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 kawachii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3초

발효누에분말 투여가 orotic acid 유발 흰쥐에 미치는 지방간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안희영;차재영;박규림;김유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89-795
    • /
    • 2013
  • 단백질 분해 활성,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검토한 결과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 Bacillus subtilis 및 Aspergillus kawachii 균주를 이용하여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발효된 누에 분말을 식이에 5%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발효 누에 분말은 Orotic acid 지방간 유발 흰쥐의 간 조직 및 혈청 중성지질 농도를 낮춰주고, 혈청 지질농도를 정상 수준으로 올려주어 지방간 개선에 도움을 주었다. SP 투여군과 AFSP 투여군에 반해, BFSP 투여군에서 지질대사와 관련된 개선 효과를 보였고, 간 조직의 병리학적 관찰결과에서도 BFSP 투여군이 간소엽을 구성하고 있는 간 세포들이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배열되어 있어 정상군(N)의 간 소견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 지방간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 누에 분말은 향후 지방간 개선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 진다.

효소제를 달리한 현미 찹쌀 고추장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Glutinous rice Gochujang with different Enzymes)

  • 조하영;홍재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9-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와 Aspergillus kawachii를 접종한 쌀코지,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한 콩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자 진행하였다. 효소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제조한 뒤 총 20일간의 발효 기간을 거쳤다. 발효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효소제별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연구를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산도 및 pH, 당도, 수분함량, 색도,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측정)과 미생물학적 특성(생균수 및 유산균 수 측정)을 분석한 결과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효소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순창에서 구입한 코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현미찹쌀고추장은 7.1-7.5×107 CFU/mL의 생균수, 1.9-2.2×103 CFU/mL의 유산균수와 48.67-52.30%, 58.57-63.90%의 DPPH 및 ABTS 라디칼소거능이 있어 쌀코지와 콩코지에 비해 기능적으로 우수함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순창에서 구입한 메주의 미생물 및 효소제의 조성은 확인하지 않았으나, A. oryzae, A. kawachii에 비해 영양적, 기능적 특성이 확보된 현미찹쌀고추장이 제조되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균을 달리한 탁주 양조 중 유리아미노산 및 유기산의 소장 (Studies on the Changes in Free 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of Takju Prepared with Different Koji Strains)

  • 이원경;김정림;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23-327
    • /
    • 1987
  • A. niger, A. shirousamii와 A. kawachii로 제조한 코오지와 누룩을 단용 또는 혼용하여 담금한 탁주 발효 과정 중 무기질, 아미노산 및 유기산의 소장을 검토한 결과 무기질 함량(ppm)은 Ca이 $1.50{\sim}15.20$으로 누룩구보다 코오지 구가 많았으며 Cu, Fe, Mn, Zn은 각각 $0.22{\sim}0.25,\;1.60{\sim}2.10,\;0.17{\sim}0.55,\;0.68{\sim}l.00$으로 모든 구에서 비슷하였고 K, Mg, Na, P는 각각 $3.00{\sim}40.50,\;5.25{\sim}19.50,\;1.43{\sim}2.95,\;3.00{\sim}63.00$으로 코오지구보다 누룩구에서 많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aspartic acid를 비롯한 16종이 검출되었다. 총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A. niger 누룩구가 811.86mg%로 가장 높았으며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phenylalanine이였고, A.kawachii 코오지구는 106.93m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각 시험구의 유기산은 citric acid와 tartaric acid, pyrur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등의 함량이 각각 $80.0{\sim}637.5,\;0{\sim}105.0,\;70.4{\sim}135.0,\;592.5{\sim}1425.0,\;32.5{\sim}87.5mg%$이었고 이 중에서 lactic acid, citric acid와 tartar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Production of an Acidic Polygalacturonase from Aspergillus kawachii by Solid State Fermentation and Their Application for Pectin Extraction

  • Martinez-Avila, Guillermo Cristian Guadalupe;Wicker, Louise;Aguilar, Cristobal Noe;Rodriguez-Herrera, Raul;Contreras-Esquivel, Juan Carlos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32-738
    • /
    • 2009
  • An acidic polygalacturonase (PG) from Aspergillus kawachii was produced by solid state fermentation employing a polyurethane foam support. The conditions used for the production of acidic PG were particle size of support (0.6 or 500 $mm^3$) and fermentation time. From the factors studied, the particle size had important influence on enzyme production. The best conditions for acidic PG production were $0.6\;mm^3$ particle size, 18 hr at $30^{\circ}C$ and initial pH of 5.0. In addition, pectin was extracted from citrus pomaces (grapefruit, lime, and tangerine) by acidic PG at $50^{\circ}C$ for 24 hr with citric acid solution. Infrared spectroscopy showed that lime pomace had more high-methoxylated (65%) endogenous pectin than was obtained than from grapefruit or tangerine pomaces. The enzymatically extracted pectin yield in dry basis (d.b.) for grapefruit and lime pectins were 6.95 and 4.25%, respectively. The citric acid solution alone also contributed to pectin extraction from citrus pomaces (7-9%, d.b.). Limited pectin extraction by acidic PG from tangerine pomace was most likely due to the presence of low-methoxylated endogenous pectin. The enzymatic method for pectin extraction using acidic PG from A. kawachii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releasing highly polymerized pectic substances from high-methoxylated lime or grapefruit pomaces.

