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W and 1H

검색결과 3,616건 처리시간 0.043초

배, 파인애플 및 키위로부터 추출 분리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단일 또는 혼합처리가 Actomyosin 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ular Manner or Mixed Type Treatment of Proteases Isolated from Pear, Pineapple and Kiwifruit on Actomyosin Degradation)

  • 김은미;최일신;황성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9
    • /
    • 2003
  • 본 연구는 배, 파인애플, 키위로부터 획득한 단일 단백질 분해효소 또는 이들의 혼합 단백질분해효소의 pH 및 처리시간에 따른 계육의 actomyosin분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를 처리한 경우, pH 5.3, 7.0과 8.0 모두에서 가장 강한 분해능력을 나타내었으나, 배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의 actomyosin 분해 능력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pH에 따른 분해 능력의 조사 결과는 배, 파인애플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 모두pH 5.3에서 강한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H 8.0에서는 파인애플을 제외한 배 및 키위 단백질분해효소는 약한 분해 반응을 보였다. 배 단백질분해효소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를 1:1 (w/w)로 혼합하였을 때 pH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강한 분해를 나타낸 반면, 배와 키위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 또는 키위 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의 경우, 배와 파인애플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의 경우에 비해 분해 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pH 7.0에서는 키위 효소의 단백질 분해 활성은 배 단백질분해효소와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파인애플로부터 추출한 단백질분해효소와는 경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배, 파인애플 및 키위 단백질 분해효소의 혼합효소로 처리한 경우pH의 차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상적인 분해 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파인애플 및 파파야 등 열대 과일 유래의 단백질분해효소 단일로 처리할 때의 단점인 과잉분해의 문제점이 배 단백질분해효소의 혼합이용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ellulomonas sp. YE-5가 생산하는 Cellulase의 정제 (Purification of Cellulase Produced from Cellulomonas sp. YE-5)

  • 최동철;허남윤;오두환;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6-382
    • /
    • 1990
  • 토양과 퇴비 등에서 섬유소 자화력이 있는 세균을 분리하고 이 균주들 중 cellulase 생산능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Cellulomonas sp.로 동정하였다. Cellulomonas sp. YE-5의 최적 배양조건은 pH6.5 Solka floc 0.8(w/v), urea 0.06(w/v), K2HPO4 0.1(w/v), bacto peptone 0.2(w/v), yeast extract 0.2(w/v) 그리고 MgSO4.7H2O 0.0(w/v) 이었으며, 이러한 배지를 사용하여 $30^{\circ}C$ 에서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avicelase, CMCase 그리고 Beta-glucosidase는 각각 0.350, 3.180, 0.882units/ml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Ⅴ) Tetraphydrate의 결정 구조 (Crystal Structure of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Ⅴ) Tetrahydrate)

  • 박기민;;이욱;이욱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59-365
    • /
    • 1994
  • Hexapotassium undecahydrogen tetratungsto hexaantimonate(V) tetrahydrate 단결정의 X-선 회절 강도 데이타로부터 결정 구조를 정하였다. 결정학적 데이타는 다음과 같다. $K_6H_{12}[Sb_6W_4O_{36}]{\cdot}4H_2O$, Fw = 2360.62, tetragonal, I$4_1$/a, a = 10.799(1) $\AA$, c = 35.244(5) $\AA$, V = 4110.1(7) $\AA^3$, Z = 4, $D_x$ = 3.82 g$cm^{-3}$, $\mu(MoK\alpha)$ = 160.15 $cm^{-1}$, T = 293 K, final R = 0.0356 for 2400($F_0 > 3\sigma(F_0))$의 독립적인 회절 강도를 이용하여 최종 신뢰도 인자 R = 0.0356를 얻었다. $[H_{12}Sb_6W_4O_{36}]^{6-}$ 다중 음이온은 1개의 W원자, 2개의 Sb원자 및 9개의 산소 원자가 독립적이며 점군 $\bar4(S_4)$에 속한다. 이 다중 음이온은 열린 두 개의 Sb(3)$O_6-W(1)O_6-Sb(2)O_6-W(1)O_6-Sb(3)O_6$ 팔면체 오각 고리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Sb-W, Sb-O, 및 W-O 원자간 거리의 범위는 각각 3.2304(9) - 3.2403(5) $\AA$, 1.745(8) - 2.334(6) $\AA$, 및 1.914(7) - 2.039(7) $\AA$이다.

