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phenylenediamin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9초

p-Phenylenediamine Dihydrobromide의 結晶構造 (The Crystal Structure of p-Phenylenediamine Dihydrobromide.)

  • 최규원;구정회;오준석;유정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74-178
    • /
    • 1965
  • p-Phenylenediamine dihydrobromide 와 p-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는 isomorphous임을 밝혔다. p-Phenylenediamine dihydrobromide는 三斜軸晶系(三斜晶系)에 屬하며 cell dimension 은 $a=4.52{\pm}0.02,\;b=6.13{\pm}0.02,\;c=8.88{\pm}0.03{\AA},\;{\alpha}=111{\pm}1^{\circ},\;{\beta}=97{\pm}1^{\circ},\;{\gamma}=101{\pm}1^{\circ}$ 이며 單位細胞(單位格子)속에 들어있는 化學單位數는 1이다. 이 物質의 結晶構造가 3結晶軸에 따라 投影한 電子密度에 依하여 決定되었으며 二次元的인 Fourier synthesis에 依하여 精密化하였다.

  • PDF

작업환경을 위한 TLV의 근거 - m-PHENYLENEDIAMINE(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300호
    • /
    • pp.4-7
    • /
    • 2013
  • m-Phenylenediamine의 직업적 노출기준 TLV-TWA $0.1mg/m^3$은 간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권고하였다. 또한 이 수준은 피부 자극이나 피부염을 예방하기 위한 기준이다. 흰쥐와 생쥐에게 m-phenylenediamine을 처치한 후의 발암성이 음성적이거나 명확하지 않은 결과로 A4(Not Classifiable as a Human Carcinogen, 사람에게 발암성으로 분류되지 않음)로 권고하였다 m-Phenylenediamine을 생산하는 근로자들에서 피부 알레르기반응이 있었다는 제한적인 자료도 있었지만 피부(Skin)와 감작제(SEN)의 경고주석 그리고 TLV-STEL을 권고하기에는 유용한 자료가 충분하지는 않다.

  • PDF

Dipyrrolylbenzene들의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nthesis of Dipyrrolylbenzenes)

  • 정대일;변석인;송현애;이도훈;김윤영;이용균;박유미;최순규;한정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836-842
    • /
    • 2003
  • 1,2-phenylenediamino과 2,5-dimethoxytetrahydro- furan을 빙초산 용매하에서 1-(2-aminophenyl)- pyrrole 5를 합성하였다. 1,3-phenylenediamine과 2,5-dimethoxytetrahydrofuran을 빙초산을 사용하여 1-(3-aminophenyl)pyrrole 7과 1,3-dipyrrolyl-benzene 8을 합성하였다. 1,4-phenyl-enediamine과 2,5-dimethoxytetrahydrofuran을 빙초산을 사용하여 1,4-dipyrrolylbenzene 10을 합성하였다. 1,2-phenylenediamine, 1,3-phenylenediamine 그리고 1,4-phenyl-enediamine과 2,5-dimethoxytetra- hydrofuran을 (가) 빙초산 대신, (나) 용매없이, (다) acrylic acid, (라) silica gel, (마) acrylic acid와 silicagel, 그리고 (바) silica gel과 acetic acid를 사용하여 각각 반응시켜 그에 상응하는 amino-phenylpyrroles 5, 7과 dipyrrolylbenzenes 8, 10을 합성하였다. 여러 가지 방법 중 (마) silicagel과 acetic acid를 사용한 경우에 dipyrrolylbenzenes 8, 10의 합성에 관한 반응성이 가장 좋았다. 또한 dicarbazolylbenzene을 합성하기 위한 전단계로 9-phenylcarbazole 11을 합성하였다.

천연고무 가류물에서 왁스막이 오존노화방지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Wax Barrier Effect on Migration Behaviors of Antiozonants in NR Vulcanizates)

  • 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4권2호
    • /
    • pp.147-155
    • /
    • 1999
  • 고무와 혼합된 왁스는 고무 표면으로 이동하여 방어막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고무의 오존화를 방지하기 위해 오존노화방지제를 왁스와 함께 사용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왁스가 첨가된 천연고무 가류물을 이용하여 왁스막이 오존노화방지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존노화방지제로 IPPD (N-isopropyl-N'-phenyl-p-phenylenediamine), HPPD (N-l,3-dimethylbutyl-N'-phenyl-p-phenylenediamine), SBPPD (N,N'-di(sec-butyl)-p-phenylenediamine), 그리고 DMPPD (N,N'-di(1,4-dimethylpentyl)-p-phenylenediamine)를 사용하였다. 노화방지제 이동 실험은 $60^{\circ}C$$80^{\circ}C$에서 10, 20, 30일간 실시하였다. 노화방지제의 이동속도는 고무가류물에 왁스가 없을 때가 있을 때보다 빨랐으며 분자량이 큰 왁스가 혼합되었을 때가 분자량이 작은 왁스가 혼합되었을 때보다 느렸다. DMPPD와 SBPPD의 이동속도가 HPPD와 IPPD의 이동속도보다 빨랐다.

