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th Curriculum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41초

제7차 과학교육과정의 탐구 요소들에 의한 화학(II) 교과서의 탐구 영역 분석 (An Analysis of Inquiry Area in the Chemistry(II) Textbooks by the Inquiry Elements Based on the 7th Science Curriculum)

  • 강대호;정수군;구인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45-658
    • /
    • 2003
  • 이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을 제 7차 과학 교육 과정에서 제시한 탐구 요소들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화학 II 교과서의 탐구영역이 제 7차 과학 교육과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알아보고 현장 탐구학습의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기초 탐구요소들은 분류를 제외하고는 제 7차 화학 II교과서에 대체로 찰 반영되어 있었으나, 통합탐구 요소들은 자료해석이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결론도출, 자료변환 등을 제외한 통함 탐구요소들은 이주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탐구활동 요소들도 조사의 비율 이 전체 탐구활동의 100/0미만이고, 과제연구는이주적고, 견학은나타나지 않았다 제 7차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고학년의 탐구학습 일수록 다양한 통합탐구 요소와 탐구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현장의 탐구학습에서는 이러한 화학 R 교과서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학습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코로나19 펜데믹 전후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제4차 산업혁명중심 교과과정 변화 분석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of Computer and Software-Related Majors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ring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 최진일;최철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25-632
    • /
    • 2024
  • 본 논문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핵심 ICT 관련 기술을 교육하는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관련 전공의 코로나19 펜데믹 전후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육 편제단위 표준분류에 따라 응용소프트웨어공학, 전산학·컴퓨터공학, 그리고 인공지능공학으로 분류된 172개 전공을 대상으로, 2023학년도와 2019학년도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도입된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인공지능, 그리고 정보보안의 분야의 교과과정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교육과정 군에 대해 코로나19 팬데믹 전후로 관련 교과과정 도입이 약2.6%p 증가(2023 84.2%, 2019 81.6%)하였으며, 교육영역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4차산업혁명 대응지수(100점 만점)는 9.5점 상승(2023 37.0점, 2019 27.5점)하였으며, 이는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및 빅데이터 분야의 교과 개설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육과정기 이전의 의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에 대한 고찰 (제1보) -초등가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The Contents of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before the 1st Curriculum (Part I) -Elementary Home Economics Textbook-)

  • 유혜자;이영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19-330
    • /
    • 2009
  • The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area of elementary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1948 to 1955 were investigated. Home economic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those days corresponds to practice act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present. Practical acts has the all-around concepts of the agriculture, industry and home economics Also the knowledge or skill for actual life are teamed. Practical acts education was started from lessons of sewing for women under title of 'jaebong'. It can be said that practical acts education was started from clothing and textiles area. The home economics elementary textbooks of the year 1948 were composed of 21 units for 5th grade and 22 units for 6th grade. The textbook for 5th grade of 1953 was composed of 19 units, and one for 6th grade of 1955 was composed of 18 units. The clothing and textiles area accounts for 38.6% in 5th grade textbook, for 32% in 6th grade textbook of 1948 and for 31% in 5th grade of 1953 and 6th grade textbooks of 1955. The textbook contents of clothing and textiles area were classified into five fields of sewing, knitting. patching, embroidering and care. In 1948, textbooks were placed a great deal of weight on sewing field education as 7 units of 15 units. The 7 units for sewing fields have suitable connection to develop. But, in the case of knitting, patching or care, just groundwork of each field was included for application to actual life without vertical connection. The contents of textbooks for clothing and textiles area in 1953 and 1955 were much alike with those in 1948.

중학교 가정(기술·가정)교과 식생활 영역의 핵심 교육내용 분석 -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unit in Middle School Textbooks of Home Economics - Focus on the National Curriculums from 1st to 2009 revised)

  • 장윤미;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3-112
    • /
    • 2018
  • 제1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식생활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핵심 교육 내용, 내용 특성, 식생활 영역의 비중을 분석하였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워드 크라우드 분석을 통하여 가정교과서 40권에 기술된 식생활 영역의 내용으로부터 핵심단어를 추출하였고, 식생활 영역의 비중은 전체 가정교과서에서 식생활 영역에 해당하는 면수의 비율로 계산하였다. 전 교육과정에 걸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주요 핵심단어는 '식품'·'음식'·'식사'였다. 제1, 2차 교육과정에서는 식재료와 조미료, 식품에 함유된 '비타민', '단백질' 등의 영양소가 주요 핵심단어로 추출되었고, 제3차 교육과정부터 '영양'·'섭취'·'필요' 제6차 교육 과정에서 '분량',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식단'·'청소년' 등이 핵심단어로 등장했다. 식생활 영역이 가정교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4.3%였으며, 제6차(29.7%) 및 제7차(31.8%) 교육과정에서 가장 높았고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15.2%로 크게 감소했다. 아울러 식생활 영역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2차와 3차 교육과정에서 10개를 상회하던 식생활영역의 중영역의 수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이 없어지고 소영역 2개로 축소되었다. 1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식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은 점진적으로 구체화되고 시대적 요구와 변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다만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식생활 영역의 비중이 대폭 축소되면서 교과서에 관련내용에 대한 정보와 설명이 부족하여 식생활 교육에 대한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

부산지역 초등학교 다목적공간의 이용실태와 활용성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Utilization of Multi-purpose Space in Elementary School in Busan)

