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5-HT3 receptor antagonis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9초

뇌실내 TFMPP가 가토신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racerebroventricular TFMPP on Rabbit Renal Function)

  • 임영채;최종범;김경근;국영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46
    • /
    • 1992
  • 신장기능조절에 있어서 중추 tryptamine계가 관련되어 있으며, $5-HT_1$수용체는 이뇨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에 $5-HT_2$$5-HT_3$수용체는 항이뇨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5-HT_1$수용체도 단일하지 않고 여러 subtype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5-HT_{1A}$수용체의 역할에 관해서는 신기능에 이뇨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시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추 tryptamine성 신기능 조절에 있어서 $5-HT_{1B}$수용체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선택적 $5-HT_{1B}$ agonist인 TFMPP $8{\sim}750\;{\mu}g/kg$을 가토 측뇌실내로 투여하면 투여량에 비례하여 이뇨 및 Na과 K 배설의 증가를 초래하였으며, $250\;{\mu}g/kg$ 투여시에는 Na의 배설 분획이 5.44%까지 증가하였다. Na배설 촉진작용은 신혈류역학의 증가 보다도 훨씬 지속하여, 세뇨관에서의 Na재흡수 감소작용이 체액성 기전임을 시사하였다. TFMPP $250\;{\mu}g/kg$ icv투여시에 natriuresis와 함께 혈장내 atrial natriuretic peptide 농도가 약 6배 증가되었다. TFMPP $250\;{\mu}g/kg$을 정맥내로 투여하였을때는 뇌실내 투여시와는 상이하게 신기능에 별다른 유의한 변동을 초래하지 않았다. 이와같은 TFMPP의 diuresis 및 natriuresis는 각각 $5-HT_2$$5-HT_3$ 수용체의 선택적 antagonist인 ketanserin과 MDL 72222의 전처치에 의하여 차단되지 않았으며, methysergide에 의해서도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5-HT_{1A}$ antagonist로 알려진 NAN-190도 TFMPP의 작용을 차단하지 못하였으며 S(-)-propranolol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중추 $5-HT_{1B}$수용체는 신장기능에 이뇨 및 Na배설 촉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이작용에 atrial natriuretic peptide가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Nefazodons투여 후 지각이상을 보인 환자 4례 (Nefazodone and Associated Perceptual Disturbance : A Report of Four Cases)

  • 김지연;송형석;조방현;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6권2호
    • /
    • pp.259-263
    • /
    • 1999
  • Nefazodone, a newer antidepressant is a phenylpiperazine derivative that inhibits the reuptake of both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and antagonizes $5-HT_{2A}$ and ${\alpha}_1$ adrenergic receptors. Compared with SSRIs, nefazodone caused the fewer activating symptoms, adverse gastrointestinal effects(nausea, diarrhea, anorexia) and adverse effects of sexual function, but is associated with the more dizziness, dry mouth, constipation, visual disturbances and confusion. We report on 4 cases of visual disturbances and hallucinations in patients taking nefazodone. It is not certain what mechanisms mediated these side effects, but three mechanisms are possible. 1) Nefazodone, as a 5-HT2 antagonist, might induce visual disturbances. 2) mCPP, metabolite of nefazodone might contribute to the hallucination through action on 5-HT receptor. 3) Dopaminergic enhancing activity of nefazodone might cause hallucination. These case report raises the possibility that dose-related perceptual disturbances may exist with nefazodone. The fact emphasizes the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all possible drug interactions, particularly in patients treated with multiple psychoactive agents, older patients, and patients with decreased hepatic function.

