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5-67}$

검색결과 1,830건 처리시간 0.026초

비호지킨림프종에서 아포프토시스 및 세포증식 : Bcl-2, P53 단백발현과의 관계 (Apoptosis and Proliferative Activity of Non-Hodgkin's Lymphoma : Correlation with Bcl-2 and P53 Protein Expression)

  • 오윤경;이미자;전호종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1호
    • /
    • pp.73-80
    • /
    • 2002
  • 목적 : 종양의 성장은 세포의 증식과 소실의 순수한 결과이며, 대부분의 종양들에서 아포프토시스는 계속되는 세포 소실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호지킨림프종 환자들을 REAL 분류에 따라 재분류한 다음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 발현, P53 단백 발현을 관찰하여 종양의 성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인자들의 관련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비호지킨림프종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Working Formulati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을 때 저등급이 3명, 중등급이 64명이었다. 세포 표현형은 전체 67명의 환자 중 47명$(70\%)$이 B세포 표현형이었고, 18명$(27\%)$이 T세포 표현형이었으며, 2명에서는 분류할 수 없었다. 환자의 파라핀 포매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Bcl-2 단백발현, P53 단백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 : Bcl-2 단백의 발현은 $40\%$ (26/65)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 P53 단백의 발현은 $31\%$ (20/65)에서 보였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0\%$$15\%$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2.16이고 중앙값은 1.2이었다. 아포프토시스 지수는 세포 표현형이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cl-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5).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1\%$$91\%$ 사이의 범위에 있었으며 평균은 $55.4\%$이었다. Ki-67 세포증식지수는 세포표현형이나 B치-2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53 단백발현 여부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 전체 환자군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 사이에 관련이 없었으나, Bcl-2 단백발현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증가하면 Ki-67 세포증식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p=0.012). 결론 : Bcl-2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아포프토시스 지수가 낮았고, P53 단백발현이 양성이면 Ki-67 세포증식지수는 높았다. 또한 Bcl-2 양성인 환자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지수와 Ki-67 세포증식지수사이의 양성 연관성을 보였는데 이는 아포프토시스가 종양의 성장에 있어서 세포의 증식과 별도로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는 것임을 시사해준다고 본다.

남해안 해조류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a Algaes in the Southern Sea Coast of Korea)

  • 최강주;최선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8-63
    • /
    • 2002
  • 우리나라 남해안 완도지역에 자생하는 해조류 중 갈조류 9종, 홍조류 5종, 녹조류 2종의 지질함량을을 조사하고 지방산조성을 GLC로 분석하였다. 총지질 함량을 볼 때 갈조류 9종은 0.58∼3.00%, 홍조류 5종은 0.47∼2.16%, 녹조류 2종은 0.55∼2.00%로 매우 낮았다. 지방산 성분중 생리적으로 의의가 큰 n-3계열 지방산은 linoleic (18:3), stearidonic (18:4), eicosapentaenoic(20:5) 및 docosahexaenoic (22:6), n-6계열 지방산은 linoleic(18:2), linolenic(18:3), eicosadienoic (20:2),eicosatrienoic(20:3) 및 arachidonic acid(20:4) 등이 각각 정량되었다. 총 n-3 및 n-6 지방산 조성을 보면 갈조류는 1.46∼25.67% 및 0∼48.51%, 홍조류는 1.17∼21.91% 및 0.28%∼29.35%, 녹조류는 3.67∼ 10.61% 및 4.1 ∼8.66%였다. 해조류는 갈조류, 홍조류 및 녹조류의 종류에 따라 n-3계열 불포화지방산과 n-6계열 지방산 함량 조성이 매우 상이하였으며, 특히 영양학적긴 측면에서 볼 때 지충이, 톳유엽 및 실풀 외에도 광생이모자반, 뜸부기, 톱니모자반, 꼬불꼬시래기 등은 n-3 polyenes의 조성비율이 높은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고찰되었다.

Electrowinning에 의한 $LiF-BeF_2-ZrF_4$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 (Separation of Zr metal from $LiF-BeF_2-ZrF_4$ Molten Salt by Electrowinning)

  • 우문식;유재형;권수한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759-765
    • /
    • 2000
  • 전해제련법을 이용하여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에서 Zr 금속 분리실험을 수행하였다. $LiF-BeF_2$ (72-28 mol%) 용융염과 $LiF-BeF_2-ZrF_4$ (67-27-6 mol%) 용융염의 분해 전압은 각각 -1.55, -1.35 volt로 측정되었고, Zr 분리실험 결과 인가전압 범위는 -1.4 -1.5 volt 사이가 적당하였다. 인가전류가 증가할수록 전착량은 증가하나 전류효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ZrF_4$의 기화로 인하여 전착량과 전류효율이 감소하였다.

