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th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1초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 중 화학영역 문항의 적절성과 개선 방안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the Adequacy of Question Items of the Chemist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 한효순;박종윤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05-518
    • /
    • 2003
  • 현행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과 화학영역 문항들이 우수한 화학교사 선발을 위해 적절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사범대학의 화학교육과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14개 대학 중 13개 대학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응답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현행 비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교과교육학의 평가 기준을 제시하여 전문 지식과 자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임용시험의 수준은 대학교재 중심이어야 하며 시험시간을 늘려 교과관련 전문지식을 깊이 있게 점검할 수 있어야 한다. 출제위원의 수를 늘리고 적절한 수준의 난이도로 변별력이 뛰어난 교과교육학과 화학 각 분야의 평가문항을 출제해야 한다. 실생활과 접목된 화학문제 해결이나 종합적인 사고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도록 해야 하며, 제 7차 과학교육과정에 제시된 화학 학습목표를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아울러 임용시험 문항과 관련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공개하여 적극적으로 개선책을 모색해야 한다.

e-Learning을 위한 도형학습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iagram Learning System for e-Learning)

  • 임미애;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23-532
    • /
    • 2005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도형 영역에서는 도형 움직이기나 쌓기나무와 같이 학생들의 공간 감각 형성을 위한 학습 내용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그러나 실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교수 활동의 어려움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또한 낮은 편이다. 도형 학습을 비롯한 초등학교에서의 수학 교육은 실물의 조작을 통하여 이루어졌을 때 가장 효과적이겠으나 학교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여건상 실물을 통한 학습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절한 웹 자료를 활용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겠으나 공간개념 형성 학습은 본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된 학습 내용이기 때문에 웹 기반 학습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감각 증진을 위한 학습 내용을 추출하여 학습자 스스로 웹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들 사이에, 또는 학습자와 교사 사이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도형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여 구현하였다. 애니메이션을 통하여 원리를 이해하도록 하고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게임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개발하였다.

  • PDF

초등학교 과학교과 학습공간 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ing Analysis of Science Subject Learning Space Corresponding to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in Elementary School)

  • 김승제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14-24
    • /
    • 2007
  • Recently, there are three major trends in building school facilities by government. First trend is to reconstruct facilities that have been built for 30 years. Second is the creation of a new town, new construction demanded from the redeveloping area. Finally, third is to build educational convenience facilities such as gymnasium, auditorium and cafeteria etc. When building or reconstructing school faciliti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guide line of the planning the dimension of Science Laboratory in in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to teaming contents and method.

아파트 저층부를 활용한 소규모 초등학교 건축계획 가능성에 대한 검토 (A Study on the Planning of Elementary Mini School Using the lower part of the Apartment)

  • 오병욱;이재훈
    • 교육시설
    • /
    • 제13권4호
    • /
    • pp.5-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plan for a mini school using the lower part of the apartment. In order to reach this model, firstly, the existing condition of over populated schools is analyzed, secondly, the Proper size and planning module for a mini school are suggested through the analysis of 7th national curriculum for the education, and thirdly, the model plan for a mini school is suggested using the apartment under construction. Mini school will be expected to solve the problems from over populated schools, and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for the primary students.

수학과 평가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assessment framework in Mathematics Education)

  • 황혜정;최승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459-471
    • /
    • 1999
  •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and content strands suggested by KEDI, NCTM, NAEP, TIMSS, Oregon State, New Zealan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review, there has been more emphasis that students themselves 'communicate' what they 'understood' and how they 'thought' during the situation of 'solving problems'. As a result, communication ability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ssessment situation, which always accompany the abilities of understanding, thinking, problem-solving, etc. In conclusion, the framework related to mathematical knowledge consists of content and behavior domains. The content domain is categorized into 6 content area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behavior domain is divided into computation, understanding, inferenc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 PDF

초등학교(初等學校) 리모델링을 위한 건축계획적(建築計劃的) 평가지표(平價指標)의 연구(硏究) (A Study on Evaluation Index for Remodeling of Elementary School)

  • 오병욱;이재훈
    • 교육시설
    • /
    • 제11권4호
    • /
    • pp.5-14
    • /
    • 2004
  • The elementary schools constructed before 1990's are old fashioned and have limitation in corresponding to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social demands. So remodelling of existing elementary schools is increasingly popular to satisfy the new need, but it is true that the decision of remodelling has been made by the authority of the administrative and the most of remodelling results have shown the simple increasing of spaces. So this research is trying to suggest an evaluation index model for judging whether school buildings should be remodelled or not, and what parts should be remodelled in the aspects of architectural planning by extracting 4 space planning elements; function, requirement, activity, arrangement and grading rates on these elements.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Cultivat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rough Open-ended Approaches: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Effectiveness Analysis)

