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koreensis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산 납자로속(잉어과) 어류 1 신종 (A New Acheilognathine Fish, Acheilognathus somjinensis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 김익수;김치홍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7권2호
    • /
    • pp.189-194
    • /
    • 1991
  • 전라북도 임실군 신평면과 관촌면 일대의 섬진강 수계에서 채집한 납자루속 어류의 표본을 조사한 바 기존의 것과 다른 종이 발견되어 신종 Acheilognath-us somjinensis로 기재화고 한국명으로는 임실납자루로 명명한다. 본 신종은 유사종인 Acheilognathus koreensis에 비해 산란시 암컷의 산란관 길이가 훨씬 길고 난의 형태가 둥글며 초기 발생과정도 현저한 차이가. 또한 유사 종간의 인공 교잡시 발생이 중지되어 주목되었다.

  • PDF

한국산 납자루속(잉어과) 어류의 I신종 기재 (A New Acheilognathine fish Acheilognathus koreensis, (Pisces: Cyprinidae) from Korea)

  • 김익수;김치홍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7-52
    • /
    • 1990
  • 한국의 금강, 섬진강, 낙동강, 탐진강 등에 서식하는 납자루속 어류의 표본을 조사한 바 일본산 Acheilognathus limbata(Temminck et Schlegel)와 이종동명으로 확인되어 이를 신종 Acheilognathus koreensis라고 기재하고, 국명으로는 칼납자루로 명명한다. 본 신종은 일본산 Acheilognathus limbata(Temminck et Schlegel)와 비슷하지만 난의 형태가 장타원형이며 초기발생과정도 현저히 다르고 계측 형질인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가 크고, 양안 간격의 비는 보다 적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종은 유사종인 한국산 Acheilognathus signifer Berg 묵납자루와도 반문 형태와 초기 발생과정 등이 서로 달라서 잘 구별되고 있다.

  • PDF

한국산 흑연가시 속(유선형동물 문, 철선층 목)의 2종 (Two Species of Genus Chordodes(Gordioidea, Nematomorpha) from Korea)

  • 백광민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221-228
    • /
    • 1993
  • 1988년 10월부터 1992년 10월 사이에 남한의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철성충중 Chordodes속에 속하는 1신종 Chordodes koreensis, n. sp, 와 1미기록중 Chordodes japonensis Inoue, 1952를 기재한다. 본 Chordodes속은 한국에서 처음 발표되어 2종의 큐티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 기재하였다.

  • PDF

Alaria alata (Digenea: Diplostomidae) from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 Lee, Heon Woo;Hong, Eui Ju;Kim, Hyeon Cheol;Ryu, Si Yun;Park, Bae Keu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361-365
    • /
    • 2022
  • We report a species of diplostomid fluke recovered from 3 carcasses of wild Korean raccoon dog, 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in Korea. A total of 107 diplostomid flukes were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s of Korean raccoon dog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Gangwon Wildlife Medical Rescue Center. Worms fixed with 10% neutral formalin were subjected to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ose fixed in 70% ethanol were used for molecular genomic analysis. The worm was divided into 2 separate parts, forebody and hindbody, with a total length of 3,020-4,090 (3,855) ㎛ and a width of 1,210-1,770 (1,562) ㎛. The boat-shaped forebody has a pair of characteristic tentacular appendage, 2 suckers, holdfast organ, and vitelline follicles. The oval to cylindrical hindbody has reproductive organs. The ovary was round or elliptical and located in the anterior of the testes. Two large testes were slightly segmented and tandemly arranged, occupying almost half of hindbody. The short uterus contained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unembryonated eggs sized 130-140×85-96 ㎛. The partial sequence of 18S rRNA of this fluke was consistent with Alaria alata.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e diplostomid flukes recovered from the small intestine of Korean raccoon dogs were identified as A. alata (Digenea: Diplostomidae).

Tenuidraconema koreensis, a New Species of Marine Nematodes (Adenophorea: Desmodorida) from South Korea

  • Rho, Hyun-Soo;Kim, W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8권3호
    • /
    • pp.155-163
    • /
    • 2004
  • Tenuidraconema koreensis, a new species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s, collected from the subtidal coarse sediments and various invertebrates of Namae, is described. The new species differs from T. fiersi Decraemer, 1989, the only other species in the genus, by having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s: the position of twelve cephalic adhesion tubes in both sexes (anterior six cephalic adhesion tubes inserted on the rostrum and posterior six inserted on the body annules), and the number of posterior sublateral adhesion tubes (12 in male and 13 in female) and posterior subventral adhesion tubes (15 in male and 19 in female). This paper contains the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with illustration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photomicrographs. This is the first discovery of the monotypic genus Tenuidraconema outside the type locality.

원격무선추적을 통한 한국너구리(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의 행동권 연구 (A radio-tracking study of home-range of the Korean raccoon dog(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 Kim, Baek-Jun;Choi, Tae-Young;Park, Chong-Hwa;Kim, Young-Jun;Lee, Hang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발표회
    • /
    • pp.136-142
    • /
    • 2007
  •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ome-range of the Korean raccoon dog(Nyctereutes procyonoides koreensis) at a rural area of Gurye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A radio-tracking was regularly carried out on 4 raccoon dogs for 2 days every 2 months in 2006. During the days, the radio-tracking was usually conducted every 1-3 hours through day-time to night-time. Among the 4 raccoon dogs, 2 individuals(a permanent breeding pair) could be extensively tracked for 5 to 7 months, including all 4 seasons. The result showed that total home-range sizes of the pair were 0.732 $km^2$ and 0.373 $km^2$ for 100% minimum convex polygons(MCP) and 100% kernel(K), respectively,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Mean home-range sizes of the 2 raccoon dogs were 0.035-0,688 $km^2$ and 0.012-0.341 $km^2$ for MCP and K, respectively. Yearly home-range sizes of the male and female were similar to each other. However, home-range sizes of the raccoon dogs between day-time and night-time were quite different. Furthermore, the raccoon dogs showed a much broader home-range size in spring, summer and fall than in winter season. Finally, the pair had a broad overlapping home-range(about 70-95%), and 1 core area and 4 different feeding areas.

