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4-Hydroxybenzoic acid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1초

보검선인장의 Phytochemical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Phytochemic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정윤숙;이상훈;송진;황경아;노건민;장다은;황인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67-776
    • /
    • 2016
  • 본 연구는 재배지역별 보검선인장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과 6종의 phenolic acid, 19종의 flavonoids, 6종의 carotenoid를 함량분석하고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남해에서 재배된 ON1 보검선인장이 65.32 mg(+)-catechin/g으로 가장 높게나타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제주에서 재배된 OJ1 보검선인장이 181.15 mg garlic acid/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개의 phenolic acid 중에서, protocatechuic acid는 전남 남해산인 ON1과 ON2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4-hydroxybenzoic acid, chlorogenic acid 및 trans-ferulic acid는 ON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vanillic acid와 p-coumaric acid는 OJ4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 재배지역에 따라 페놀산 함량에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quercetin, isorhamnetin, kaempferol은 OJ3 보검선인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배당체에 대한 함량도 다양하게 나타났다. 보검선인장의 주요 carotenoid는 zeaxzanthin과 capxanthin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93.83과 $128.08{\mu}g/g$ DW로 OJ1 보검선인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은 OJ1 보검선인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phenolic acid, flavonoid, carotenoid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 잔여물(殘餘物)속에 함유(含有)된 주요(主要) Phenolic Acids가 논 잡초(雜草)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ajor Phenolic Acids Identified from Barley Residues on the Germination of Paddy Weeds)

  • 곽상수;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1
    • /
    • 1984
  • 보리잔여물(殘餘物)속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phenolic compounds의 분리(分離) 동정(同定)과 잔여물(殘餘物)의 분해과정중(分解過程中) total phenol 함량(含量) 측정(測定) 그리고 주요표준(主要標準) phenol물질(物質) 및 잔여물(殘餘物)의 수도추출액(水稻抽出液)이 벼와 주요(主要) 논잡초(雜草)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식물체내(植物體內)에 존재(存在)하는 천연제초제(天然除草劑) 개발(開發)에 관한 기준자료(基準資料)를 얻고져 본시험(本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리잔여물(殘餘物)속의 생요(生要) phenolic compounds는 보릿짚과 뿌리 모두 p-coumaric, ph-hydroxybenzoic, ferulic, vanillic 및 salicylic산(酸) 등(等)이 분리(分離) 동정(同定)되었다. 2. 보리 수획시(收獲時) 잔여물(殘餘物)의 건물중(乾物重)에 대(對)한 total pheonl함량(含量)은 유묘기(幼苗期)보다 증가(增加)되어 보릿짚이 0.168%, 뿌리가 0.127%있으며 분리초기(分離初期) 약간(若干) 증가(增加)되다가 분해(分解)가 진전(進前)되면서 보릿짚 및 뿌리 모두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어떤 시기(時期)에서도 보릿짚이 뿌리보다 total phenol 함량(含量)이 높았다. 3. 주요(主要) phenolic acids는 피와 너도방도산의 발아(發芽)에는 다소(多少) 억제(抑制)를 보였다. 반면(反面) 가래는 처리초기(處理初期)에 고농도(高濃度)일수록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다가 組織(조직)이 갈변(褐變) 고사(枯死)되어 높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여, 신초생육(新鞘生育)으로 본 억제효과(抑制效果)는 가래, 피, 너도방동산이의 순(順)으로 높았다. 4. 잔여물(殘餘物) 수도추출액(水稻抽出液)의 억제력(抑制力)은 추출부위(抽出部位)와 공시잡초(供試雜草)에 따라 약간 상이(相異)하였으나 보릿짚과 뿌리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서 높았는데, 피와 너도방동산이에는 고농도(高濃度)일수독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으나 저농도(低濃度)에서 신초생육을 약간 촉진(促進)시켰다. 가래에는 처리초기(處理初期)에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으나 조직(組織)이 고사(枯死)되어 높은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 PDF

크림손클로버, 헤어리베치, 호밀 추출물이 몇 가지 작물의 종자 발아와 유근 생장에 미치는 allelopathy 효과 (Allelopathic Effects of Crimson Clover, Hariy Vetch and Rye on Germination and Radicle Elongation of Several Crops)

