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7alpha-hydroxycholestero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초

염장조건이 굴비 가공 중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lting Conditions on Formation of Cholesterol and Cholesterol Oxides During Gulbi Processing and Storage)

  • 강민정;박선영;신정혜;최덕주;조현소;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1-255
    • /
    • 2008
  • 굴비 가공 중 식염농도가 콜레스테롤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염장시간을 5시간과 5일로 달리하여 건조 저장한 후 콜레스테롤 및 그 산화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 시료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133.4{\pm}5.20\;mg/100\;g$으로 정량되었으나 천일염으로 염장 후 콜레스테롤 함량은 5시간 염장하였을 때 $130.3{\pm}2.95\;mg/100\;g$, 5일간 염장한 시료에서 $87.2{\pm}3.49\;mg/100\;g$으로 염장시간에 따른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7-ketocholesterol은 5시간 및 5일간 염장 후 각각 $75.2{\pm}2.70\;{\mu}g/100\;g$$82.4{\pm}3.30\;{\mu}g/100\;g$으로 정량되었다. 5시간 염장시료는 건조 2일까지는 7-ketocholesterol의 함량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건조 5일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동안에도 점차 증가하였다. $7{\alpha}$$7{\beta}-hydroxycholesterol$은 생 시료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나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증가하였는데 $7{\alpha}-hydroxycholesterol$의 함량은 저장 21일 후는 5시간 염장한 시료($658.1{\pm}6.20\;{\mu}g/100\;g$)에서 5일간 염장한 시료($539.6{\pm}6.17\;{\mu}g/100\;g$)보다 $118.5\;{\mu}g/100g$ 더 많이 생성되었다. $7{\beta}-hydroxycholesterol$도 염장 및 저장 기간에 따라 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5일간 염장한 시료에서는 저장 7일과 14일 사이에 증가폭이 가장 컸다.

수용성 모델시스템 내에서의 상업적 ${\gamma}$-Oryzanol의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효과 (Commercial ${\gamma}$-Oryzanol Inhibits the Formation of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OCDs) in an Aqueous Model System during Cholesterol Autoxidation)

  • 김주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2008
  • 미강 추출 상업용 유통 감마오리자놀의 콜레스테롤 자동산화에 의한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 효과가 수용성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C-7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C-7 OCDs) 생성을 위해 콜레스테롤과 감마오리자놀이 분산된 수용성 모델시스템은 구리이온을 촉매로 pH 5.5와 $80^{\circ}C$의 가혹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반응되었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C-7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7-keto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과 7b-hydroxycholesterol)의 생성 정도와 감마오리자놀 및 콜레스테롤 변화 추이 정도가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과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테크닉을 이용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7-ketocholesterol 생성비율은 7-hydroxycholesterol 이성체 (${\alpha}$-형:${\beta}$-형) 대비 약 2:1의 비율로 생성되었으며, 7-hyoxycholesterol 이성체에 있어서는 ${\alpha}$-형 대비 ${\beta}$-형의 생성 정도가 약 1:2의 비율로 나타났고, 총 C-7 산화콜레스테롤의 생성은 상대적인 고농도(300 ppm) 감마오리자놀 처리 모델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Degradation of Cholesterol by Bacillus subtilis SFF34 in Flatfish during Fermentation

  • Kim, Kwan-Pil;Rhee, In-Koo;Park, Heui-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84-288
    • /
    • 2003
  • Bacillus subtilis SFF34 degrading cholesterol was applied to reduce residual cholesterol content in fermented flatfish. When the bacterial cells were inoculated as a start culture, a maximal level (1.7 U/g) of cholesterol oxidase was obtained after 10 days, which was two times higher than that (0.8 U/g) without inoculation. Residual cholesterol contents with and without inoculation of the cells were 0.5 mg/g and 0.8 mg/g after 12 days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Cholesterol derivatives including cholesterol- 5${\alpha},\;6{\alpha}$-epoxide, 4-cholesten-3-one and 7${\beta}$-hydroxycholesterol were detected in raw flatfish as well as fermented flatfish. Campesterol and 25-hydroxycholesterol were detected only after fermen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ontents were observed regardless of inoculation.

오징어 건조 및 조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 생성 (The Formation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during Its Drying and Cooking in Squid)

  •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태훈;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73-578
    • /
    • 2001
  • 오징어의 건조방법이나 조리방법에 따라 콜레스테롤, malonaldehyde 및 콜레스테롤 산화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은 생시료 634mg/100g에 비해 건조 시료에서는 약 23.5%나 감소하였으며, 가열 중 콜레스테롤 함량은 조리방법에 관계없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특히 천일건조후 증숙한 시료는 생시료에 비해 49.4%까지 감소한 반면에 malo-naldehyde는 생시료 12.7$\mu\textrm{g}$/100g에 비해 건제품에서는 약 2.1배 증가하였고, 조리 중에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콜레스테롤 산화물은 건조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7-ketocholesterol과 7$\alpha$-hydro-xycholesterol의 경우는 천일 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7$\beta$ 및 25-hydroxycholesterol은 열풍건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리중 콜레스테롤산화물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천일건조 후 증숙한 시료의 25-hydroxycholesterol은 2.5$\mu\textr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천일건조 후 전자레인지로 조리한 시료의 7 $\alpha$-hydroxychole-sterol은 127.3 $\mu\textr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Simultaneous Analysis of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COPs) in Powdered Milk Using HPLC/UV-Vis