  • PDF

Crystal Structure of Pentapotassium Disodium Hexatungstoantimonate(V) Dodecahydrate, $K_5Na_2[SbW_6O_{24}]\cdot12H_2O$

  • Lee, Uk;Sasaki, Yukiyosh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1호
    • /
    • pp.1-3
    • /
    • 1987
  • The crystal structure of $K_5Na_2[SbW_6O_{24}]{\cdot}12H_2O$ has been determined. Final R = 0.081 for 890 observed independent reflections collected by diffractometry. Crystal data as follows; trigonal, space group R3m, a = 9.794(1) ${\AA},\;{\alpha}$ = 84.72$(1)^{\circ}$, Z = 1. The heteropolyanion has a structure with point symmetry $D_{3d}$ (3m), of the ideal Anderson-type heteropolyanion. The Sb-W and W-W distances are 3.259(2) and 3.259(3) ${\AA}$. Three types of W-O ($W-O_t,\;W-O_b\;and\;W-O_c$) distances are 1.73(2), 1.95(4) and 2.20(3) ${\AA}$. The Sb-O distance is 1.97(3) ${\AA}$.

다중텅그스텐산 이온평형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 염화칼륨용액에서 (The Effects of Ionic Strength on Polytungstate Ions Equilibrium in KCl Solution)

  • 안상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7-170
    • /
    • 1974
  • 텅그스텐산이온 용액의 다핵화반응과 다중음이온의 양성자화반응에 대한 이온세기의 영향을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과 헥사텅그스텐산 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었다. 20∼50 C 및 1∼4M KCl 용액에서 헥사텅그스텐산이온 및 헥사텅그스텐이온의 양성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에 대한 평행상수를 계산하였다. Van`t Hoff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헥사텅그스텐산이온의 양성자화된 형태가 생성되는 반응의 엔탈피변화는 이온세기에 관계없었다. $7H^++{6WO_4}^{2-}={HW_6O_{21}}^{5-}+3H_2O\;\;{\Delta}H^{\circ}=-62.4{\pm}0.6$$H^++{HW_6O_{21}}^{5-}={H_2W_6O_{21}}^{4-}\;\;{\Delta}H+_1^{\circ}=-4.12{\pm}0.10$$H^++{H_2W_6O_{21}}^{4-}={ H_3W_6O_{21}}^{3-}\;\;{\Delta}H_2^{\circ}=-4.36{\pm}0.30$위에 기술한 각 반응에 대한 자유에너지 변화 및 엔탈피변화를 계산하였고 이온세기의 영향을 고찰해보았다. 이온세기와 $log k_{6,7}$ 사이에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 k_{6,7}\;=\;D{\mu}+I,\;D\;=\;1.66{\pm}0.02$$logk_1$$logk_2$${\mu}$ 사이에도 전체 이온세기 범위내에서 직선함수식이 성립하였다.$logk_1=D_1{\mu}+I_1,\;logk_2\;=\;D_2{\mu}+I_2$ 여기에서 $D_1=-0.065{\pm}0.001이었고\;D_2=-0.367{\pm}0.0006$이었다.

  • PDF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을 위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분석 5W1H와 태스크 모델의 관점에서 (Analysis of Metadata Standards of Record Management for Metadata Interoper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the Task model and 5W1H)