  • PDF

Hardness and Oxidation Resistance of Ti0.33Al0.67N/CrN Nano-multilayered Superlattice Coatings

  • Ahn, Seung-Su;Oh, Kyung-Sik;Chung, Tai-Joo;Park, Jong-Keuk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49-55
    • /
    • 2019
  • $Ti_{0.33}Al_{0.67}N/CrN$ nano-multilayers, which are known to have excellent wear resistance, were prepared using an unbalanced magnetron sputter to have various periods of 2-5 nm. $Ti_{0.33}Al_{0.67}N$ had a hexagonal structure in a single layer, but converted to a cubic structure by forming a multilayer with CrN, which has a cubic structure. Thus, $Ti_{0.33}Al_{0.67}N$ formed a superlattice in the multilayer. The $Ti_{0.33}Al_{0.67}/CrN$ multilayer with a period of 2.5 nm greatly exceeded the hardness of the $Ti_{0.33}Al_{0.67}N$ and the CrN single layer, reaching 39 GPa. According to the low angle X-ray diffraction results, the $Ti_{0.33}Al_{0.67}N/CrN$ multilayer maintained its as-coated structure to a temperature as high as $700^{\circ}C$ and exhibited hardness of 30 GPa. The thickness of the oxide layer of the $Ti_{0.33}Al_{0.67}N/CrN$ multilayered coating was less than one-tenth of those of the single layers. Thus, $Ti_{0.33}Al_{0.67}N/CrN$ multilayered coating had hardness and oxidation resistance far superior to those of its constituent single layers.

아토피 피부염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연구 동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topic Dermatitis -Based on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김기영;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42
    • /
    • 2017
  • Objectives The goal of this review was to investigate clinical, experimental and literature studies of Korean medicine on atopic dermatitis (AD) of Korean children in Korean medicine literature, seeking for the better research methods for more effective treatments. Methods Electronic investigations were practiced on AKOP (The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http://www.akop.or.kr) to collect theses which were published by J Pediatr Korean Med. The key word 'Atopy' was used for searching to ensure that every related thesis was collected. The publication date was limited from 1996 to 2016.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ssessed mainly according to distributions of study type, publication year, scale, treatment and its efficacy. Results 55 papers were selected from 59 studies. In these collected 55 related theses, there were 29 experimental studies (52.73%), 18 clinical studies (32.73%), 8 review studies (14.55%). In the 29 experimental studies, there were 20 studies (68.97%) using NC/Nga mouse as subjects. The mite antigen was used to trigger AD by 8 studies (27.59%). The studies have been utilizing DNCB and DNFB instead of mite antigen since 2011. All the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Korean medicine was effective in AD. In total 18 clinical studies, 3 studies (16.67%) were case reports, only 1 thesis (5.56%) was conducted by case control study and the rest were case series studies. 7 studies (38.89%) of 18 studies diagnosed AD according to Hanifin and Rajka's diagnostic criteria (1980), only 1 study (5.56%)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and the rest 10 studies (55.56%) didn't mention diagnostic criteria. 12 clinical studies (66.67%) showed efficacy in treating AD. There were 10 studies (55.56%) only employing internal treatments and 1 thesis (5.56%) didn't mention the exact prescription. Naesowhajungtang-kamibang, Saenghyeoryunbue-um were used 3 times (16.67%) as the internal medicine respectively. 5 theses (27.78%) were combined with acupuncture therapy. Hegu (LI4), Sanyinjiao (SP6) were used in 4 theses, and Taichong (LR3), Quchi (LI11), Zusanli (ST36) in 3 theses. The number of acupoints chosen from The Spleen meridian of Foot-Taiyin was the largest. There were 8 review theses. 2 were about the foreign oriental medicine, 3 were about the external medicine or external treatment methods, and 3 other studies were about severity scoring systems, the methodological study in the latest clinical study, overview for pattern and results of herbal medicine-derived AD clinical researches.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studies and clinical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However, this study still needs improving by conducting more comparative studies and using better research methods, in order to find more effective treatments to improve clinical efficacy.

시력교정용 안경렌즈의 융복합적 기술개발을 위한 UV차단 성능 평가 (Assessment of UV Blocking Performance for Development of Converged Technologies of Vision Correcting Spectacle Lenses)

  • 김흥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3-98
    • /
    • 2018
  • 본 연구는 시력교정용 안경렌즈의 재질에 따른 자외선 차단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경렌즈 Acryl, CR-39, NK-55, MR-8 재질의 렌즈에 대하여 흠집 방지와 반사방지 코팅을 한 렌즈 Group A와 여기에 자외선 차단 코팅을 추가한 렌즈 Group B, 그리고 자외선 차단 전용렌즈 Group C에 대하여 자외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UV-A 파장에서 Group A는 CR-39 렌즈가 7.726 %, NK-55 렌즈, 0.043 %, MR-8과 Acryl 렌즈, 0.007 % 순 이었으며 Group B는 CR-39 렌즈가 0.038 %, NK-55 렌즈, 0.037 %, MR-8과 Acryl 렌즈, 0.007 % 순으로 나타나 CR-39 렌즈의 자외선 차단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Group C는 굴절률이 1.60과 1.67에서 각각 0.005 %, 0.004 %로 나타나 자외선 차단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저 도수의 렌즈와 썬글라스의 경우, CR-39 렌즈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현실에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새로운 재질 또는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코팅 기술 등의 융 복합적 기술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 신뢰지수 및 신뢰성 평가요인 (Confidence Indicators and Evaluation Factors of Credibil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Online Information)

