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3C30

검색결과 1,022건 처리시간 0.041초

20, 30대 한국 남성의 전두부 모발선의 모양과 위치 (The Shape and the Location of Forehead Hairline of Korean Males in Their 20s & 30s)

  • 윤성원;김정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95-299
    • /
    • 2011
  • Purpose: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alopecia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scars, stress, genetical factors, androgens, etc. Androgenic alopecia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alopecia and found mainly in males. Propecia (Merck & Co., USA) and Minoxidil (McNEIL-PPC, Inc, USA) were the drugs approved from FDA for treatment of androgenic alopecia. Surgical treatments such as flap, tissue expansion, scalp reduction and hair transplantation can be considered if necessary. Hair micrograft techniques were developed for natural hair shapes and minimal adverse effect. There were attempts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forehead of the Korean young adults. However attempts to classify the shape and location of forehead hairline were ra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standard hairlines of young adults in their 20s & 30s and the result would be the guideline of the hairline in hair replacement surgery of male patients in their 40s & 50s. Methods: 200 male adults in 20s and 30s were photographed and measured the length of 11 vertical index lines to determine hairline. The indexes are the distances from hairline to intercanthal midpoint (A), to medial canthus (B), to upper eyelid fissure (C), to lower eyelid fissure (D), to lateral canthus (E) and distance from lateral highest point to medial lowest point, if the hairline is M-shape (F). Additionally, we classified the hairlines into 4 groups, M, horizontal, inverted U and irregular shapes. Results: The most common hairline of male adults in their 20s is inverted U-shape (53.3%), followed by horizontal-shape, M-shape, irregular-shape. In their 30s, inverted U-shape (59%) is followed by irregular-shape, M-shape, horizontal-shape. The M-shape is more frequently found in males in 30s than those in 20s. The mean values of the indexes in their 20s are as follows: A (76.14 mm), B (Rt: 75.78 mm, Lt:76.41 mm), C (Rt: 69.43 mm, Lt: 69.92 mm), D (Rt: 76.92 mm, Lt:77.46 mm), E (Rt: 64.16 mm, Lt: 64.73 mm), F (4.09 mm). Those in their 30s are as follows: A (76.13 mm), B (Rt: 76.114 mm, Lt: 76.02 mm), C (Rt: 69.87 mm, Lt: 70.37 mm), D (Rt: 77.37 mm, Lt: 77.58 mm), E (Rt: 69.63 mm, Lt: 69.85 mm), F (6.14 mm). Conclusion: The knowledge about human body measurement is indispensable to plastic surgeons. In this study, inverted U shape is the most common type of hairline in 30s, and similar distribution is found in 20s. The percentage of M shape in their 30s is elevated more than 10% compared to that in their 20s. The study of hairline shapes and 11 indexes of hairlines can be useful for planning of the hair transplantation and postoperative evaluation. This study being based on photogrammetry,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actual distance of curved face and projected distance on flat photographs.

가속실험을 이용한 상업적 멸균처리 한식 탕반류의 유통기한 평가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Korean Soups using accelerated experiment)

  • 한경수;이은정;홍상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4
    • /
    • 2005
  • 육개장, 사골우거지탕, 갈비탕 및 설렁탕을 진공포장하고 $121^{\circ}C$, 30분 멸균 처리하여 $37^{\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shelf-life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탕반류의 가속저장실험에서 $37^{\circ}C$ 저장 중 표준평판균 수가 나타나지 않고 pH, TBA가 및 색도에 큰 변화가 없으며 관능평가 점수가 7점 이상인 저장일수는 육개장 7일, 사골우거지탕 14일, 갈비탕 7일, 설렁탕은 21 일로 평가되었고 $Q_10$값을 2.5로 가정시, $5^{\circ}C$ 냉장저장 에서는 육개장과 갈비탕은 109일, 사골우거지탕은 219 일, 설렁탕은 328일 유통이 가능하고, $10^{\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69일, 사골우거지탕은 138일, 설렁탕은 207일, $25^{\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18일, 사골우거지탕은 35일, 설렁탕은 53일로 계산되어 진공포장하여 멸균($121^{\circ}C$, 30분)된 탕반류는 $10^{\circ}C$ 이하에서 상업적인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쌀 품종에 따른 쌀밥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I. 저장중 쌀밥의 풍미 및 겉모양의 변화- (Study on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Rices -I. Changes in Flavor and Appearance of Cooked Rices during Storge-)