  • 박춘근;유길준;하성태
    • 교육시설
    • /
    • 제12권1호
    • /
    • pp.29-4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utilization, the establishment and the claim of multipurpose space which was correspond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use of multipurpose spa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new or second amenable elementary school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1) Teachers partly agree to the indu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but they think that it is too early to carry it out and most of them think that it is better than old curriculum. 2) According to a report of contentment of multipurpose space, most of teachers are satisfied by multi- purpose space. The main factor responded by 59.8% of total respondents is to study variously. It means teachers highly evaluate the need of various system of studying. 3) The depth of a multipurpose space including the depth of a hallway is suitable 7.2m as 31.3% of respondents and 6.0m as 30.4%. 4) The main factor of dissatisfaction is noisy and ventilation because of the protection between the multipurpose spaces.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화학분야의 수준별 학습지도안 연구 (A Study on a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Chemistry by the Curriculum Differentiation on the Basis of Students’ Academic Characteristic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엄우용;이장현;김정성;윤문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95-602
    • /
    • 2001
  •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 학습의 핵심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나누어 학습을 하는 것이다. 이는 수준별 심화${\cdot}$보충형 학습으로 특징지워지는데, 교육현장에서 이에 대한 대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과학과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특성과 제한점을 분석하고, 수준별 학습에 적합한 학습유형을 제시하며, 이들을 토대로 제 7차 교육과정에 취지에 적합한 과학과의 학습지도안 작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화학분야의 한 단원을 선정하여 수준별 심화${\cdot}$보충학습을 위한 학습지도안의 예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변화 분석: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hange of Achievement Standards According to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Elementary School: Focusing on Geometry Domain)

  • 김현미;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중 도형 영역의 내용 및 성취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본으로 한 분석틀을 기초로 시기별 성취기준을 연속형, 소멸형, 추가형으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형 영역에서 연속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51%이고, 학년 및 영역의 변동 없이 지속된 성취기준이 많았다. 소멸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0.4%이고, 제3차의 수학 현대화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도입되었던 학습 내용들이 제4차 교육과정에서 삭제되면서 가장 많이 소멸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단계형 교육과정과 학년군의 도입으로 학습 내용이 통합되거나 중학교로 이동되면서 소멸되었다. 추가형 성취기준은 전체의 28.6%이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 공간 감각 기르기가 도입되면서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추가되었다. 도형 영역에서 추가형 성취기준이 소멸형 성취기준보다 많은 것은 학습 내용 축소라는 교육과정 개정의 큰 흐름에도 불구하고 시대에 맞는 기하 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육과정 개발 시 새로운 성취기준의 구성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의 탐구활동 분석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Inquiry Activity of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 Based on the 7th Curriculum)

  • 박종석;김재현;류해일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7-71
    • /
    • 2003
  •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7학년 과학교과서 물질 영역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여 교과서의 개발과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탐구유형, 탐구과정, 탐구상황 등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6개 출판사에서 발간된 과학교과서의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7학년 물질 영역의 탐구 활동 분석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탐구 유형이나 탐구 과정 요소 및 탐구 상황의 편중성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탐구 활동으로 학생들을 지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과의 교육 목표에 부합되는 교과서 개발을 위해 탐구 활동을 검토하고 교과서 검정 기준에 탐구 활동의 평가틀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학습자료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Learn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 최도성;김명호;김정길;김석중;송판섭;한광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305-317
    • /
    • 2004
  • The learn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should include all kinds of materials being used by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science teaching. The majo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pared for the science teaching of 3-6 grade students. To clarify this research, we listed whole of the learning materials of science teaching for each grade and counted numbers being used for whole of the lessons of science. A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s of its preparation of materials, the types of learning materials can be divided into 10 categories such as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test materials, consumables, audio-visual aid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field studies' collected data, breeding' cultivation materials, manufacture materials, and etc. 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needs total 844 items of learning materials for science education. They could be separated into ten types of categories such as 159 items of teaching equipments for science, 65 items of test materials, 116 items of consumables, 198 items of audio-visual aids, 64 items teaching equipments in general, 31 items of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38 items of field studies (collecting) materials, 17 items of breeding-cultivation materials, 58 items of manufacturing materials, 105 items of other materials. An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332 items of materials for the 3rd grade, 303 items for the 4th grade, 324 items for the 5th grade, and 254 items for the 6th grad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for classroom activities for science teaching.

  • PDF

제 7-단계 수학에서 양.음수의 지도에 관한 연구 (On Teaching of Positive Numbers and Negative Numbers in the 7-th Grade Mathematics)

  • 김흥기;김응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1-25
    • /
    • 2006
  • 양수와 음수의 취급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제 7-단계 교과서들을 살펴본 결과 양의 부호, 음의 부호가 붙은 수를 읽는 방법과 유리수에 대한 일부 교과서의 정의는 재고해야 하며, 반대의 수 곧 반수를 정의하여 활용하는 것과 양수와 음수의 도입은 대소 관계를 다루는 곳에서 그 정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연산에서는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가 붙은 수에 대한 가시적인 표현을 충분히 익히게 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연산 도입을 구체적이고 가시적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양수, 음수의 연산에도 그 방법을 연계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화살표(유향선분)를 사용하여 양수 음수를 가시적으로 도입한 후에 이들을 사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계산 방법을 양수 음수까지 확장된 수에까지 그대로 적용한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한 학습 내용으로 지도를 하여본 결과 이와 같이 연계된 학습내용이 보다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