  •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2호
    • /
    • pp.307-32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cultivate mathematical creativity based on open-ended problem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The major features of this innovative program are (a) breaking up fixations, (b) multiple answers, (c) various strategies, (d) problem posing, (e) exploring strategies, (f) selecting and estimating, (g) active exploration through open-ended problems. 20 units for 7th grade mathematics were developed.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xperimental students may develop more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than their traditional counterparts. The participants were 7th grade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Instruments were pre and post tests to measure mainly divergent thinking skills through open-ended proble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al students achieved better than the comparison students on overall and each component of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of divergent thinking skills, when deleting the effect of covariance of the pretest. The developed program can be a useful resource for teachers to use in enhancing their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Further this open-ended approach can be served as a model to implement in classes.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examine effects on affective domains such as motivation and task perseverance which are also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f creativity.

  • PDF

How did Elementary Teachers Handle Critical Experiments in Science Classrooms?

  • 권성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105-120
    • /
    • 2009
  • Critical Experiments (CE) in science classrooms mean, tentatively, critical situations as comparable to anomalous cases in scientific revolutions where the results of science experiments in schools are unclear, differ from the theory, or students mis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what CE occurred during science classes and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teachers handled them. To analyze how teachers recognized and handled CE, we selected nine typical CE from the $7^{th}$ Korean science curriculum. 125 teachers were selected from 8 districts' elementary schools in a local city. A questionnaire with photos of the nine CE above-mentioned was distributed to these teachers. The focus in this research was the way that each teacher handled the CE. We discovered that there were three basic ways in which teachers handled CE. When CE occurred, 51% of elementary teachers explained the correct result of the experiment (what should have happened) to the students while 40.7% of the teachers repeated to get the correct results. The focuses of handling CE varied. 57 % of the teachers focused on the 'materials' while 30% of the teachers focused on the 'theory'. The other focus was 'thinking'. Only 7.6%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gave students a chance to think about the reasons why the CE happened. By analyzing our survey results, we could determine what each teacher did as a follow up to the CE and their focus and reasoning for handling the CE this way. When the CE happened in the science class, few handled the CE with the point of view about purpose of doing experiment. As a result, students could not gain educational experience from the CE. If we use CE as a new method to teach science, it will be a good subject incorporating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PDF

웹 활용을 통한 지리과 수준별 과제해결학습의 수업방안 (A Teaching Method of Geography about the Ability Grouping and Strategy by WBI)

  • 박철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9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 교육에서 급변하는 지식 정보화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 앞으로 적용될 제7차 교육과정 특히 수준별 수업의 원활한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지리 영역의 지형단원을 중심으로 지리과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위한 교과서의 재구성하여 홈페이지를 구축하였다. 과제해결학습을 통한 수준별 교수 학습과정의 모형을 통해 수업설계를 탐색하였다. 이 모형을 구성주의 학습 원리에 적합한 웹 기반 수업(WBI)에 접목하여 웹 활용 수준별 수업을 설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리교과의 현장 적용과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며 동시에 이를 통한 지리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및 이해도 조사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Highly Metaphorical Science Terminologies)

  • 김영민;홍성희;김재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18-734
    • /
    • 2013
  • 본 연구는 오래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과 2009 개정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이해정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은유적 과학 용어들을 선정하였으며, 대상 학생들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고등학생 176명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을 학습한 학생 1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과 2009개정교육과정 둘 다에 포함되어 있는 오래된 은유적 용어에 대해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모두 은유적으로 이해하는 학생보다 교과서의 표현 그대로 또는 부분적으로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학생의 수가 많았다. 이 경향은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과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학습한 그룹 사이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새로 포함된 은유적 과학 용어들에 대해서는 '블랙홀'과 같이 방송 매체나 인쇄매체를 통해 자주 접할 수 있는 개념들은 과학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경향이 어느 정도 있지만 거의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지 못하는 은유적 과학 용어들은 학습 후에도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매우 어려워했다. 과학에서 오래 사용한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과학적인 이해로 변화하는 경향이 높긴 하지만 새로운 은유적 용어들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개념을 바르게 이해하기 전에 그 용어가 가지는 은유적인 의미가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이해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