  • PDF

Effect of Fluoxetine on the Induction of Long-term Potentiation in Rat Frontal Cortex

  • Kim, Hwang-Soo;Kim, Hyun-Sok;Hahn, Sang-June;Kim, Myung-Jun;Yoon, Shin Hee;Jo, Yang-Hyeok;Kim, Myung-Suk;Rhie, Duck-J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6호
    • /
    • pp.295-300
    • /
    • 2004
  • Serotonin (5-hydroxytroptamine, 5-HT)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induction of long-term potentiation (LTP) in the cortex such as the hippocampus, the visual cortex and the prefrontal cortex. Fluoxetine, as a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is used in the management of a wide variety of psychological diseases. To study the effect of fluoxetine on the induction of LTP, we recorded the field potential in layer II/III of the frontal cortex from 3-wk-old. LTP was induced in horizontal input by theta burst stimulation (TBS). TBS with two-folds intensity of the test stimulation induced LTP, which was blocked by application of D-AP5 $(50 {\mu}M)$, an NMDA receptor antagonist. Whereas bath application of 5-HT $(10 {\mu}M)$ inhibited the induction of LTP, treatment with the 5-HT depleting agent, para-chloroamphetamine $(PCA,\;10{\mu}M)$, for 2hr did not affect the induction of LTP. Bath application of fluoxetine (1, 3, and $10 {\mu}M)$ suppressed the induction of LTP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owever, fluoxetine did not inhibit the induction of LTP in 5-HT-depleted slic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luoxetine may inhibit the induction of LTP by modulating serotonergic mechanism in the rat frontal cortex.

Naltrexone과 ondansetron의 병합투여가 C57BL/6형 생쥐의 알코올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dansetron Alone and Combination of Naltrexone and Ondansetron on Alcohol Intake in C57BL/6 Mice)

  • 김현경;김성곤;강철중;박상익;김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76-1581
    • /
    • 2007
  • 알코올 의존의 음주 행동에 VTA에서 NA로 뻗어 있는 도파민 대뇌 보상 경로가 중요하다. 이러한 경로의 토파민 활성도가 $5-HT_3$계 신경에 의하여 조정되고 있으며,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 (OND)이 알코올리즘 환자에서 음주량을 감소시키고 금주률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5-HT_3$ 수용체 길항제인 ondansetron의 투여 효과와, 이러한 ondansetron 및 비 특이적 아편계 수용체 길항제인 naltrexone (NTX)과의 병합 투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알코올 의존화 된 C57BL/6형 수컷 생쥐를 4군으로 나눈 뒤, 10일간 각 군에 vehicle, OND 0.01 mg/kg 단독, NTX 1.0 mg/kg 단독, 및 OND 0.01 mg/kg과 NTX 1 mg/kg 병합 투여하면서 2시간 알코올의 섭취량,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 군과 나머지 3군의 약물 투여군과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vehicle 투여군과 NTX 단독 투여군간에 유의한 교차가 관찰되었으나 (p=0.042), OND 단독 투여군과 NTX과 OND 병합 투여군은 vehicle 투여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별 2시간 알코올 섭취량에 대하여 NTX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군간 비교시 vehicle 투여군에 비하여 NTX 투여군에서 약물 투여 4일부터 10일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10; 6일 p=0.050; 8일 p=0.017; 10일 p=0.005). 그리고 NTX과 OND 병합 투여군과 vehicle 투여군의 양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는 2시간 알코올 섭취량이 4일과 10일에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4일 p=0.049; 10일 p=0.022). 그러나 22시간 물 섭취량, 24시간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의 10일간 변화에 대해 vehicle 투여군과 나머지 3 군의 약물 투여군과의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각각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교차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쥐의 섭취량에 대하여 OND의 투여 효과는 없었으며, OND과 NTX의 병합 투여시에는 NTX의 알코올의 섭취량 억제 효과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5-HT_3$ 신경계와 도파민 및 아편 신경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xiolytic-like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e L. using the elevated plus-maze in mice