  • 백재은;스기모토 시게오
    • 기록학연구
    • /
    • 제32호
    • /
    • pp.127-176
    • /
    • 2012
  • 메타데이터 표준규격(이하 메타데이터 표준으로 기재)은 디지털 자원(Digital resource)의 장기보존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위해 필요한 기본 요소 중 하나로, 이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중요한 요소로 잘 알려져 있다. 자원(Resource)의 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장기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은 다양하며, AGRkMS, EAD, ISAD(G), OAIS, PREMIS5) 등이 이용되고 있다. 우리는 아카이브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표준을 디자인하기 위해 목적에 따른 메타데이터 표준을 선택하고 맞춤화(Customization)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으로, 다른 시스템의 메타데이터 스키마와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에 대한 고찰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전 연구에서, 우리는 기록 생애 주기(Records lifecycle)라는 관점으로부터 메타데이터 표준의 특성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로 인해, 각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가 해당하는 기록 생애 주기의 처음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아카이브 혹은 보존을 위해서는 하나의 메타데이터 표준만으로 기록 생애 주기 전체를 포괄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우리는 이 분석을 통해서 기록 생애 주기의 단계와 메타데이터 표준간의 관계, 기록 생애 주기 전체에서의 메타데이터 특성은 볼 수 있었으나, 보다 상세한 분석을 실시하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지금까지의 연구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기록 생애 주기의 관점에서 디지털 아카이브와 보존, 기록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특징 분석을 위해, 기록 생애 주기 안에서 실행되는 업무의 관점으로부터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재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기술대상이 되는 자원을 중심으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기록 생애 주기 전체와 생애 주기 안의 각 단계에서 이용되는 메타데이터 표준간의 매핑을 위한 적절한 방법이 없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기 다른 메타데이터 표준의 기술 요소를, 기록 생애 주기에 포함시키는 업무와 연결시키는 것으로 메타데이터 표준간의 매핑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표준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기록 생애 주기를 이용하여 작성한 자원의 업무중심 모델, 즉 태스크 모델(Task Model)을 제안한다. 태스크 모델을 이용함에 있어서 업무를 실행하는 '이벤트(Event)'의 관점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업무를 중심으로 기술 요소간의 매핑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요소를 카테고리 화하여 매핑의 대상 범위를 좁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 범용성을 가진 5W1H모델(Who, What, Why, When, Where, How)을 이용하여, 기술 요소를 카테고리 화 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태스크 모델과 5W1H 모델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에 특징을 부여하고, 요소 간의 매핑을 실시하여 표준 간 관계를 확인하였다. 태스크 모델은 기록 생애 주기 전체에 업무의 관점을 반영한 것으로, 이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기록 생애 주기와 그 안의 각 업무에 대한 메타데이터 표준의 사용, 그리고 특징 분석을 위해 실시되는 기술 요소간의 매핑이 가능할 수 있었다. 또한, 5W1H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업무와 자원에 관련되는 기술 요소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관계가 명확해지는 것과 함께 조사대상을 좁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프레임워크의 제안과 이용으로 우리는 특징 분석을 위해 실시되는 매핑 혹은 분류가 단순한 일반적인 매핑이 아닌 의미적인 분류를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들을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표준간의 크로스워크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태스크 모델의 각 단계의 문맥 내에서 메타데이터 기술 요소의 특성을 매핑 예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프레임워크에 대해 고찰하였다.

건물협곡에서의 2차 역회전 소용돌이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econdary Reverse Vortex in Building Canyon)

  • 손민우;김도용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28-53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이용하여, 건물 외관비에 따른 건물협곡에서의 소용돌이 현상을 재현하고 정량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물협곡의 폭(W)을 기준으로 건물의 길이(L) 및 높이(H) 증가에 따른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건물협곡에서의 바람 벡터장과 2차 역회전 소용돌이의 형성 등을 분석하였다. 수평소용돌이의 경우에는 건물의 길이 증가에 따라 성장하다가 L/W=2.5부터 건물협곡의 중앙부에서 벡터의 크기 약화 및 방향 변화 등의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였고, L/W=3.0 이상에서 흐름이 분리되어 1차 소용돌이는 약화되고 건물협곡의 안쪽에서 2차 역회전 소용돌이가 형성되었다. 연직소용돌이의 경우에는 건물의 높이 증가에 따라 성장하다가 H/W=2.5부터 건물협곡의 하부에서 벡터의 방향전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H/W=3.5 이상의 조건에서 1차 소용돌이는 약화되고 2차 역회전 소용돌이가 형성되었다.

