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LoWPA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9초

IoT 및 u-Office의 무선 IP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효율적 헤더 압축 기술의 분석

  • 한동혁;조성웅;하태영;신성진;정종문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4호
    • /
    • pp.16-22
    • /
    • 2015
  •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업무 지원 기기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업무 처리를 지원하는 u-Office와, 지능화된 다양한 사물에 인터넷 연결성을 제공하여 지능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Internet of Things(IoT)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다수의 객체간 통신을 수행하므로 네트워킹 자원의 최적화 기술이 필수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데이터 패킷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통신 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기술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패킷의 오버헤드를 줄이고 통신 자원을 절약하는 패킷 헤더 압축 기술은 다양한 국제 표준이 개발되어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Long Term Evolution(LTE), IPv6 over Low powe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6LoWPAN) 등의 네트워크에 활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모바일 와이맥스, LTE, 6LoWPAN에서 각각 사용되는 패킷 헤더 압축 기술인 Payload Header Suppression(PHS), Robust Header Compression(ROHC), Header Compression(HC), Improved Header Compression(IPHC)의 개발 동향을 제시하고 각 기술의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U-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NEMO 와 6LoWPAN 의 연동 구조 (An Interoperable Architecture Between NEMO and 6LoWPAN for U-Healthcare System)

  • 김진호;홍충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301-1302
    • /
    • 2007
  •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해서 휴대용 진단 진료 기기를 환자가 쉽게 휴대 및 착용해서 환자의 질병 및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위험한 상황을 미리 예측, 통지가 가능한 시스템을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특성을 가진 휴대용 의료 계측 기기 센서들을 환자의 신체에 부착하고 다양한 센서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인터넷과 통신하는 것은 물론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즉, 센서 네트워크 기술과 이동성 기술이 접목된 네트워킹 기술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실질적인 적용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U-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각 센서 노드에 IPv6 를 적용하여 항상 인터넷에 연결되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과 연동하는 시나리오와 구조를 제시한다.

  • PDF

6LowPAN 환경에서의 안전한 IEEE 802.15.4 가입 프로토콜 (Secure IEEE 802.15.4 Join Protocol for 6LoWPAN)

  • 안승현;박창섭;연한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3-110
    • /
    • 2015
  • 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센서노드들과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IoT에 기본이 되는 IEEE 802.15.4에서는 센서노드와 PAN Coordinator 또는 센서노드와 센서노드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키가 사전에 공유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가입 과정에서 센서노드에 대한 개별 인증이 고려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디바이스에게 사전 공유된 키가 있음을 가정한 기존 연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한 안전한 가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Wi-Fi 메쉬 라우터 통합 복합 센서 게이트웨이 구현 (Implementation of MUG (Multi-functional USN Gateway) Integrated with Wi-Fi Mesh Router)

  • 김미점;조수현;김영일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2010
  • Multi-functional USN Gateway (MUG) is a multipurpose system combining a mesh router and a sensor gateway. The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G system and the test-bed to verify the MUG system. MUG combines IEEE 802.11n based Wi-Fi mesh router functions and USN gateway functions. MUG supports IP sensor networks based on 6LoWPAN and non IP sensor networks based on ZigBee. MUG also provides various backhaul network interfaces including WiBro, HSDPA, and Ethernet Interfaces. We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UG system through implementation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by installing and testing several MUG systems in the test-bed.

  • PDF

CoAP 프로토콜을 이용한 다중대역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A Multi-band Wearable Device System supporting Low-Energy Protocol)

  • 강정윤;정창수;서지훈;윤용탁;한기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09-112
    • /
    • 2017
  • WBAN (Wearable Body Area Network)는 옷이나 몸에 이식된 디바이스들이 몸을 중심으로 결합이나 통신하는 네트워크를 뜻한다. 여기서 사람이 몸에 착용하는 장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벼운 형태의 배터리를 요구한다. 그로 인해, 다른 기기들과는 달리 짧은 배터리 수명을 가질 뿐만 아니라 통신에 관한 제약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중대역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프로토콜 스택으로 BLE, 6LoWPAN (IPv6 over Low power WPAN),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을 적용해 데이터 패킷 크기를 감소 시키고 BLE/Wi-Fi 선택 기능을 통해 통신 제약을 완화하고 전체적인 WBAN 에서의 소비 전력을 감소하고자한다.

  • PDF

Design of Indoor Location-based IoT Service Platform

  • Kim, Bong-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2호
    • /
    • pp.231-238
    • /
    • 2022
  • 무선 통신의 발전과 IoT 센서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용 모바일 통신 장치와 센서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이 개발되어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고부가가치의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Wave, 6LoWPAN(IPv6 over Low power WPAN), D2D(Device to Devic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중에서, 실내 위치 측위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을 기반으로 IoT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무분별한 비콘 스팸 신호를 차단하고 유연성과 확장성을 가진 REST 웹 서비스 기술을 적용하여 비콘 연동 웹서버를 설계하였다. 데이터 전송 성공률, 비콘 Push 차단 성공률, 위치 측위 정확도, IoT 연동 처리 성공률, REST 웹 서비스 기반 데이터 처리 성공률 등을 테스트하여 다른 기종 간의 데이터 접근성을 검증하였다. 설계된 IoT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향후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과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제안과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A Measurement Study of TCP over RPL in Low-power and Lossy Networks

  • Kim, Hyung-Sin;Im, Heesu;Lee, Myung-Sup;Paek, Jeongyeup;Bahk, Saewoo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7권6호
    • /
    • pp.647-655
    • /
    • 2015
  • Low-power and lossy networks (LLNs) comprised of thousands of embedded networking device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smart grid automated metering infrastructures (AMIs) and wireless sensor networks. Connecting these LLNs to the Internet has even greater potential, leading to the emerging concept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With the goal of integrating LLNs into IoT, the IETF has recently standardized RPL and 6LoWPAN to allow the use of IPv6 on LLNs. Although there already exist several studies on the the performance of RPL and embedded IPv6 stack in LL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CP over RPL in multihop LLNs is yet to be studied. In this article, we present a comprehensive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CP over RPL in an embedded IPv6-based LLN running over a 30-node multihop IEEE 802.15.4 testbed network. Our results and findings are aimed at investigating how embedded TCP interoperates with common Linux TCP and underlying RPL (and vice versa), which furthers our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trade-offs when choosing TCP over RPL in IPv6-based LLNs.

IP-USN 최신 기술 동향 및 보안요구사항 분석

  • 김학범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4-73
    • /
    • 2006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은 유비쿼터스 사회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로 USN 기술을 통해 산업 구조와 시장 구조에 전반적인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는 중요성 점증되고 있는 IP-USN 관련하여 표준화 현황으로서 IEEE 1451 워킹그룹, IEEE 802.15 워킹 그룹, ZigBee Alliance 및 IETF 6LoWPAN 워킹 그룹에서 추진 중인 내용에 대하여 고찰한다 또한 관련 기술 및 IP-USN에서 요구되어지는 보안기술에 대해서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