  • Lee, Chang-Hwan;Yoon, Byung-Hoon;Ryu, Jong-Hoon;Jung, Ji-Wook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2호
    • /
    • pp.135-1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utative anxiolytic-like effects of the 70% ethanol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EPO) using an elevated plus maze (EPM) in mice. The EPO was orally administered at 50, 100, 200 or 400 mg/kg to ICR mice, 1 h before the behavioral evaluation in the EPM, respectively. Control mice were treated with an equal volume of 10% tween 80, and positive control mice with diazepam (1 mg/kg). Single treatments of the EP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and arm entries into the open arms of the EPM versus controls (P < 0.05). Moreover,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locomotor activity and myorelaxant effects in any group compared with the saline controls. In addition, the anxiolytic-like effects of the EPO were blocked by flumazenil (10 mg/kg, i.p), a $GABA_A$ antagonist not by WAY 100635 (0.3 mg/kg, i.p), a 5-$HT_{1A}$ receptor antagoni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 oleracea is an effective anxiolytic agent, and suggest that the anxiolytic-like effects of P. oleracea is mediated via the GABAergic nervous system.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Cimetidine에 의한 Prolactin 분비 반응 - 양성 및 음성 아형 남자 환자에서 - (Prolactin Response to Cimetidine in the Schizophrenics - In Unmedicated Male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

  • 진혁희;권영준;정희연;한선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1호
    • /
    • pp.121-126
    • /
    • 1996
  • 최근에 정신분열증의 병태생리에 세로토닌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cimetidine이 간접적인 세로토닌계 자극으로 PRL 분비 반응을 유발한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 (PANSS)에 의하여 양성 및 음성 아형으로 정신분열증 환자군을 구분, 정상대조군과 두 아형들간의 PRL 기저지와 cimetidine 유발성 PRL $T_{30}$치를 측정하여 정신분열증의 아형에 따른 seretonin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연구가 시도되었다. 대상은 DSM-N(APA 1994)의 진단 기준을 만족시키는 입원 당시 7일 이상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남자 정신분열증 환자 19명으로 하였고, PANSS에 의해 양성 아형 (12명) 및 음성 아형 (7명) 환자군으로 나누어 오전 9시에 PRL 기저치 측정과 함께 cimetidine(5mg/kg) 정액 점주 30분 후인 9시 30분에 cimetidine에 의한 PRL $T_{30}$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RL 기저치는 세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2) 기저와 $T_{30}$간에 PRL치의 변화는 세 군에서 증가했음을 보여주었다. 3) 기저와 $T_{30}$간에 PRL치 증가량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에서 정상대조군과 양성 아형 환자군 간, 양성 아형 환자군과 음성 아형 환자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대조군과 음성 아형 환자군 간에서 상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상기 연구 결과들은 정상대조군에서 보다 음성 아형 환자군에서 cimetidine에 의한 PRL반응이 둔감하게 나타난 것을 보여준다 하겠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상대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지만 남자 음성 아형 정신분열증 환자군에서 $5-HT_2$ 수용체 하향 조절을 포함하는 세로토닌계 활성 이상 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가설(Meltzer등 1993) 들과 일치한다 하겠다.

  • PDF

흰쥐태 뇌간의 배양에서 Glutamate에 의한 Serotonin의 고갈 (Glutamate-Induced Serotonin Depletion in Fetal Rat Brainstem Cultures)

  • 박상욱;위명복;송동근;김용식;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9-193
    • /
    • 1993
  • 흰쥐태 뇌간의 세포를 배양하여 glutamate에 6시간까지 노출시 glutamate의 농도 및 노출 시간에 의존적으로 세포내 5-HT 및 5-HIAA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배양액으로 LDH의 유출이 증가하였다. Tetrodotoxin은 glutamate의 작용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NMDA 수용체 통로 봉쇄제인 MK-801에 의해 glutamate의 작용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었고, non-NMDA 길항제인 CNQX는 효과가 없었으므로, serotonin 신경세포에 대한 glutamate의 작용은 NMDA 수용체의 자극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isperidone의 급성 및 만성 투여가 흰쥐 뇌의 Serotonin과 Dopam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te and Chronic Treatment with Risperidone on the Serotonin and Dopamine Receptors in the Rat Brain)