Bioconversion of Cyanidin-3-Rutinoside to Cyanidin-3-Glucoside in Black Raspberry by Crude α-ʟ-Rhamnosidase from Aspergillus Species

  • Lim, Taehwan;Jung, Hana;Hwang, Keum T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842-1848
    • /
    • 2015
  • Cyanidin-3-glucoside (C3G) has been known to be more bioavailable than cyanidin-3-rutinoside (C3R), the most abundant anthocyanin in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anthocyanins in black raspberry by cleaving ʟ-rhamnose in C3R using crude enzyme extracts (CEEs) from Aspergillus usamii KCTC 6956, A. awamori KCTC 60380, A. niger KCCM 11724, A. oryzae KCCM 12698, and A. kawachii KCCM 32819. The enzyme activities of the CEEs were determined by a spectrophotometric method using ρ-nitrophenyl-rhamnopyranoside and ρ-nitrophenyl-glucopyranoside. The CEE from A. usamii had the highest α-ʟ-rhamnosidase activity with 2.73 U/ml at 60℃, followed by those from A. awamori and A. niger. When bioconversion of C3R to C3G in black raspberry was analyzed by HPLC-DAD, the CEEs from A. usamii and A. awamori hydrolyzed 95.7% and 95.6% of C3R to C3G, respectively, after 2 h incubation. The CEEs from A. kawachii and A. oryzae did not convert C3R to C3G in black raspberry.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발효 추출물의 미백효과 (Anti-melanogenesis in B16F0 Melanoma Cells by Extract of Fermented Cordyceps militaris Containing High Cordycepin)

  • 차재영;김성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16-1524
    • /
    • 2013
  • 본 연구는 Monascus purpureus (Mp),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Rhizopus oryzae (Ro) 균주로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CM${\alpha}$)를 발효시켜 수용성 추출물을 얻어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농도와 항산화 및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Ak로 발효시킨 CM${\alpha}$ (AkF-CM${\alpha}$)에서 각각 46 mg/g 및 093 mg/g과 6274% 및 7997%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kF-CM${\alpha}$를 선택하여 멜라닌 세포(B16F0 mouse melanoma cell)에서 미백효과를 검토하였다. 양성 대조구 arbutin 처리 B16F10 melanoma 세포는 92% 이상의 세포 생육과 43%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보였고, AkF-CM${\alpha}$ 1, 3 및 5 mg/ml 처리 시 멜라닌 생성은 각각 35, 45 및 53% 억제되었다. 또한 AkF-CM${\alpha}$은 멜라닌 세포 내 tyrosinase 활성과 mushroom tyrosinase 활성 모두를 저해시켰고, 멜라닌 생성 관련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도 무첨가군에 비해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Aspergillus kawachii 균주로 발효시킨 Cordycepin-고함유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의 수용성 추출물은 미백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몇가지 고오지 곰팡이가 Aspergillus flavus에 의한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me Koji Molds on Production of Aflatoxin by Aspergillus flavus)

  • 김성택;김영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55-259
    • /
    • 1986
  • Aspergillus flavus ATCC 15517에 의한 aflatoxin의 생산은 Aspergillus awamori, Aspergillus kawachii,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ea 및 Aspergillus shirousamii와의 혼합 배양시 단독배 양에 비하여 각각 1.3%, 13.8%, 1.3%, 0.7% 및 38.5%로 감소되었다. 또한 이들 고오지 곰팡이들은 $aflatoxin\;B_1$$791{\mu}g/50ml$ 함유하는 배지에서 7일 배양시 $75{\sim}100%$의 aflatoxin 분해율을 보였다. A. awamori는 배양중 aflatoxin을 분해하는 물질을 분비하였으며 가열처리로 이는 불황성화 되었다. 이 물질에 의한 aflatoxin의 분해산물은 Bacillus megaterium NRRL B-1368에 대한 독성도 소멸되었다.

