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80MPa 고강도 콘크리트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7초

강도수준을 고려한 비표준형 공시체의 압축강도 특성 (The Properties of Compressive Strength of Non-standard Specimens Considered Strength Level)

  • 이승한;정용욱;윤용호;장석수;여인동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781-784
    • /
    • 2008
  • 최근 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적용이 증가하면서 현장 콘크리트의 품질확인을 위한 강도 측정시 고강도콘크리트 공시체와 안전진단시 채취되는 비표준형 공시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가장 기본적인 재료특성인 압축강도 특성을 공시체에 대한 크기 효과와 강도수준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관계식을 적립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공시체 크기 1mm 증가시마다 압축강도는 기준강도 24MPa에서 0.05MPa, 40MPa에서 0.1MPa, 80MPa에서 0.3MPa씩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강도수준이 고강도화 될수록 압축강도 감소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시체 높이/직경비가 1.0 증가시마다 압축강도는 24MPa에서 2.9MPa, 40MPa에서 3.7MPa, 80MPa에서 9.8MPa 감소되어 고강도콘크리트일수록 높이/직경비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80MPa급 고강도 프리텐션 거더의 휨성능 평가 (Flexural Behaviors of Pretensioned Prestressed Girders with 80MPa High-Strength Concrete)

  • 신현오;이재성;신현양;박동규;김재기;윤영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2
    • /
    • 2010
  • 본 연구는 80MPa 고강도 프리텐션 거더의 휨성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PDF

실리카 흄 대체재로 SFFB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강성 (Tension Stiffening Behavior of High Strength Concrete Utilizing Silica Fume Free Binder)

  • 윤현도;박완신;이영오;김선우;이상수;윤길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07-10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실리캬 흄 대체재로써 SFFB를 사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인장부재의 인장강성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60 및 80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고가의 실리캬 흄을 SFFB로 대체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 60 및 8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에서 실리캬 흄을 대체한 SFFB를 사용한 인장부재의 균열 및 하중거동 특성은 실리캬 흄을 사용한 인장 부재와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 PDF

고강도 콘크리트의 등가응력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Equivalent Stress Block Parameters for High Strength Concrete)

  • 이도형;전정문;정민철;공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A호
    • /
    • pp.227-234
    • /
    • 2011
  • 최근 들어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현행 국내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기초한 등가직사각형 응력매개변수를 사용하고 있어 응력분포가 일반 강도 콘크리트와 상이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설계 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새로운 등가응력 매개변수 값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등가응력 매개변수를 제안하기 위해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데이터를 토대로 선형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40~80 MPa 까지의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등가응력 매개변수를 이론적으로 추정하고 제안된 등가응력모델을 휨과 압축 부재설계에 적용시켜 기존의 국내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과 비교검토 하였다. 제안된 등가응력모델로 구조설계를 수행한 결과, 콘크리트 강도 40~70 MPa 까지는 기존 모델에 비해 콘크리트 단면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또한 압축부재의 경우, 제안된 모델이 기존 모델 보다 콘크리트의 압축력을 더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 대체율이 80MPa 3성분계 고강도콘크리트의 재료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xing Ratio of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on Material Properties of 8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Ternary Cement)

  • 이범식;전명훈;이도헌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87-297
    • /
    • 2012
  •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와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시 만으로 설계기준압축강도 80MPa의 3성분계 고강도콘크리트(이하 고강도콘크리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의 대체율이 고강도콘크리트의 경화전 후 재료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고강도콘크리트의 경화전후 재료물성 평가결과,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시 대체율이 최대 30%까지 증가할수록 유동성과 장기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PC만으로 제작된 시험체와 비교하여 길이변화 특성이 우수하며, 혼화재 사용에 따른 탄산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콘크리트 재료물성 평가결과, 고로슬래그 대체율 25%, 플라이애시 대체율 15%일 경우, 경화전 후 재료물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고가의 실리카퓸을 대체할 수 있는 고강도콘크리트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섬유혼입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평가 (Evaluation on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Containing Fibre)