  • 최윤영;손혜경;김창윤;이철;이희경;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8
    • /
    • 1997
  •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자가방사선사진법을 이용하여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하나인 risperidone 이 백서 뇌의 신경수용체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급성투여군은 백서 30마리를 6군으로 나누어 0, 0.1, 0.25, 0.5, 1, 2mg/kg의 risperidone을 복강내 투여하고 2시간후에 단두하였고, 만성투여군은 0, 0.1, 1mg/kg의 risperidone을 21일간 복강내 투여후 단두하여 정량적자가 방사선사진법으로 $5-HT_2$$D_2$ 수용체에 대한 [$^3H$]spiperone 결합을 측정함으로써, 선조체, 측좌핵, 전두엽피질 각각의 $5-HT_2$$D_2$ 수용체의 분포변화를 측정하고 투여량에 따른 수용체의 영향을 ANOVA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투여군에서 $5-HT_2$ 수용체는 전두엽 피질에서 risperidone 투여후 0.1-2mg/kg의 투여 범위전체에서 [$^3H$]spiperone 결합이 대조군에 비하여 32%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조체와 측좌핵의 피질하 수용체에서는 거의 결합을 보이지 않았다. $D_2$ 수용체는 risperidone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선조체와 측좌핵의 [$^3H$]spiperone 결합이 감소하였으며, 1-2mg/kg의 투여량을 준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57% 이하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투여군에서는 피질의 $5-HT_2$ 수용체가 대조군에 비하여 저용량투여군과 고용량투여군에서 각각 51%와 46%로 감소하였다. 결론 : Risperidone은 $D_2$ 수용체를 약하게 차단하며 $D_2$ 수용체에 영향을 주는 양보다 적은 양을 투여해도 $5-HT_2$ 수용체를 차단하는 효과를 보임으로써 $5-HT_2$ 수용체에 강력히 작용하는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ntrolled Ondansetron Release Based on Hydroxyethyl Starch Hydroxyethyl Methacrylate

  • Tahir, Muhammad Nazir;Adnan, Ahmad;Cho, Eunae;Jung, Seun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035-4040
    • /
    • 2012
  • Presented study describes the synthesis of photo cross-linkable and water soluble hydroxyethyl starch hydroxyethyl methacrylate (HESHEMA) samples with different degree of substitution (DS) by functionalization of hydroxyethyl starch (HES) with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 or hydroxyethyl methacrylate carbonylimidazole (HEMACI) in DMSO using two different routes. It was revealed that the reaction time for HESHEMA synthesis can be reduced from 5 days to 24 h by conducting the reaction at $80^{\circ}C$ instead of at room temperature. Solubility of HESHEMA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DS which in turn was dependent on ratio between HES and HEMA or HEMACI. HESHEMA samples with DS > 0.24 depicted insoluble in water, whereas the samples with DS < 0.05 did not form appreciable gel. HESHEMA samples with appropriate DS were converted into hydrogels by cross-linking polymer chains under UV radiations and resulting HESHEMA hydrogels showed swelling up to 1200%. Application of HESHEMA in controlled drug delivery was investigated by diffusion based encapsulation of Ondansetron, a serotonin 5-$HT_3$ receptor antagonist drug, mainly used for nausea and vomiting treatment.

영신초(靈神草)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행동약리학적 연구 (Studies on the Behavioral Pharmacology of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Polygala japonica Houtt)

  • 이은경;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9-146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putative antidepressant and antianxiolytic effects of the 70% ethanol extract of Polygala japonica(EEPJ) using animal's behavioral experiment in mice. Methods : The effect of EEPJ on the anxioty and depressive disorder was investigated via mice's behavioral experiment like Elevated plus-maze, Horizontal wire test, Open field test, Forced swimming test, Tail suspension test, and it was happen via any mechanism by WAY 100635, a 5-HT1A receptor antagonist and by Flumazenil, a GABAA antagonist Results : 1. In the EPM, single treatments of the EEPJ(200 and 400mg/kg) had usefully antianxiolytic effects versus vehicle, which was medicated via the serotonergic nervous system. 2. In the HWT, single treatments of the EEPJ were no changes in the myorelaxant effects versus vehicle. 3. In the OFT, single treatments of the EEPJ were no changes in the locomotor activity versus vehicle. 4. In the FST, single treatments of the EEPJ(50mg/kg)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 versus vehicle. 5. In the TST, single treatments of the EEPJ(50mg/kg)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 versus vehicl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EPJ is an effective antidepressant and antianxiolytic activity in mice, and it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ve disorder through evolutive study like development of various experimental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