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TS+ radical

검색결과 1,859건 처리시간 0.031초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인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lack Onion)

  • 양아여;조정용;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4
    • /
    • 2012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그래서 EtOAc층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등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3,4-dihydroxybenzoic acid (1)와 quercetin (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ABTS^+$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전처리 조건에 따른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의 주요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Active Ingredi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R. Br. According to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용주;정지숙;박노진;고근배;손병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948-1953
    • /
    • 2014
  •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를 건조, 데침 및 발효에 따라 항염증 효능성분인 rosmarinic acid, homoplantaginin, luteolin의 함량 변화와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Rosmarinic acid는 열풍건조 시 16.42 mg/g, 데친 후 열풍건조 시 10.19 mg/g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 한 잎과 뿌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음건 및 동결건조 시에는 각각 8.69와 8.15 mg/g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0.05 mg/g으로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동결건조, 음건 및 열풍건조 한 배암차즈기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8.5% 이상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에도 87.3%의 우수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뿌리는 잎에 비하여 ABTS radical 소거능이 낮았다. SOD 유사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6.1~27.8%로 측정되어 ABTS radical 소거능과 차이가 있었다. 배암차즈기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물질이며 항염증 효능 물질로 알려진 rosmarinic acid와 homoplantaginin은 차발효에 의해 거의 소실되기 때문에 배암차즈기를 기능성 차 또는 가공식품 원료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차발효(산화발효)보다 동결, 냉풍 및 열풍건조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찔레꽃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osa multiflora)

  • 여진실;전성식;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17-1223
    • /
    • 2014
  • 본 연구는 찔레의 열수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간의 항산화 활성 비교를 위해 in vitro에서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DPPH, ABTS, NO radical 소거능 및 환원력을 $10{\sim}500{\mu}g/ml$의 농도에서 실험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열수추출물(4.95~92.15%)과 에탄올추출물(2.76~90.55%)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아졌으며 열수추출물이 더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4.44~92.99%)이 에탄올추출물(2.63~87.12%)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열수추출물(0.256~0.775)이 에탄올추출물(0.234~0.568)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그리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보였으며, NO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열수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보다 조금 높은 활성을 보였고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찔레추출물의 항산화력의 $IC_{50}$값을 비교한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각각 열수추출물에서 79.73, $79.82{\mu}g/ml$으로 나타났고,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145.85, $159.03{\mu}g/ml$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40.74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37.83 mg/g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45.31 mg/g, 에탄올추출물에서 42.68 mg/g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찔레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실험들에서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천연 항산화제로 이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양성자 빔을 이용한 식물자원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I) (Research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Plant Resources using Proton Beam(I))

  • 문병식;손귀엽;최진국;서동원;이갑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8호통권88호
    • /
    • pp.1100-1103
    • /
    • 2007
  • 합성항산화제 3종과 17종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양성자 빔을 1,000, 5,000, 10,000 Gray 수준으로 처리하여 에너지양에 따른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 하고자 DPPH radical 소거능 과 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의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중 6종류의 시료는 양성자 빔을 조사한 결과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2종류의 시료는 활성변화가 없었으며, 12종류의 시료는 활성이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효과는 1,000 Gray 에서 마황은 60%, 괄루인은 5,000 Gray 에서 77.8%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ABTS cation radical 소거효과에서 토천궁은 1,000 Gray의 양성자 빔을 조사한 결과 38.5% 활성이 감소하였으며, 합성 항산화제는 활성변화가 거의 없으나, 뼝쑥 추출물은 5,000 Gray에서 $IC_{50}$값이 2.4 ${\mu}g/ml$로 BHT의 $IC_{50}$값 2.3 ${\mu}g/ml$과 유사하였다.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 활용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Passiflora Caerulea Extract as Cosmetic Material)

  • 이재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10-719
    • /
    • 2022
  • 본 연구는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을 통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70% 에탄올로 추출하였고, TEAC assay를 이용한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Neutral red assay를 이용한 세포 생존율, DCF-DA를 통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 소거활성이 확인되었으며, positive control(양성대조군)로 이용한 trolox와 0.1 mg/mL 농도에서는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CFDA를 통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고, B16F10 melanoma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𝛼-MSH로 유도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Passiflora caerulea 추출물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향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Eugenia caryophyllata Thunb.)