  • PDF

김치유산균(Weissella koreensis HO20, Weissella kimchii HO22)으로 발효한 쌀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절편의 제조 (Fermentation of rice flour with Weissella koreensis HO20 and Weissella kimchii HO22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use in the making of jeolpyeon)

  • 최혜정;이화원;윤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67-274
    • /
    • 2013
  • Demand for a rice cake, a popular traditional food in Korea, is rising, but its industrial-scale production is extremely difficult due to its short shelf-life caused by starch retrogradation and microbial spoilage. By means of the sourdough fermentation technique, we attempt to develop rice cakes with a longer shelf-life.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Weissella koreensis HO20, Weissella kimchii HO22) isolated from kimchi were used to ferment wet-milled rice flour for their abilities to produce exopolysaccharides and to inhibit the microbial spoilage of rice cakes. After 24 hr of fermentation at $25^{\circ}C$, viable cell counts in rice dough increased from $10^6$ CFU/g to $10^8$ CFU/g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from 0.05% to 0.20%, whereas pH decreased from 6.5 to 5.1. Fermented rice flour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ies as well as breakdown and setback viscosities measured by rapid viscoanalyzer. Both lactic acid bacteria show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enicillium crustosum isolated from rice cakes. The antifungal activity remained constant after the treatments with heat, proteinase K and trypsin, but fell significantly by increase of pH. Rice cakes made of fermented rice flour were found to retard mycelial growth of P. crustosum.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as measured by the hardness of the rice ca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use of fermented rice flour. The results suggest that use of fermented rice flour has a beneficial role in retarding starch retrogradation and in preventing fungal growth, hence extending the shelf-life of rice cakes.

한강 하구 장항습지의 식생군락별 식물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lants Distribution by Vegetation Community at Janghang Wetland in Han-river Esturary, Korea)

  • 나미연;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9-69
    • /
    • 2023
  • 본 연구는 한강 하구 장항습지 초본 군락과 버드나무속 군락의 식생분포 특성을 조사하여 식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생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방형구법과 브라운브랑케 방법으로 총 50개소 조사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초본군집의 식물상은 11과 24속 28종 3변종 총 3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선버들 군락의 식물상은 16과 33속 39종 3변종으로 총 42분류군, 버드나무 군락의 식물상은 19과 37속 43종 3변종으로 총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생활형 및 우점도 분석 결과 선버들 군락에서는 수생식물의 출현비율과 우점도가 높고, 초본 군락에서는 반지중식물, 버드나무 군락에서는 일년생식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토양내 전기전도도(EC)와 치환성나트륨(Na+) 분석결과, 버드나무 군락의 토양은 상대적으로 높은 염분함량을 나타냈고, 선버들 군락과 초본 군락의 토양은 낮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생활형과 토양 염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수생식물과 반지중식물은 음의 상관관계, 일년생식물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건조하고 염분 함량이 높은 환경에서는 버드나무와 일년생식물의 출현비율이 높고, 염분농도가 낮고 습윤한 지역에서는 선버들과 수생식물, 반지중식물의 출현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반도 특산식물 개느삼의 개체군 특성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a Endemic Plants in Korea)

  • 김소담;문애라;안종빈;정지영;박완근;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26
    • /
    • 2020
  • 개느삼은 한반도의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특산식물이며, IUCN Red List의 'Endangered'로 지정된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자생지의 환경변화로 쇠퇴 위협이 있는 개느삼의 분포 패턴과 개체군 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개느삼 개체군의 동태 및 지속성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에 목적이 있다. 개느삼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양구, 춘천, 홍천 3개 지역에 각각 2~3개의 대방형구(20m×30m)를 능선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대방형구 안에 4~7개 Transect상의 소방형구(1m×1m)를 2m 간격으로 각각 10개씩 총 530개를 설정하여 출현 개체 수 및 결실 개체 수, 개체 높이 등을 측정하였다. 확보된 종발생정보를 IUCN Red List ver 3.1의 평가기준 B를 적용하여 기존 IUCN에 평가된 범주와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된 세 개 지역의 평균 개체 밀도는 3.47본/㎡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양구 3.95본/㎡, 춘천 3.37본/㎡, 홍천 2.87본/㎡이었다. 한편, 개체군의 결실률(결실 수/개체 수)은 0.0038으로 전체 출현 개체 1,837본 중에 7본만이 결실된 것으로 나타나 생식생장(sexual reproductive) 보다는 영양생장(vegetative reproduction) 비율이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사된 세 지역의 소방형구 개체 밀도의 분포 경향을 분석한 결과, 개느삼은 수관 열림이 높은 산지 능선을 중심으로 수관 열림이 낮은 숲 중심부로 갈수록 개체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광량이 개느삼 개체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방형구내 출현하는 전체 개체의 높이를 분석한 결과 2.3~68.5cm로 나타났으며, 평균 20.1cm로 조사되었다. 개체 높이를 바탕으로 개느삼 개체군의 stage-structure를 분석한 결과 15~20cm를 기점으로 개체 높이가 높아질수록 점차 출현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seedling으로 추정되는 10cm 이하의 개체들의 비율도 매우 낮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확보한 종발생정보를 바탕으로 산출된 점유면적은 200㎢로 나타나 IUCN Red List 기준(criteria) B 적용 시 EN 범주를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