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6시그마 통계처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x Sigma Tools to PSP/TSP (PSP/TSP-6 시그마 도구 적용 방법론에 관한 연구)

  • Park Young-Kyu;Choi Ho-Jin;Baik Jo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73-276
    • /
    • 2006
  • CMM/CMMI 와 같은 프로세스 모델의 등장으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에 대한 원리와 방법은 인식하였으나 현실에 적용하여 성과를 창출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개발자와 개발팀 차원에서 CMM/CMMI 의 목표와 프렉티스를 구현하기 위해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 의해 PSP/TSP 가 개발되었다. 이렇게 PSP/TSP 가 개인과 팀차원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법들을 기술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PSP/TSP 에서 수집되는 메트릭에 대한 분석기법은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PSP/TSP 수행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고 프로세스가 변경되고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6 시그마의 다양한 통계 기법과 의사 결정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다. PSP/TSP 는 6 시그마가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정량적인 기반을 개인과 프로젝트 차원에서 제공한다. 이에 대해 6 시그마는 PSP/TSP 에서 식별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분석도구와 통계적 기법을 제공하고,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프로세스가 변경되고 유지 관리될 수 있는 프로세스 관리 방법론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SP 의 각 프로세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6 시그마 도구를 식별하고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개인과 팀 차원에서의 프로세스 개선의 수행을 지원하며 팀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를 6 시그마의 분석, 정량화 도구를 사용하여 개인 또는 팀의 성과를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 PDF

A Study on Software Process Definition based on Six Sigma (6 시그마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정의에 관한 연구)

  • Choi, Seung-Yong;Kim, Jeong-A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5-258
    • /
    • 2005
  • 비즈니스의 빠른 변화에 맞춰 적시에 비즈니스 모델을 지원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역량 확보가 IT 서비스 기업의 생존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급변하는 IT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 생산성 향상과 고객 요구품질 충족이 필수적이며, 이를 관리할 체계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조직 차원에서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통계 기반의 프로세스 개선 모델인 6 시그마를 적용하여 3 단계의 정의 활동과 이를 지원하는 3 개의 6 시그마 툴로 구성된 정형적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정의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ecotoxicological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Algae(Closterium) (반달말을 이용한 생태독성 관리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Ryu, Je Ha;Kim, Sang Gil;Kim, Sun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79-579
    • /
    • 2015
  • 최근의 환경부의 환경관리정책은 기존의 BOD나 COD로 대표되는 이화학적인 분석으로 수질항목을 측정 분석하여 환경규제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경용량 기반의 수용체 중심의 통합관리방안을 추가하여 규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질관리부분에서도 2006년 "물환경관리 기본계획('06-'09)"을 수립하여,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물환경조성 목표하에 오염원 중심에서 수용체 중심 즉, 통합적인 수질관리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하 폐수에 함유된 모든 유해화학물질에 대하여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경부에서는 "생태독성 통합관리제도(WET : Whole Effluent Toxicity)"를 도입, 2007년 상기법의 시행규칙 개정을 통하여 배출허용기준에 생태독성기준을 추가하여 관리하고 있다. 생태독성을 평가하는 생물군에는 박테리아, 조류, 물벼룩, 어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물벼룩을 이용하여 TU라는 생태독성단위를 이용하여 규제 및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나 단일 생물종으로만 관리할 경우 생물의 내성 및 특정 유해물질에만 반응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여러 가지 복합적인 화합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종에 대한 관리 및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달말(조류)를 이용한 WEMS(Water Enviroment Monitoring System)를 이용하여 하천 호소 및 정수장, 하 폐수처리장등 다양한 현장에 적용하여 화학물질군에 대한 독성의 특성을 파악과 더불어 통계학적 처리를 이용하여 수질관리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 과학적이고 현장 특성에 맞는 경보 수준을 통해 수생태관리에 관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lectroencephalographic Changes Induced by a Neurofeedback Training : A Preliminary Study in Primary Insomniac Patients (뉴로피드백 훈련에 의한 뇌파 변화 연구 : 일차성 불면증 환자에 대한 예비 연구)

  • Lee, Jin Han;Shin, Hong-Beom;Kim, Jong Won;Suh, Ho-Suk;Lee, Young Ji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6 no.1
    • /
    • pp.44-48
    • /
    • 2019
  •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sleep disorder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cognitive and physical arousa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generation of primary insomnia. Studies have also shown that information processing disorders due to cortical hyperactivity might interfere with normal sleep onset and sleep continuity. Therefore, focusing on central nervous system arousal and normalizing the information process have become current topics of interest. It has been well known that neurofeedback can reduce the brain hyperarousal by modulating patients' brain waves during a sequence of behavior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neurofeedback therapy on electroencephalography (EEG)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primary insomnia. Methods: Thirteen subjects who met the criteria for an insomnia diagnosis and 14 control subjects who were matched on sex and age were included. Neurofeedback and sham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a random order for 30 minutes, respectively. EEG spectral power analyses were performed to quantify effects of the neurofeedback therapy on brain wave forms. Results: In patients with primary insomnia, relative spectral theta and sigma power during a therapeutic neurofeedback sess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during a sham session ($13.9{\pm}2.6$ vs. $12.2{\pm}3.8$ and $3.6{\pm}0.9$ vs. $3.2{\pm}1.0$ in %, respectively; p < 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ther EEG spectral bands. Conclus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EEG spectral power in the theta band was found to increase when a neurofeedback session was applied to patients with insomnia. This outcome might provide some insight into new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leep onset. However, the treatment response of insomniacs was not precisely evaluated due to limitations of the current pilot study, which requires follow-up studies with larger sampl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