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ICBM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ICBM기반 실내 공간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Indoor Space Based on ICBM Technology)

  • 정유석;강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9-55
    • /
    • 2019
  • 협업과 소통하는 업무 분위기가 중시되면서 개방형 사무실이나 공유사무실이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공간 유지보수의 주체가 되었으나 정해진 자리가 없어지면서 실내공간의 유지관리가 어렵게 되었다. ICBM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실내 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간유지보수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CBM(Internet of Things, Cloud, Big Data, Mobile)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실내공간 유지관리 시스템의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기술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상대습도, 재실 여부, 밝기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WiFi를 통해 Web API 에 제공한다. 온습도센서, 조도센서, 초음파 거리센서와 와이파이 모듈로 구성된 IoT 디바이스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IoT를 통해 자동으로 취득된 데이터와 기존 유지보수 데이터, 공간정보가 Cloud(클라우드)를 통해 통합된다. 센서로 수집한 Big Data(빅데이터)는 유지보수용으로 의미 있는 공간 정보로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 실내 공간 정보 및 유지관리 사항을 모바일(Mobile)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결과, 사용된 초음파센서의 측정범위 한계로 인해 재실여부의 파악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밝기 정보는 공간의 활용 행태를 충분히 나타내어, 조명의 켜짐/꺼짐여부와 주말, 주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와 상대습도 정보 또한 안정적으로 수집되어 공간의 쾌적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영상 프라이버시 보호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deo Privacy Protective Mechanism)

  • 김민수;김종민;김상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9-55
    • /
    • 2017
  • ICBM 산업내의 IoT기반 영역 중에서 보안(Safety)의 경우, 공공분야 뿐만 아니라 국민안전 체감도가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극에 달하면서, 재난 및 안전 관리와 관련하여 보안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안전을 위한 하나의 보안 서비스로서 CCTV를 활용하여 사회질서 유지, 범죄예방 등의 목적을 위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녹화된 영상이 범죄의 결정적 증거로 제시되면서 보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영상정보처리기의 역기능으로써 본래의 목적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의도하지 않은 개인의 정보가 유출되거나 이러한 기술들을 악용할 경우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매우 높기 때문에, 영상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다각적으로 결합된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북한의 국방개혁: 기술개발을 통한 전략적 역량 확보 (North Korean Defense Reform: Strategic Strength through R&D)

  • 양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09-217
    • /
    • 2020
  • 북한은 국방력 강화를 위하여 꾸준한 국방개혁을 실시해왔으며, 특히 군사기술개발과 군수산업역량 강화를 국방개혁의 중점으로 삼아왔다. 이러한 북한의 국방개혁은 궁극적으로는 핵전력 확보를 목표로 했으며, 김정은 시기에 이르러 기술적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수소탄과 ICBM/SLBM 등 전력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핵전력을 확보한 북한은 또다시 국방개혁을 통하여 재래식 무기체계의 첨단화를 추구함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재래전력에서의 대칭성까지 추구하고 있다. 여태까지 북한의 국방개혁은 성공적이었으며, 김정은의 새로운 집권체제 확립과 대미협상 등의 동력을 만드는데 성공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군사자료 정보유출의 스마트폰 포렌식 연구 (Smartphone Forensic of Military Data Information Leakage)

  • 김용윤;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8-241
    • /
    • 2022
  • 북한이 ICBM을 발사하여 9.19군사협의에 대한 모라트리움을 선언하였다. 국군은 국방과 안보를 위해 군사안보를 지켜야 한다. 북한으로부터 해킹공격을 받은 국방부는 군사안보에 더욱 보안을 지켜야한다. 최근 군사자료의 유출이 스마트폰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장교와 부사관은 업무중에도 스마트폰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마트폰에서 군사자료의 정보유출을 확인하고 책임소재를 분명히 하려면 스마트폰 포렌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사의 갤럭시S20 기종에서 군사자료 유출애 대한 스마트폰 포렌식을 연구한다. 스마트폰 포렌식 증거자료의 확보와 Metadata 확보 및 증거자료의 채택을 위한 무결성 검증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군사안보와 포렌식 기술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Propulsion System Design and Optimization for Ground Based Interceptor using Genetic Algorithm