  • 송영찬;김용로;김욱종;이도범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29-135
    • /
    • 2010
  • 2008년 7월 21일 고시한 국토해양부의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성능 관리기준에 따라 5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는 내화성능을 확인하여 건축물에 적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60, 80, 100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섬유종류, 섬유길이, 혼입량에 따른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아울러 피복두께에 따른 내화성능을 검토하여 국토해양부 관리기준에 만족하는지 파악하고, 초고층 건축물에 있어서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한 내화성능 확보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80 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예측 (Prediction of Bending Strength of Concrete Beams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80 MPa)

  • 김경철;양인환;조창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35-3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80 MPa 수준의 압축강도를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휨 강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SD 400 및 SD 600의 철근 공칭항복강도, 0.98~1.97%의 휨 철근비 및 부재의 전단지간-유효깊이 비(a/d)를 고려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하중-처짐 관계, 연성, 휨강도 및 현행 설계코드에 의한 휨강도 예측값을 분석하였다. 고강도 철근의 사용은 부재의 휨강도는 증가시키는 반면에 연성을 감소시킨다. 전단지간-유효깊이 비가 증가함에 따라 연성도는 감소한다. 현행 콘크리트구조기준, Erocode 2 및 도로교설계기준에 의한 휨강도 예측값과 휨강도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예측값은 측정값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보수적인 설계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하는 콘크리트구조기준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보의 휨강도 예측값과 재료계수를 사용하는 Erocode 2 및 도로교설계기준에 의한 휨강도 예측값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난다.

인장을 받는 고강도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정착성능 평가 (Development Properties of Rebar in Tension with High Strength Concrete)

  • 박수희;이범식;김상연;박성식;배기선;김성덕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1호
    • /
    • pp.53-60
    • /
    • 2011
  • 인장을 받는 고강도콘크리트 부재의 정착특성을 평가하고 KCI 2007 정착길이 산정기준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강도와 정착길이, 섬유혼입률을 변수로 한 정착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착실험 수행 결과, 인장을 받는 80MPa의 고강도콘크리트 부재에서 KCI 2007의 최소정착길이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혼입되는 섬유(NY+PP)는 0.1%까지 혼입하여도 고강도콘크리트의 정착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재조건에서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별 전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Analysis with Strength Characteristics of HPC Column with Fiber Cocktail in KS Fire Curve)

  • 김흥열;채한식;김형준;전현규;염광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97-400
    • /
    • 2008
  • 본 연구의 효율적 연구수행을 위해 우선 관련 선진외국의 연구성과 분석 검토를 기반으로 한 명확한 이론적 규명 및 실험/해석 변수 산정을 선행연구로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관련 기 수행된 고온영역 재료적 물성 역학적 특성을 규명한 후 Fiber Cocktail 혼입 유무에 따른 40${\sim}$100 MPa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유한요소해석법(ABAQUS)을 적용한 구조요소 전열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40, 50, 6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는 30 MPa 보통강도 콘크리트와 해석모델이 유사한 전열특성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80, 10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해석모델은 보통강도 모델에 비해 약간 낮은 성향의 전열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설계강도 80MPa 3성분계 고강도내화콘크리트의 현장적용 및 성과분석 (Field Application of 80MPa High Strength Fire Resistant Concrete using Ternary Blended Cement)

  • 김성덕;김상연;배기선;박수희;이범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113-119
    • /
    • 2010
  • 설계강도 80 MPa인 고강도 콘크리트가 B/P에서 대량 생산, 공급되는 현장조건하에서도 시험실 조건과 동일한 재료물성을 발휘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내화시험과 시험시공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내화성능평가 결과, 복합섬유(PP섬유, NY섬유)를 0.075 %혼입한 8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가 내화성능과 폭렬방지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콘크리트 시험시공 결과, 압송 전에는 공기량, 유동성, 압축강도 등을 모두 만족하였으나, 압송 후에는 슬럼프 플로가 목표물성보다 다소 작게 평가되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온도 역시 관련 기준을 만족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단위시간당 타설량은 약 $44m^3$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전성 또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3성분계 고강도 콘크리트는 실리카 흄이 사용된 기존 고강도콘크리트와 비교하여 경제적이며 경화 전 후의 재료물성과 시공성이 우수하여 초고층 구조물의 건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