  • 김종군;황진선;김우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09-117
    • /
    • 1987
  • 일반계(아끼바레)와 다수계(밀양 30, 태백)의 취반된 쌀밥이 온도별로 저장하는 동안 쌀밥의 풀어짐성과 냄새, 맛, 겉모양과 같은 관능적 성질이 변화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취반후의 쌀밥크기는 아끼바레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물속에서의 풀어짐성은 다수계가 아끼바레보다 높았다. 저장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풀어짐성은 전반적으로 3시간 저장시 현저히 감소하였다가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낮은온도$(4^{\circ}C)$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쌀밥의 냄새는 아끼바레가 단냄새와 구수한 냄새에서 다수계보다 높았으나 곰팡이냄새는 낮았다. 맛은 구수한 맛과 느끼한 맛에서는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단만은 아끼바레가 높은 강도를 보여주었다. 온도별 저장에 따른 변화는 전반적으로 구수한 냄새와 단냄새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곰팡이 냄새는 오히려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맛에서도 구수한 맛과 단맛의 현저한 감소가 평가되었다. 한편 겉모양에서는 아끼바레가 다수계보다 윤택하였으며 이러한 성질은 저장하면서 서서히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 PDF

한국 성인의 혈청 비타민 D 수준과 심혈관 질환 관련 지표와의 관련성 (Relevance of Serum Vitamin D and Indice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 김한수;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65-374
    • /
    • 2018
  • 본 연구는 제 6기(2013년,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한국 성인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심혈관 질환 관련 지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의 비타민 D 결핍 수준은 인구대비 약 73.1%로 나타났으며, 심혈관 질환도 55.6%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신체 활동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비타민 D와 심혈관 질환 관련 지표 중 비타민 D 수준이 20.0 ng/mL 미만일 때, 연령에서 45-64세의 교차비는 1.72(95% C1, 1.53-1.93)로, 65세 이상의 교차비는 2.05(95% C1, 1.71-2.45)로 유의하였다. 혈압에서 고혈압 전단계의 교차비는 1.30(95% C1, 1.15-1.47)로, 고혈압의 교차비는 1.31(95% C1, 1.11-1.54)로 유의하였다. 체질량지수의 교차비는 1.13(95% C1, 1.01-1.27)로, 허리둘레의 교차비는 1.12(95% C1, 1.08-1.36)로 유의하였다. 혈당에서 공복혈당장애의 교차비는 1.37(95% C1, 1.21-1.55)로, 당뇨병의 교차비는 1.31(95% C1, 1.05-1.65)로 유의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의 교차비는 1.30(95% C1, 1.11-1.52)으로, 중성지방의 교차비는 1.20(95% C1, 1.04-1.37)으로 유의하였다. 우리나라 성인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심혈관 관련 지표와의 관련성에서 연령, 혈압, 공복혈당,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에서 관련성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비타민 D 수준과 심혈관 질환 관련 지표에 대한 체계적인 코호트 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를 시행할 수 있다면 인과관계를 확인하는데 좀 더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암조직에서의 MAGE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AGE in Gastric Cancer Tissues)