  • 이지현;이병모;전승호;정종일;김민철;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1-379
    • /
    • 2010
  • 피복작물의 생육 단계에 따른 allelopathy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에 채취한 시료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해 콩, 무, 유채, 상추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콩과 무에서는 각 피복작물 추출물의 처리구에서 발아율에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유채에서는 크림손클로버의 개화기 20% 추출물, 헤어리베치의 영양생장기, 개화기, 결실기 20% 추출물, 호밀의 영양생장기 20% 추출물들에서 20% 이상의 발아 억제가 나타났으며, 상추는 영양생장기의 크림손클로버와 헤어리베치의 20% 추출물 처리에서 발아세가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의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유근 생장 억제율이 가장 높았으며 $GR_{50}$ 값도 낮게 나타났다. 피복작물 추출물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도 영양생장기 때 가장 높았고, 결실기로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되었다. HPLC 분석 결과 크림손클로버 추출물에서 검출 된 p-hydroxybenzo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phenolic acid 함량들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헤어리베치 추출물에서는 coumarin, 호밀 추출물에서는 BOA와 caffe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물질들이 개화기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크림손클로버와 호밀 추출물에서 분석 물질들의 총 함량은 영양생장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Endocrine Disrupting Activities of Parabens: An Overview of Current Databases on Their Estrogenicity

  • Dang, Vu Hoang;Jeung, Eui-Bae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9-237
    • /
    • 2008
  • Recently, parabens have been believed to act as xenoestrogens, an identified class of endocrine disruptors (EDs). These environmental compounds are the most well-known as preservatives in many commercial products, including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human health risks of parabens result from a long-term exposure to skin in which this chemical group is rapidly absorbed through the skin. On the other hand, parabens are also completely absorbed from gastrointestinal tract. It has reported that these substances possess several biological effects in which inhibitory property involved in membrane transports and mitochondrial function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for their action. Testing of parabens has revealed that estrogen-like activities of these chemicals are much less potent than natural estrogen, $17{\beta}$ estradiol (E2). Additionally, the estrogenicity of individual paraben- compounds is distinct depending upon their biochemical structure. Recent findings of paraben-estrogenic activities have shown that these compounds may affect breast cancer incidence in women, suggesting adverse ecological outcomes of this environmental group on human and animal health. Although the biological and toxicological effects of parabens have been demonstrated in many previous studies, possible mechanism(s) of their action are required to be explored in order to bring the better understanding in the detrimental impacts of parabens in human and wildlife. There have several different types of parabens which are the most widely used as preservatives. These include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butylparaben and p-hydroxybenzoic acid, a major metabolite of paraben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current database based 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for estrogenic activities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paraben- EDs which have been published previously.

Non-Ionic Surfactants Antagonize Toxicity of Potential Phenolic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Including Triclosan in Caenorhabditis elegans

  • Alfhili, Mohammad A.;Yoon, Dong Suk;Faten, Taki A.;Francis, Jocelyn A.;Cha, Dong Seok;Zhang, Baohong;Pan, Xiaoping;Lee, Myon-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2호
    • /
    • pp.1052-1060
    • /
    • 2018
  • Triclosan (TCS) is a phenolic antimicrobial chemical used in consumer products and medical devices. Evidence from in vitro and in vivo animal studies has linked TCS to numerous health problems, including allergic, cardiovascula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as a model system, we here show that short-term TCS treatment ($LC_{50}$: ~0.2 mM) significantly induced morta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Notably, TCS-induced mortality was dramatically suppressed by co-treatment with non-ionic surfactants (NISs: e.g., Tween 20, Tween 80, NP-40, and Triton X-100), but not with anionic surfactants (e.g., sodium dodecyl sulfate). To identify the range of compounds susceptible to NIS inhibition, other structurally related chemical compounds were also examined. Of the compounds tested, only the toxicity of phenolic compounds (bisphenol A and benzyl 4-hydroxybenzoic acid) was significantly abrogated by NISs. Mechanistic analyses using TCS revealed that NISs appear to interfere with TCS-mediated mortality by micellar solubilization. Once internalized, the TCS-micelle complex is inefficiently exported in worms lacking PMP-3 (encoding an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 transmembrane protein, resulting in overt toxicity. Since many EDCs and surfactants are extensively used in commercial products,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devise safer pharmaceutical and nutritional preparations.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 Lee, Jin-Hwan;Baek, In-Youl;Choung, Myoung-Gun;Ha, Tae-Joung;Han, Won-Young;Cho, Kye-Man;Ko, Jong-Min;Jeong, Seong-Hun;Oh, Ki-Won;Park, Keum-Yong;Park, Ki-H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578-586
    • /
    • 2008
  • Phytochemicals study from the leav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one of Korean edible plan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chromatographic procedures. The methanolic leaves extracts of soybean yielded 16 phytochemicals, including 5 isoflavones 1-5, 3 flavones 6-8, 1 flavonol 9, 2 pterocarpans 10 and 11, 2 phenolic compounds 12 and 13, 2 phytosterols 14 and 15, and 1 sugar alcohol 16. The structures were fully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physical and spectral data and were defined clearly as 4,5,7-trihydroxyisoflavone (1), 4,5,7-trihydroxyisoflavone-7-O-$\beta$-D-glucopyranoside (2), 4,7-dihydroxy-6-methoxyisoflavone (3), 4,7-dihydroxyisoflavone (4), 4,7-dihydroxyisoflavone-7-O-$\beta$-D-glucopyranoside (5), 5,7,4'-trihydroxyflavone (6), 3',4',5,7-tetrahydroxyflavone (7), 3',4',5-trihydroxyflavone-7-O-$\beta$-D-glucopyranoside (8), 3,4',5,7-tetrahydroxyflavonol (9), coumestrol (10), glyceofuran (11), 4-hydroxybenzoic acid (12), methyl-4-hydroxybenzoate (13), soyasapogenol B (14), stigmasterol (15), and D-mannitol (16), respectively. Among them, phytochemicals 7-16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on the isolation and confirmation from the leaves of this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ves extracts of soybean may possess possible health related benefits to human due to the isolated phytochemicals 1-16 which have been well known potential effects on various chronic diseases.