  • Lee, Jin Joo;Myung, Seung-Wo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9호
    • /
    • pp.2787-2794
    • /
    • 2013
  • Cholesterol and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COPs) may accumulate in foods of animal origin during processing or storage. An effective and sensitiv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by increasing the UV absorption of compounds through derivatization by attaching a chromophore to the functional groups of cholesterols (cholesterol, 20-hydroxycholesterol, 7-ketocholesterol, cholestane-$3{\beta}$-$5{\alpha}$-$6{\beta}$-triol, 25-hydroxycholesterol, and $5,6{\alpha}$-epoxycholesterol). The influences of the reaction time, volume of reaction solvent, amounts of derivatizing reagent, and extraction solvents were investigated, as they may influence the reaction and extraction yield. The derivatized COPs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on a C18 column (2.1 mm i.d. ${\times}$ 100 mm length, $3.5{\mu}m$ particle size) using a gradient elution with water and acetonitrile. The derivatized COPs showed increased sensitivity and selectivity in HPLC/UV-Vis. The LOD and LOQ were in the concentration ranges of 0.018-0.55 mg/kg and 0.059-1.84 mg/kg from the powdered milk. And the accuracy and precision were 78.1-116.7% and 1.1-9.9%, respectively.

어성초 분말의 혼합 급이가 돈육의 cholesterol 및 산화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eding Houttuynia cordata Thunb on Cholesterol and Cholesterol oxides of Pork Lion's)

  • 강민정;주종찬;신정혜;최선영;양승미;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29-1035
    • /
    • 2006
  • 어성초 분말을 돼지 사료에 5%, 10%씩 첨가하여 12주간 사육시킨 후 등심부위를 냉장보관하면서 지질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돈육 등심의 저장 중 TBARS는 어성초 분말 급 이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검출되었고,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 2일에 대조군의 불포화지방산이 52.5%였으나 5% 및 10% 어성초 분말 첨가 급이군에서는 각각 53.7% 및 54.1%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비율로 정량되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저장 2일에 5%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39.1{\pm}0.2\;mg/100\;g$, 10%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37.8{\pm}0.3\;mg/100\;g$으로 대조군$(48.9{\pm}0.2\;mg/100\;g)$에 비해 어성초 급이군에서 더 낮게 검출되었다. 돈육 등심 중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농도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 $7{\beta}-hydroxycholesterol$의 경우 2일간 저장한 대조군에서는 $0.6{\pm}0.65\;{\mu}g/g$였으나 저장 23일 후에는 $2.3{\pm}0.3\;{\mu}g/g$으로 6.5배 증가하였고 10% 어성초 급이군에서는 저장 2일에 $0.3{\pm}0.01\;{\mu}g/g$, 23일에서는 $0.9{\pm}0.15\;{\mu}g/g$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19-hydroxycholesterol과 ${\alpha},{\beta}-epoxide$도 어성초급이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낮은 함량이었다.

방사선 조사 및 포장방법이 생계육 및 조리계육의 콜레스테롤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adiation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Oxidation of Cholesterol in Raw and Cooked Chicken Leg Meat)

  • 이정일;신택순;진상근;김일석;김영환;주선태;박구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25-834
    • /
    • 2003
  • 계육 대퇴부위의 생육 시료는 PVDC 필름으로 호기적 포장과 진공포장을 하여 6 kGy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를 실시한 후 2~4$^{\circ}C$의 냉장실에서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0, 7일)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자선 조사 후 가열시료와 가열 후 전자선 시료는 oven에서 육 내부 온도가 70$^{\circ}C$ 될 때까지 가열한 다음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을 즉시 실시한 후 생육 시료와 같은 조건으로 냉장실에서 보관하면서 생육 시료와 같은 저장기간별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발생 종류와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 시료에서 저장초기에는 7$\beta$-hydroxycholesterol $\alpha$,$\beta$-epoxide, cholestanetriol과 7-ketocholesterol이 검출되었으며, 처리구간에는 함기포장 처리구가 진공포장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많은 발생량을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장초기에는 발생되지 않았던 7$\alpha$-hydroxycholesterol과 6-ketocholesterol이 검출되었으며, 발생량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전자선 조사 후 가열 시료와 가열 후 전자선 조사 시료는 전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산화물과 지질산화물의 발생량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에는 진공포장한 처리구가 함기포장한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콜레스테롤 산화물질과 지질산화물의 발생량은 조사로 인하여 발생되는 량보다는 저장시 포장조건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열방법과 포장조건이 칠면조육 패티의 저장중 지방산화와 콜레스테롤 산화물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oking and Packaging Methods on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Cholesterol Oxidation Products of Turkey Thigh Meat Patties During Storage)

  • 허선진;주선태;박구부;김일석;진상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397-404
    • /
    • 2004
  • 가열방법과 포장방법이 저장기간 동안 칠면조육 패티의 지방산화(TBARS)와 콜레스테롤 산화물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칠면조 다리육을 분쇄하여 패티를 제조하였다. 칠면조육 패티는 5가지 가열방법(oven cooking, pan frying, deep frying, boiling, microwaving)으로 가열한 후 각각 함기포장과 진공포장한 후 저장하면서 시험에 공시하였다. 지방산패도는 함기포장과 진공포장 모두 저장초기에는 boiling 방법이 유의적으로(P < 0.05) 높게 나타났으나, 저장 말기에는 microwaving 방법이 가장 높은 지방산패도를 나타내었다(P < 0.05). 총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량은 전 저장기간동안 boiling 방법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P < 0.05), microwaving 방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 < 0.05).각각의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함량을 보면,7$\alpha$-hydroxycholesterol은 pan frying 방법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P < 0.05), microwaving 방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 < 0.05). $\lpha$-epoxide의 량은 boiling 방법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an frying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 $\beta$-epoxide 함량은 pan frying 방법이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P < 0.05), deep frying 방법과 microwaving 방법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 < 0.05). 또한 7-ketocholesterol의 함량은 microwaving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 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