  • 최재형;이상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180-185
    • /
    • 2005
  • 목적: 정상세포와는 달리 종양세포에서만 비교적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을 tumor specific antigens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은 악성흑색종에서 처음 발견된 MAGE (melanoma antigen)가 있다. 위암조직에서의 MAGE subtype의 발현율은 약 $20{\sim}40%$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진행성 위암은 전체적으로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에 면역치료법과 같은 새로운 치료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술 후에 얻은 정상 및 암 조직에서의 MAGE의 발현정도를 각 subtypes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Primers로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시경에서 진행성 암으로 진단된 후 수술받은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중 절제된 위에서 정상조직과 암 조직을 얻어 $-70^{\circ}C$에서 보관하였다. 환자는 남자가 35명, 여자가 18명이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보관된 조직에서 m-RNA를 분리한 후 RT-PCR과 nested PCR로 MAGE의 발현여부를 알아보았다. 기존에 알려진 MAGE gene의 subtypes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oligonucleotides를 일차 primers로 이용하여 증폭시켰다. 그 후 또 다른 primers를 이용한 nested RT-PCR을 시행하여 각 조직에서의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위암환자에서 53예의 암조직 중 13개(24.5%)에서 MAGE gene이 양성으로 나왔고 정상조직에서는 MAGE gene이 모두 음성이었다. 위암의 조직형, ABO type, CEA, CA19-9와 cancer의 위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위암환자의 $20{\sim}30%$에서 MAGE gene이 발현되었으며, 이에 MAGE gene을 이용한 면역치료법의 시도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열처리한 국산 감초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in Korea)

  • 우관식;황인국;노영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89-695
    • /
    • 2007
  • 국산 감초를 처리온도, 시간 및 첨가수분함량을 변수로하여 열처리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를 분석하고 반응표면분석으로 최적화 조건을 조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추출수율은 $130^{\circ}C$, 3시간, 가수량 50%일 때 10.90%로 무처리구의 0.80%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은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로 처리한 시료가 25.00%로 무처리구의 15.80%보다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가 845.67 mg/100 g으로 무처리구의 277.00 mg/100 g보다 높았다. 항산화활성($IC_{50}$)은 열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 처리구에서 0.53 g/L로 무처리구의 12.34 g/L보다 매우 높게나타났다. 총항산화력(AEAC)은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120^{\circ}C$, 2시간, 가수량 40% 처리구에서 1,584 mg AA eq로 무처리구의 1,263 mg AA eq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감초의 항산화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등을 증가시키기 위한 최적의 열처리 조건은 $120^{\circ}C$, 2시간, 가수량 $20{\sim}40%$로 판단되었다.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Advanced Cervical Cancer before and after Chemo-radiotherapy

  • Dahiya, Neha;Acharya, Anita S;Bachani, Damodar;Sharma, DN;Gupta, Subhash;Haresh, KP;Rath, G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7호
    • /
    • pp.3095-3099
    • /
    • 2016
  • Background: Cervical cancer is the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 among women in India. Understanding quality of life (QOL) in women undergoing chemo-radiotherapy for cervical cancer will help in introducing interventions for better care and outcomes in these women. This study assessed QOL before and after chemo-radiotherapy in cervical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follow-up study covered sixty-seven newly diagnosed women with advanced cervical cancer (stages 2b to 4b).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LQ-C30 and EORTC QLQ-CX24) were used to assess the change in QOL after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The mean age of women at the time of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was $52.3{\pm}11.29$ years (Range 30-75 years). Six months survival was 92.53%. The mean global health score of cervical cancer patients after six months of treatment was 59.52,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treatment score of 50.15 (p=0.00007).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ing improved significantly (p<0.05) after treatment. Fatigue, pain, insomnia and appetite loss improved but episodes of diarrhea increased after treatment. The mean "symptoms score" using EORTC QLQ-CX24 post treatment was 20.0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as compared to the pre- treatment score 30.0 (p<0.00001). Sexual enjoyment and sexual functioning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reatment. Conclusions: QOL of newly diagnosed cervical cancer patients improved significantly following chemo-radio therapy. Enhancement was also demonstrated on three of the five functional scales of EORTC QLQ-C30. To further improve QOL, interventions focusing on so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and physical rehabilitation may be needed.