Bisphenol A 분해균주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의 분리 및 bisphenol A 분해 특성 (Isolation of Acinetobacter calcoaceticus BP-2 Capable of Degradation of Bisphenol A)

  • 권기석;김동걸;이중복;신기선;금은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58-1163
    • /
    • 2006
  • BPA는 에폭시 수지 및 플라스틱 생산의 단량체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접착제, 페인트, 광학렌즈, 건축자재, 전자제품 소재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BPA의 급성세포독성 및 내분비교란활성이 보고되면서 BPA의 분해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PA의 광분해 및 화학적 분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제적 BPA의 생물학적 분해를 목표로 BPA분해균을 플라스틱 공장의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한 BP-2는 5mM의 BPA처리에서 성장할 수 있었으며, pH 7, $30^{\circ}C$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53.3{\mu}g\;ml^{-1}\;day^{-1}$의 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균주 동정결과 BP-2는 Acinetobacter calcoaceticus로 확인되었으며, 3.5g-건조중량$1^{-1}$의 고농도 휴식 세포 반응 결과 $89.7{\mu}g\;ml^{-1}\;h^{-1}$의 BPA분해속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농도 세포농도를 유지하는 경우, BP-2균주가 실제적 BPA분해를 위한 생물촉매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고추의 연작(連作) 장해(障害) 요인(要因)과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 II. 연작지(連作地)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효과(施用效果) (Studies on the Cause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and the Effect of Soil Conditioner o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II. Effects of Soil Conditioners Applied on Continuous Cropping Fields)

  • 황남열;류정;나종성;김진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5-214
    • /
    • 1989
  • 고추의 연작지(連作地)에서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처리(處理)가 고추의 연작(連作) 및 phytotxin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85~1986년(年) 2개년(個年) 동안 고추 규산단지(圭産團地)인 전북(全北) 임실부(任實部) 관촌면(館村面)에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과잉(過剩) 축적(蓄積)된 인산(燐酸)(507ppm)은 연작장해요인중(連作障害要因中)의 하나로 생각되며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 시용(施用)으로 축적(蓄積)된 인산(燐酸)의 이용도(利用度)를 증가(增加) 시킬 수 있었고, 심경(深耕)과 퇴비(堆肥), 석회고토분말(石灰苦土粉末)을 동시처리(同時處理)함으로써 병발생률(病發生率)을 낮추고 주당과수(株當果數)를 높여 증수(增收) 효과(效果)를 볼 수 있었다. 2. 연작지(連作地)에서 토양중(土壤中)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은 동(銅)이 1.86ppm, 아연(亞鉛) 1.09ppm, 붕소(硼素) 0.03ppm, 알미늄 30ppm으로 나타나 아연(亞鉛)(적정치(適正値) 2.0ppm)과 붕소(硼素)(적정치(適正値) 0.3ppm)는 적정수준(適正水準)에 미달(未達)되었다. 3. 시험후(試驗後) 토양중(土壤中)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는 아연(亞鉛)은 1.53ppm에서 정상관(正相關)(r=0.5525) 붕소(硼素)는 0.83ppm에서 정상관(正相關)(r=0.8647)를 보였으며, 알미늄과는 부(負)의 상관(相關)(r=-0.6872)이었다. 4. 고추 연작지(連作地)의 주요(主要) phytotoxin인 p-hydroxybenzoic acid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역병(疫病)(r=0.9157) 및 탄저병(炭疽病)(r=0.6435)의 발생(發生)은 많아지고 수량(收量)은 감소(減少)하였다. 5. 토양(土壤) 개량제(改量劑)인 퇴비(堆肥), 석회고토분말시용(石灰苦土粉末施用)으로 균류(菌類)에 대(對)한 세균수(細菌數)(B/F비(比))와 방선균수(放線菌數)(A/F비(比))를 높일 수 있었으며 토양중(土壤中) phytotoxin의 집적(集積)이 현저히 감소(減少)되었고 이들 물질(物質)의 혼합시용(混合施用)으로 수량(收量)은 관행(慣行)에 비(比)해 22%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