  • PDF

p-Phenylenediamine Dihydroperchlorate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p-Phenylenediamine Dihydroperchlorate)

  • 안중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20-329
    • /
    • 1977
  • p-Phenylenediamine dihydroperchlorate의 세포상수는 $a=4.79{\pm}0.02,\;b=9.03{\pm}0.02,\;c=7.12{\pm}0.03{\AA},\;{\alpha}=109.4{\pm}0.2,\;{\beta}=79.6{\pm}0.2,\;r=104.6{\pm}0.2^{\circ},\;Z=1$이며 공간군은 $P\={1}$이다. 구조는 Patterson 및 Fourier법으로 해석하였으며 block diagonal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따. 등경사 Weissenberg 사진들에서 얻은 387개의 관측된 반사에 대하여 R값은 0.13이었다. 이 물질의 결정구조에서 수소결합은 아미노기와 과염소산 이온 사이에서 이루어져 있으며 2가지 형이 있다. 첫째것은, 한개의 삼지형 N${\cdot}{\cdot}{\cdot}$O 수소결합이고, 둘째것은, 보통형의 2개의 N${\cdot}{\cdot}{\cdot}$O 수소 결합이다. 한개의 p-phenylenediamine 그룹은 실험오차 내에서 평면이며 12개의 과염소산이온에 결합되어 있다. 그중 10개의 과염소산이온은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2개는 van der Waals 힘들로 접촉되어 있다. 한개의 과염소산이온은 6개의 p-phenylenediamine과 4개의 과염소산이온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따. 6개의 p-phenylenediamine 그룹 중 5개는 수소결합이 되어있고 나머지는 van der Waals 힘으로 접촉되어 있다.

  • PDF

p-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의 結晶構造 (The Crystal Structure of p-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

  • 구정회;민태원;신현소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2-147
    • /
    • 1965
  • p-Phenylenediamine dihydrochloride의 結晶構造를 X-線 廻折法을 利用하여 解明하였다. 이結晶은 三斜晶係에 屬하며, 空間群은 $C_i1-P{\bar\1}$ 이고, 格子常數는 $a= 4.38{\pm}0.02, b=5.90{\pm}0.02, c=8.76{\pm}0.03{\AA}, {\alpha}=1101{\pm}1, {\beta}=96{\pm}1^{\circ}$이다. 그리고 單位格子속에는 들어있는 化學單位數,Z는 1이다. 各原子의 座標는 a, b 및 c軸에 따른 二次原的인 電子密度의 投影 및 ($F_o-F_c$) 合成에 依하여 얻었다. 이 結晶構造와 이미 硏究된 aliphatic diamine의 hydrogen halide 들의 構造와를 比較하였다.

  • PDF

박리형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료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Exfoliated Polyimide Nanocomposite and Its Characterization)

  • 유성구;박대연;김영식;이영철;서길수
    • 폴리머
    • /
    • 제26권3호
    • /
    • pp.375-380
    • /
    • 2002
  • 합성한 polyamic acid의 말단기인 anhydride기와 반응시키기 위하여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에 diamine (p-phenylenediamine, m-phenylenediamine, and n-hexamethylenediamine)을 삽입시켰다. 그리고 4,4'-oxydianilline : 1,2,4,5-benzene tetracarboxylic dianhydride의 몰비를 1.50 : 1.53으로 하여 말단기가 anhydride된 polyamic acid를 합성하였다. 이렇게 치환된 몬모릴로나이트를 말단기가 anhydride된 polyamic acid와 N-methyl-2-pyrrolidone용액에서 반응시켰다 (polyamic acid/clay nanocomposite) 이것을 열이미드화하여 polyimide/clay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XRD와 TEM으로 관찰한 결과 실리케이트 층이 단일층으로 폴리이미드 매트릭스에 잘 분산되어 있는 박리형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료가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기계적 특성을 관찰한 결과 박리형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료의 경우가 순수한 폴리이미드와 삽입형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료의 경우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Bulky Side Group을 갖는 폴리벤즈이미다졸의 합성 (Synthesis of Polybenzimidazole Containing Bulky Side Group)

  • 안병현;김원호
    • 폴리머
    • /
    • 제25권6호
    • /
    • pp.796-802
    • /
    • 2001
  • 나프탈렌을 측쇄로 갖는 새로운 폴리벤즈이미다졸 단량체을 합성하고, 이 단량체를 친핵치환반응에 의해 중합하였다. 4-Methoxy-N-naphthyl-1,2-phenylenediamine과 4-fluoro-benzoyl chloride의 반응으로 N-(4-fluorobenzoyl)-4-methoxy-N'-naphthyl-1,2-phenyl-enediamine이 합성되었고 이로부터 고리화반응 및 demethylation에 의해 단량체인 2-(4-fluoro-benzoyl)-5-hydroxy-1-naphthylbenzimidazole이 얻어졌다. 중합반응은 potassium carbonate를 함유하는 N-cyclohexyl-2-pyrrolidinone (CHP)에서 행해졌다. 생성된 폴리벤즈이미다졸은 N-methyl-2-pyrrolidinone (NMP)에 용해되었고 0.38 dL/g (NMP at $30^{\circ}C$)의 대수 점도를 가졌다. 유리전이온도($T_g$)는 $270^{\circ}C$였고 열중량분석에서 5% 중량감소를 보이는 온도는 질소분위기에서는 $550^{\circ}C$, 공기중에서는 $540^{\circ}C$였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 KLAB21의 배양조건에 따른 4-Nitro-O-Phenylenediamine(NPD)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n the Antimutagenic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KLAB21 against 4-Nitro-O-Phenylenediamine (NPD))

  • 이창호;우철주;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86-391
    • /
    • 1998
  •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된 Lactobacillus plantarum KLAB21 균주에 있어서 항돌연변이 활성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탄소원으로서 glucose 첨가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질소원으로서는 yeast extract와 bactopeptone 첨가시 활성이 우수하였다. 탄소원인 glucose의 농도는 2%에서, 질소원인 yeast extract와 bactopeptone의 농도는 1%에서 가장 우수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활성의 최적 배양 조건은 초기 pH 배양온도, 배양속도 각각 7.0, 37$^{\circ}C$, 150rpm이었다. 상기의 최적 조건에서 36시간 배양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S. typhimurium TA100과 S. typhimurium TA98을 이용한 조사결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각각 73.95%, 59.47%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