  • Qasim, Zeeshan;Dong, Yunfeng;Nisar, Khurram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 영문 학술대회
    • /
    • pp.330-339
    • /
    • 2008
  • Ground-based interceptors(GBI) comprise a major element of the strategic defense against hostile targets like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ICBM) and reentry vehicles(RV) dispersed from them. An optimum design of the subsystems is requir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se GBI. Propulsion subsystem design and optimization is the motivation for this effort. This paper describes an effort in which an entire GBI missile system, including a multi-stage solid rocket booster, is considered simultaneously in a Genetic Algorithm(GA) performance optimization process. Single goal, constrained optimization is performed. For specified payload and miss distance, time of flight,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the optimization process is the booster, for its takeoff weight, time of flight, or a combination of the two. The GBI is assumed to be a multistage missile that uses target location data provided by two ground based RF radar sensors and two low earth orbit(LEO) IR sensors. 3Dimensional model is developed for a multistage target with a boost phase acceleration profile that depends on total mass, propellant mass and the specific impulse in the gravity field. The monostatic radar cross section (RCS) data of a three stage ICBM is used. For preliminary design, GBI is assumed to have a fixed initial position from the target launch point and zero launch delay. GBI carries the Kill Vehicle(KV) to an optimal position in space to allow it to complete the intercept. The objective is to design and optimize the propulsion system for the GBI that will fulfill mission requirements and objectives. The KV weight and volume requirements are specified in the problem definition before the optimization is computed. We have considered only continuous design variables, while considering discrete variables as input. Though the number of stages should also be one of the design variables, however, in this paper it is fixed as three. The elite solution from GA is passed on to(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SQP as near optimal guess. The SQP then performs local convergence to identify the minimum mass of the GBI. The performance of the three staged GBI is validated using a ballistic missile intercept scenario modeled in Matlab/SIMULINK.

  • PDF

이미지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모바일 기반 금형 검색 시스템 (A Mold Search System based on Mobile using Image Data Mining)

  • 조정현;송재오;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97-498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따라, ICBM(IoT, Cloud, Big-data, Mobile) 기술이 핵심요소로 부각 되고 있으며, 그에 힘입어 부품 제조 산업분야에서도 Idustry4.0 등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금형의 설계도면 정보와 그림파일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금형에 대한 이미지만으로 금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매칭시켜 줄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에너지-지능정보기술 융합에 따른 미래 에너지 서비스 산업 예측 연구 (Backcasting of Future Energy Service Industry based on Energy-A ICBM technology Convergence)

  • 이정우;양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3-40
    • /
    • 2018
  • 지능정보기술과 에너지기술의 융합은 단순히 기술 자체 뿐 아니라 사회, 제도, 조직 전반의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많은 이해관계자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자원개발과 발전, 석유화학 중심의 전통 에너지 산업에 대한 경로 의존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도달하고자하는 선호 미래를 먼저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을 고민하는, 백캐스팅(Backcasting) 관점의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백캐스팅 관점에서 지능정보기술이 가져올 미래 에너지 산업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국가 관점에서의 에너지 정책 목표 달성, 그리고 각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미래 에너지 서비스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미래 에너지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한 기술적 선결 조건을 분석하고, 세부적인 구성 기술과 현재 시점에서 중점 R&D가 필요한 분야를 제시하였다.

교차영향분석을 이용한 국내 ICT 융합산업의 정보보호정책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the ICT Convergence Industry in South Korea Using Cross-Impact Analysis)

  • 이동희;전효정;김태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695-706
    • /
    • 2018
  • 최근 제조업을 시작으로 농업, 금융업 등의 전 산업 영역에서 ICBM(IoT, Cloud, Bigdata, Mobile)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과의 융합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향후 융합산업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인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정보보호를 고려한 융합산업의 발전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발표된 산업발전정책과 이와 관련된 정보보호정책들의 세부 내용을 교차영향분석으로 분석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정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보호정책 내의 우선순위 및 상호 연관성을 밝히고, 효과적인 정책 시행방향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6개의 정보보호정책과제들은 모두 핵심 동인에 속하며, 정책의 중요도를 고려한다면 보안 산업의 체질개선 및 지원 강화, 정보보호 인재양성, 정보보호산업 투자확대 등의 정책이 상대적으로 우선 시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건강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 (Security Requirements of Personal Health Service)

  • 김상곤;황희정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48-55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개인건강서비스들이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모바일) 환경에서 제공될 때, 프라이버시 이슈를 포함하여 개인건강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제안된다. 개인건강과 연관된 서비스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될 것이 예상되므로, 우선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한 후,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직접적인 위협과 간접적인 위협을 포함한 보안 위협을 개인건강서비스의 보안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의료서비스를 위한 전자의료기록(EMR)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에 기반을 두고 개인건강서비스를 위한 보안 요구사항을 도출한 뒤, 클라우드 환경의 보안요구사항이 개인건강서비스의 보안요구사항에 의해 충족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관계를 보임으로서 제안된 개인건강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4차 산업혁명과 ICBMS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Policy Us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BMS)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13-1216
    • /
    • 2017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로 융복합화, 입체화되면서 재난으로 인한 영향도 대형화되고 재난유형의 다양화와 2차적 피해로 다양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정보기술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ICBMS을 재난안전관리 전 과정에 적용하여 사고나 재난으로부터 인간 사회 경제 환경 피해 등을 최소화하고 미래 예측기술에 의한 예측평가와 재난정보수집분석 및 통제기술 확보에 의한 예방, 몸으로 기억하는 교육과 훈련 확대에 의한 대비, 재난대응 무인화 기술 고도화에 의한 대응, 지역공동체 환경생태계 조성에 의한 복구와 지능정보 기술에 의한 조사와 분석의 6단계의 재난안전관리 4.0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4차 산업혁명과 빅테이터 적용에 있어서의 기술적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극복할 대안과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