$SiH_4$환원에 의한 selective 텅스텐막 특성에 대한 $SiH_4$ 유속의 효과 (Effects of $SiH_4$gas flow rate on the properties of selective CVD-W by $SiH_4$ reduction)

  • 임영진;이종무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4권2호
    • /
    • pp.123-131
    • /
    • 1991
  • SiH$_{4}$환원에 의한 selective CVD-W 공정에서 SiH$_{4}$ 유속의 W막 특성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0.7$_{4}$/SW$_{2}$(=R)<0.9에서 .betha.-W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SiH$_{4}$ 유속의 증가에 따라 .betha.-W의 함량은 게속 증가한다. W막의 표면 형태도 SiH$_{4}$유속의 증가에 따라 나뭇잎 모양(R<0.5), 흐릿하고 불안정한 모양(0.70.9에서는 주상의 결정립을 나타낸다. R.leq.0.7에서는 .alpha.-W만 존재하다가 0.7$_{4}$유속의 증가에 따라 증착속도와 W막의 정기저항이 증가한다. 특히, R.geq.0.9에서 전기저항이 급증한다. SiH$_{4}$유속의 증가에 따라 선택성이 악화되며 특히 1.1

  • PDF

원형철제빈용 벼 자동흡습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I) -벼의 흡습특성- (Development of Automatic Rewetting System for Rough Rice Stored in Round Steel Bin with Stirring Devic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rough rice-)

  • 김재열;금동혁;김훈;박상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5호
    • /
    • pp.469-474
    • /
    • 2001
  • Milling the rice with low moisture requires more energy, produces more cracked rice, and results in reducing taste of cooked ri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dd moisture to the rice with low moisture to obtain optimum moisture level for milling and taste of ri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absorption rate on rice crack, milling energy and whiteness of milled rice and to obtain the information for design of rewetting system mounted on stirring device in grain bin. The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four levels of initial moisture content in the range of 11.4 to 14.5%(w.b.) and six levels of absorption rate in the range of 0.04 to 1.0%, w.b./hr. In the case of lower moisture content below 12%(w.b.), crack ratios of brown rice were remarkably high regardless of initial moisture conten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rough rice below 12%(w.b.) in initial moisture content could not rewetted by spraying water without crack generation of low level. Absorption rate must be below 0.3%, w.b./hr to maintain crack ratio increase of less than 1% regardless of initial moisture contents. In the case of allowable crack ratio increase of 2% and 5%,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absorprion rate was respectively 0.6%, w.b./hr and 1.0%, w.b./hr in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of above 13.5%(w.b.). Rewetting the rough rice in moisture content of 11.4 to 14.5%(w.b.) to 14.3 to 16.9%(w.b.) decreased milling energy consumption by 15.9 to 22.3%. The effect of energy saving was higher in the samples of higher initial moisture content. Whiteness of milled rice was decreased by 0.5 to 1.5.

  • PDF

Effect of Double Noise-Barrier on Air Pollution Dispersion around Road, Using CFD

  • Jeong, Sang Ji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8권2호
    • /
    • pp.81-88
    • /
    • 2014
  • Noise-barriers on both sides of the roadway (hereafter referred to as double noise-barriers), are a common feature along roads in Korea, and these are expected to have important effects on the near-road air pollution dispersion of vehicle emissions. This study evaluated the double noise-barrier impact on near-road air pollution dispersion, using a FLUENT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The realizable k-${\varepsilon}$ model in FLUENT CFD code was used to simulate vehicle air pollutant dispersion, in around 11 cases of double noise-barriers. The simulated concentration profiles and surface concentrations under no barrier case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imulated flows show the following three regimes in this study: isolated roughness (H/W=0.05), wake interface (H/W=0.1), and skimming flow (H/W>0.15).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normalized average concentrations at surface (z=1 m) between the barriers increase with increasing double noise-barrier height; however, normalized average concentrations at the top position between the barriers decrease with increasing barrier height. It was found that the double noise-barrier decreases normalized average concentrations of leeward positions, ranging from 0.8 (H/W=0.1, wake interface) to 0.1 (H/W=0.5, skimming flow)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no barrier case, at 10 x/h downwind position; and ranging from 1.0 (H/W=0.1) to 0.4 (H/W=0.5)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no barrier case, at 60 x/h downwind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