 홍고추, 풋고추 각 1건, 상추 2건, 양송이 3건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과실류, 곡류, 콩류 총 28건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농약 성분은 dimethomorph, etofenprox, imidacloprid, clothianidin, thiamethoxam, methomyl, carbendazim 등 7종으로 검출량은 0.018-0.534 mg/kg 수준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1일 섭취 허용량에 의한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농약의 1일 섭취 수준(%ADI)과 1인 1일 섭취 수준(%ADE)을 확인하여 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DI는 0.07728-9.46530%, %ADE는 0.00141-0.17210% 수준으로 확인되어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을 섭취하더라도 위해도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AN EFFECT OF LARGE DEFORMATIONS ON WAVES IN ELASTIC CYLINDRICAL LAYER

  • Akinola, Ade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5권3호
    • /
    • pp.811-818
    • /
    • 1998
  • A cylindrical elastic layer in finite deformation 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near longitudinal wave and the nonlinear shear wave are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the later on the parameter of large deformation is given.

Forward osmosis membrane filtration for microalgae harvesting cultivated in sewage effluent

  • Kim, Su-Bin;Paudel, Sachin;Seo, Gyu Tae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99-10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forward osmosis (FO) system for harvesting microalgae cultivated in secondary sewage effluent. Microalgae species used in this study were chlorella sp. ADE4. The drawing agents used for forward osmosis system were seawater and concentrate of sea water reverse osmosis (SWRO) system. Chlorella sp. ADE4 cultured in secondary sewage effluent illustrated moderate efficiency in removal of total nitrogen (TN) (68%) and superior performance in total phosphorus (TP) removal (99%). Comparison of seawater and SWRO concentrate as drawing agent were made in FO membrane separation of the microalgae. The result from this study depicts that SWRO concentrate is strong drawing agent in FO membrane system providing an average dewatering rate of $4.8L/(m^2{\cdot}hr)$ compared to seawater with average dewatering of $2.9L/(m^2{\cdot}h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FO system could be viable option for harvesting the microalgae for further biodiesel production. SWRO concentrate as a drawing agent could be very important finding in field of membrane technology for disposal of SWRO concentrate.

$\alpha$-Amylase 저해제 생성균 Streptomyces actuosus DMCJ-49와 Streptomyces minoensis DMCJ-144의 종간 융합에 의한 균주 개량 (Strain Improvement by Interspecific Fusion of Streptomyces actuosus DMCJ-49 and Streptomyces minoensis DMCJ-144 producing $\alpha$-Amylase Inhibitor)

  • 김지현;최응칠;김병각
    • 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0-37
    • /
    • 1991
  • Streptomyces actuosus DMCJ-49 and Streptomyces minoensis DMCJ-144 produce the .alpha.-amylase inhibitor. Inerspecific protoplast fusion technique was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alpha.-amylase inhibitor. Four auxotrophic mutants were obtained respectively from two strains by N-methyl-N'-nitor-N-nitrosoguanidine(3mg/ml) treatmen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toplast formation of Streptomyces actuosus DMCJ-49 ade was as follows; 1.2% w/v of glycine, 3mg/ml of lysozyme, and 30 min of lysozyme treatment followed by 36 hr. incubation in the protop-last formation medium. In case of DMCJ-144-his those were 1.2%w/v, 3 mg/ml, 30 minutes and 60 hours, respectively. Regeneration was accomplished with hypertonic soft agar medium that contained 0.4M sucrose, 20mM CaCl$_2$, 50 mM MgCl$_2$ and low levels of phosphate. Fusion of protoplasts carrying different auxotrophic markers was achieved by treatment with polyethylene glycol.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polyethylene glycol 1450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s was 40%w/v. When the protoplasts was treated with 40% polyethylene glycol for 30 minutes, the frequency of recombinants was 6.5$\times$$10^{-3}$ and the $\alpha$-amylase inhibition activity of $ade^-his^-$ No. 4, which is the fusant with the most improved activity increased from 33 to 125 I.U./m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