  • 김영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4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정보원을 12개 유형으로 범주화한 다음 전국적 규모의 대규모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온라인 정보의 유형별 신뢰도 실태조사 및 신뢰지수의 도출, 그리고 온라인 정보의 유형별 신뢰성 평가요인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드러난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우선 온라인 정보원의 유형별 '신뢰지수'는 뉴스 사이트에 게시된 정보(72.553), 금융기관(68.894), 정부기관(67.938), 카페(66.464), 포털(65.001), 집단지성(63.489), 비영리기관(63.392), 일반기업(59.789), 블로그(59.066), 온라인 토론방(55.609), 전자상거래 사이트(55.118), 미니홈피(50.695)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형별 온라인 정보원의 신뢰성 평가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 전체적으로 보아 '널리 알려진 웹 사이트이다'는 요인은 온라인 정보원 정보원의 유형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범주에서 신뢰성 평가를 위한 주된 요인이 되고 있으며, 카페나 블로그, 미니홈피, 토론방, 집단지성 등의 신뢰성 평가에는 게시된 글의 조회 수나 댓글 등과 같은 다른 이용자의 의견이, 그리고 금융기관이나 일반기업, 정부기관이나 비영리기관 등은 해당 기관의 평판이 신뢰성 평가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mputed Radiography에서 고정형 그리드와 이동형 그리드 영상의 인식률 비교 (Stationary and Moving Computed Radiography Grids : Comparative Observer's Perception)

  • 이기호;이창훈;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515-521
    • /
    • 2015
  • 고정형 그리드(stationary grid)에서 그리드 아티팩트(grid artifacts)와 모아레 아티팩트($moir{\acute{e}}$ pattern artifacts)로 인한 영상의 질의 저하와 이동형 그리드(moving grid)에서의 컷 오프 아티팩트(cut off artifacts)로 인한 영상의 질의 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CDRAD 팬텀(Phantom)과 두께 24 cm의 acryl Phantom을 촬영조건(X-ray exposure conditions)을 100 cm, 80 kVp, 30 mA로 하여 고정형 그리드와 이동형그리드에서 영상(X-ray imaging)을 획득하였다. CDRAD Analyser을 이용한 영상(X-ray imaging) 인식률(observer's perception)은 고정그리드에서 평균(mean) 49.36,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3.76, 최대값(max) 55.56, 최소값 38.67이었고 이동형그리드에서 평균 47.04, 편차 12.69, 최대값 55.56, 최소값 20.89이었다. 이동형 그리드보다 고정형 그리드가 인식률의 평균과 표준편차에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한국 노인과 뉴질랜드 노인의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비교 연구 (Comparison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Between Korea Elders and New Zealand Elders)

  • 김경덕;김경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190-620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뉴질랜드 노인의 국가 간 우울, 불안,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60세 이상의 남녀 재가노인으로 뉴질랜드 55명과 성별로 짝짓기를 하여 한국 55명으로 총 110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월 24일부터 2월 1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직접 면접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 정도는 한국 13.67/42점으로 뉴질랜드 4.70/42점보다 높았다. 불안 수준은 한국 11.42/42점으로 뉴질랜드 4.92/42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 수준은 한국 13.54/42점으로 뉴질랜드 5.40/42점보다 높게 확인되었다. 노인의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우울은 불안과 스트레스와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불안 또한 스트레스와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노인의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갑상선 결절의 Ki67과 p27 발현도에 대한 분석 (Significance of Ki67 and p27 Reactivities in Various Thyroid Disorders)

  • 박정수;정웅윤;장항석;이미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
    • /
    • 1999
  • Objective: The expression of Ki67, a proliferation marker, and p27, a cyclin dependent kinases(CDKs) inhibitor, has been studied in various human neoplasm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whether these markers are useful in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lesions of the thyroid or predicting biologic behavior of malignant lesions. Material and Methods: Using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s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Ki67 and p27, we analyzed the expression of Ki67 and p27 in various thyroid disorders(25 follicular adenomas, 47 follicular carcinomas, 16 papillary carcinomas, 20 adenomatous goiters and 40 normal thyroid tissues). The labeling indices(LIs) were determined by counting cells expressing these markers in 1000 cells per immunostained slide. Results: Neoplastic thyroid diseases showed higher expression of Ki67 and lower expression of p27 than non-neoplastic diseases(p<0.05). The expression of p27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ollicular adenomas($LI=55.4{\pm}5.7$) and follicular carcinomas($LI=23.2{\pm}10.2$). There wa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Ki67 and p27labeling indices and types of carcinoma or clinical aggressiveness of diseases. Conclusion: The degree of Ki67 and p27 expression was useful in distinguishing between benign from malignant thyroid lesions, particulary between follicular adenoma and follicular carcinoma, but was not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tumor aggressiven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