  • 오희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1-488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ugenia caryophyllata Thunb.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ater extract than in 70% ethanol extract.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were similar to that of Vit. C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SOD-like activity of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70% ethanol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1,000{\mu}g/mL$ but lower than that of Vit. C.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increased as concentration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increased. Cell cytotoxicity was not observed at all concentrations except at $100{\mu}g/mL$ concentration of water extract. Inhibitory activity on NO production effect of water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70% ethanol extract. These results show that E. caryophyllata Thunb. has potent biological activities, and their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extraction solvent.

Roasting and Cryogenic Grinding Enhance the Antioxidant Property of Sword Beans (Canavalia gladiata)

  • Jung, Ju-Yeong;Rhee, Jin-K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1호
    • /
    • pp.1706-1719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conditions for enhanci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as a coffee substitute in two processing methods, roasting and grinding. The optimum conditions for removing off-flavor of the bean and maximizing functionality and efficiency were light roasting and cryogenic grinding (< 53 ㎛). In these conditions, extraction yield was 16.75%, total phenolic content (TPC) was 69.82 ± 0.35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TFC) was 168.81 ± 1.64 mg quercetin equivalents/100 g. The antioxidant properties were 77.58 ± 0.27%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58.02 ± 0.76 mg Trolox equivalents/g fo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values for TFC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p < 0.05) than in other conditions, and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econd highest in lightly roasted beans, following raw beans. HS-SPME/GC-M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amino acids and carbohydrate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sword bean, were condensed into other volatile flavor compounds, such as derivatives of furan, pyrazine, and pyrrole during roasting. Roasted and cryogenically ground (cryo-ground) sword beans showed higher functionality in terms of TFC,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of coffe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light roasting and cryogenic grinding are the most suitable processing conditions for enhancing the bioactivity of sword beans.

Antioxidant activity of Opuntia robusta and it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 Jin Su Park;Seok Hee Han;Hyun Young Kim;Ji Hyun Kim;Ah Young Lee;Jine Shang Choi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569-580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O. robusta stem extract (ORE) and to determine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Free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O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ssay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measured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and aluminum chloride colorimetric methods, respectively. Active compounds of ORE were determin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RE exhibited DPPH, ABTS, and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1,000 ㎍/mL of ORE showed the strongest radical scavenging properties against DPPH, ABTS, and ·OH. ORE containe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57.4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5.4 mg QE/g, which may contribute to their antioxidant effects. As a result of HPLC, the contents of active compounds in ORE, dihydrokaempferol (0.65 ㎍/mL), and 3-O-methylquercetin (1.10 ㎍/mL) were confirmed. In conclusion, ORE may be useful as a functional material with antioxidant properties.

동양배 품종별 유과기와 수확기 과실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Three Asian Pear Cultivars)

  • 박연옥;최장전;최진호;김명수;임순희;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08-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원황', '황금배', '추황배' 등 신육성 품종을 이용하여 유과기와 수확기의 과실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품종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과기 과실이 수확기 과실에 비해 1.5-2.5배 많았는데 특히 '추황배'의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수확기 과실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과피, 과심, 과육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유과기가 수확기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두 시기 모두 '추황배'의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수확기 과실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과피가 가장 높았고 과심,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농도 및 숙성 온도에 따른 삼지구엽초 담금주의 이카린 함량 및 항산화 활성 (Change in Icarii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Ripening Period of Epimedium Wine)

  • 장미란;김건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44-149
    • /
    • 201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icariin during ripening of Epimedium koreanum with sugar and Soju (25, 30, and 35% alcohol contents) using a homemade method. Contents of icariin of Epimedium wine were examin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cariin levels in Epimedium wine increased during the first 3 days of storage; after 6 days, icariin contents decreased gradually until 30 days. Contents of icariin in Epimedium wine by storage temperature (5 and $20^{\circ}C$) were not different during storage. After 30 days, icaiin was not detected in all tested Epimedium wines. Epimedium wines were assessed fo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in early storage periods, however, after 6 or 9 days, activities decreased gradu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