  • PDF

곰팡이 발효 가시오가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Acanthopanax senticosus by Mold)

  • 안희영;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2호
    • /
    • pp.1704-1711
    • /
    • 2012
  • 미생물 발효에 의한 부위별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Aspergillus oryzae KCCM 11372,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Monascus purpureus KCCM 12002 3종의 곰팡이 균주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와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항산화 활성, 미백 효능을 비교 검토하였다. 곰팡이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의 pH범위는 3.9-6.97 였으며, 미네랄 성분 조성 비율은 Ca, K, Mg 순으로, 각 곰팡이 균주 발효에 의한 발효 가시오가피 분말의 미네랄 함량은 전체적으로 발효된 분말이 발효 전 분말보다 함량이 높았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으로 전체적으로 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 줄기에서 발효전 분말은 약 27%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3%와 61%로 활성이 증가했다. 또한, 가시오가피 열매도 발효전 분말은 약 58%의 활성을 나타냈지만 M. purpureus와 A. oryzae 균주로 발효시킨 분말은 약 77%와 69%로 활성이 증가했다. 미백 효능은 가시오가피 잎, 뿌리, 줄기, 열매는 약 20% 이하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지만 가시오가피 잎과 뿌리에서 발효에 의해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곰팡이 균주에 의한 부위별 발효 가시오가피의 생리활성 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가시오가피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의 천연 항산화제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재래주 발효중 알코올과 유기산 분석 (A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lcohols and Organic Acids during Takju Fermentation)

  • 최선희;김옥경;이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2-278
    • /
    • 1992
  • A. kawachii와 A. shirousamii를 사용하여 Koji와 누룩을 만든 것과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균류에 의해 담금한 탁주 발효과정 중 alcohol, 유기산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다. Alcohol류는 ethyl alcohol이 $0.61{\sim}108.25g/l$이었고 methyl alcohol은 $0{\sim}235.99ppm$이었으며 시험구별로는 KNR구가 ethyl, methyl alcohol 함량이 많았다. 그 외 n-propyl, i-butyl, i-amyl, n-amyl alcohol, acetic acid는 trace-70.95, $0{\sim}39.67,\;0{\sim}18.52,\;0,\;0{\sim}91.96ppm$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lactic acid가 $0.43{\sim}1.47ppm$으로 다른 유기산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이외에 pyruvic, oxalic. malonic, succinic, maleic, malic, ${\alpha}-keto$ glutaric acid가 시험구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0{\sim}3.3,\;0{\sim}4.9,\;1.6{\sim}5.0,\;1.0{\sim}3.8,\;0{\sim}8.6,\;0{\sim}0.2,\;0{\sim}0.5ppb$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lactic acid 이외의 유기산은 A. kawachii, A.shirousamii를 사용한 구에서 더 생성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담금 1일에 $3.82{\sim}5.26$이었으며, 점차 감소, 다시 증가하여 담금 10일에는 $3.42{\sim}3.69$이었다. 시험구별로는 KKR이 가장 낮았다. 총산은 담금 1일에 $0.29{\sim}0.82%$였으며 담금 6일에 $1.75{\sim}2.53%$로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후 감소하여 담금 10일에는 $1.61{\sim}2.34%$였다. 시험구간에는 KKR, SKR이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증하였고 Ca는 $2.95{\sim}36.76$, Cu는 $0.01{\sim}0.14$, Fe는 $0.71{\sim}3.23$, K는 $110.89{\sim}517.33$, Mg는 $34.78{\sim}122.40$, Mn은 $0.56{\sim}5.98$, Na는 $0.19{\sim}14.36$, Zn은 $0.90{\sim}5.71ppm$을 나타내었으며, 시험구별로 보면 WNR, BNR구가 Na만 제외한 다른 무기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 PDF

발효 동충하초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Cordycepin-enriched Cordyceps militari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차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32-1040
    • /
    • 2013
  • 유용발효미생물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생리활성 작용 및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2 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hilgardii (Lh), Lactobacillus acidophilus (La)와 1 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c), 1 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Bs), 4 종의 곰팡이 Aspergillus oryzae (Ao), Aspergillus kawachii (Ak) 및 Monascus purpureus (Mp), Rhizopus oryzae (Ro)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이들에 의한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함량, 단백질 패턴,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미네랄 성분 조성은 K, Mg, Ca, Na, Fe, Zn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K, Mg, Ca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주요 지방산 성분으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이다. 동충하초 분말과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분말 및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 단백질을 native-PAGE로 비교분석 한 결과 발효에 의해 균주에 상관없이 특정 부분의 단백질 분해를 확인하였고, SDS-PAGE 상의 단백질 패턴 분석에서는 66 kDa 크기의 단백질 밴드가 유산균 발효에 의해 분해 되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Aspergillus oryzae에서 새로운 단백질 밴드를 확인하였다.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을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결과 Bacillus subtilis 균주 발효에서 혈전용해 활성이 17.1 unit으로 높게 나왔으며, Lactobacillus hilgardii 균주 발효에 의해서는 7.2 unit으로 낮은 혈전용해 활성이 나왔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시킨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에서 균주 종류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하게 나왔지만 시판 항산화제 BHT 처리구의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보다는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유용미생물 발효에 의한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이 발효 전 cordycepin 고함유 동충하초 분말보다 강화됨으로써 건강식품의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