백미 변온 저장중 과당의 변화 (Kinetic Studies on the Change of Fructose from the Rice Stored at Fluctuating Temperature Conditions)

  • 정연화;강문선;김무남;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85-791
    • /
    • 1993
  • 변온 조건하에서 백미를 저장했을때 수분활성에 따른 과당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당은 저장 초기에 0차반응으로 증가하다가 일정시간 이후 1차반응으로 감소하였다. 반응속도는 수분 활성과 자장온도가 높을수록 빨랐고, 각 수분활성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과당 증가시 10.76~19.56, 감소시는 4.53~8.40kcal/mole이었다. 그리고 $Q_{10}$값은 증가시 1.74~2.74, 감소시는 1.26~1.54였다. Accelerated shelf-life test로 부터 구한 $25^{\circ}C$에서의 shelf-life는 수분활성 (0.44, 0.52, 0.65, 0.75)에 따라 252, 212, 193, 162일의 범위였으며, 온도와 수분활성이 증가함에 따라 단축되었다. 변온조건에서의 실측치와 예측치를 비교한 결과 유효 온도차는 과당 증가시 0.49~2.52, 감소에서는 1.03~2.02의 차이를 보였다.

  • PDF

대형선망어구에 사용되는 무결절 망지의 종류별 유체역학적 특성 연구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knotless nettings for large purse seine gear)

  • 강다영;김현영;구명성;이춘우;차봉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3호
    • /
    • pp.228-23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rag coefficient and lift coefficient of thirteen kinds of knotless nettings used for large purse seine gear. By comparing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with nets of the previou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were derived as a purse seine gear. Thirteen kinds of nettings with different length of bar (l) and diameter (d) were used in the experiment, out of which six kinds used the 30 mm in mesh size and three kinds with 40 mm. The drag coefficient ($C_d$)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d/l. It can be expressed as $C_d=3.71499(d/l)+0.76595$ at a current speed 0.4 m/s and $C_d=4.30324(d/l)+0.69056$ at a current speed 0.5 m/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drag coefficient values were similar to knotless net of similar d/l and smaller than drag coefficient of knot net. Therefore, using knotless net in a purse seine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resistance acting on the purse seine gear.

생강나무와 산앵두나무의 뿌리에서 분리한 Penicillium spp.의 지베렐린 생산성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 최화열;이진형;신기선;이인중;이인구;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04
  • Gibberellins(GAs)는 식물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과 원예분야에 매우 중요한 새로운 GAs 생성미생물을 탐색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와 산앵두나무(Vaccinium koreanum)의 뿌리에 존재하는 사상균을 분리하여 GAs 생산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비색법으로 GA 생산량을 분석하였을 때 이들 중에서 GAs 생산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된 두 균주에 대하여 여러 GAs 중에서 식물생장촉진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GA_{1},\;GA_{3},\;GA_{4}$$GA_{7},\;GA_{53}$에 대하여 생산정도를 분석하고,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Waito-c(난장이 볍씨)에서 Bioassay를 수행하였다. 생강나무에서는 6종의 균주, 산앵두나무에서는 4종류의 GAs 생산균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중 GAs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균주들에 대하여 동정한 결과, 생강나무에서 분리한 C03 균주는 P. urticae KNUC03으로 동정되었으며, 산앵두나무에서 분리한 E03 균주는 P. griseofulvum KNUE03으로 동정되었다. 생합성된 GAs를 분석한 결과 P. urticae KNUC03 균주는 배양액 25 ml 중에 $GA_1\;7.08\;ng,\;GA_3\;30.80\;ng,\;GA_{4}\;1.27\;ng,\;GA_{7}\;0.88\;ng$$GA_{53}\;0.13\;ng$을 생산하였고 P. griseofulvum KNUE03은 $GA_1\;9.79\;ng,\;GA_3\;133.58\;ng,\;GA_4\;2.64\;ng,\;GA_7\;7.80\;ng$$GA_{53}\;0.73\;ng$을 생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두 균주 중에서 P. griseofulvum KNUE03이 GAs를 더 많이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