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4세대 이동 통신

Search Result 32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 기술

  • Sin, Jae-Uk;Park, Ae-S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3
    • /
    • pp.53-59
    • /
    • 2008
  • 본고에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 기술에 대해서 알아본다. 차세대 이동통신망은 새로운 4세대 이동통신뿐 만 아니라 기존의 3세대 셀룰라 이동통신, 와이브로, 무선랜 등의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하며 서비스 또한 통신, 방송, 인터넷 접속 등이 다양하게 융합되는 형태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 환경에서의 단말은 다양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멀티-모드/멀티-밴드를 지원하며 사용자에게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올-인-원 형태의 단말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위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은 고속의 무선 전송 기술,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플랫폼 및 핸드오버 기술, 그리고 다양한 장치 기술 상의 발전을 필요로 한다.

Comparison and Analysis of LTE-Advanced and IEEE802.16m Based on Data Transmission Speed Theory and Measurement (데이터 전송속도 이론 및 측정 기반의 LTE-Advanced와 IEEE802.16m의 비교 분석)

  • Yoo, Hwang-Jun;Ka, Min-Kyoung;Kim, Bong-Hyun;Cho, Dong-Uk;Kim, Jong-Ou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31-234
    • /
    • 2011
  • 현재 상용화 중인 4세대 이동통신의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4세대 이동통신 국내 가입자는 천만 명이 넘어섰으며, 4세대 이동통신에 어느 기술이 사용이 되고 데이터 전송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알고 사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3GPP계열의 LTE-Advanced와 와이맥스 계열의 IEEE802.16m의 데이터 전송속도 기반의 이론적인 속도값과 현재 상용화된 4세대 이동통신의 데이터 전송속도의 실제 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간의 특징적 차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Researches o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연구)

  • Yoon, S.I.;Shin, G.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3 s.99
    • /
    • pp.11-22
    • /
    • 2006
  • 이동통신 시스템은 현재의 3세대 IMT-2000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였고 이제 사용자의 다양한 이동통신 서비스 요구 및 기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ITU-RWP8F에서는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의 지원"과 "서로 다른 유무선 접속 시스템과 융합(convergence)"을 목표로 시간과 장소 및 대상의 구속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누구와도 고속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서비스 비전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재 WWRF, WWI, FMS, mITF, FuTURE Forum 및 NGMC Forum과 같은 주요 연구 단체는 개인의 관심사, 환경, 일상 생활이 고려된 각 개인의 통신 공간에서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개인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차세대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각 연구 단체가 수행중인 주요 연구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daptiveCode System for 4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적응 부호화 하이브리드 ARQ 시스템에 관한 연구)

  • Kang, Heau-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246-2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적응부호화 하이브리드 ARQ 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 검토 하였다. 또한 적응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프레임 효율도 분석하였다. 결과로부터 제안 시스템이 성능이나 효율에서 우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Mobile Access Network Technology (이동통신 액세스 망 기술)

  • Shin, D.J.;Park, I.S.;Park, J.S.;Jang, M.S.;Song, P.J.;Nam, S.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9 no.3 s.87
    • /
    • pp.41-50
    • /
    • 2004
  • 본 고에서는 이동통신 액세스 망의 기술 동향에 대하여 4세대 이동통신 액세스 망으로의 진화 관점에서 살펴 본다. 주요 표준화 기관인 3GPP2, 3GPP2, MWIF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3세대 이후의 기술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살펴 보며, 액세스 망이 추구하는 목표 및 요구사항에 따른 액세스 망의 구조를 예측해 본다. 핵심 망 및 단말을 포함하여 향후에는 액세스 망도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패킷 망으로 발전될 것이며, 구조 및 인터페이스의 개방화, 기능의 분산화를 토대로 기존의 다양한 액세스 망을 수용하는 4세대의 액세스 망으로 발전될 것이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이러한 추세에 따른 3세대 이후, 즉 4세대를 지향하는 이동통신 액세스 망에 대하여 요구사항 및 기능, 구조 등에 대하여 분석해 본다.

An Analysis of Advanced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차세대 개인 통신의 연구 동향 분석)

  • Kim, S.K.;Yoo, J.G.;Kim,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4
    • /
    • pp.139-146
    • /
    • 1994
  • 통신의 개인화 실현에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요구 조건은 통신 주체의 이동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성은 단말의 이동성과 개인의 이동성이라는 두가지 서로 다른 성격의 이동성이 모두 보장될 때 완전하게 된다. 차세대 개인 통신에 대한 연구는 ITU-T/R의 UPT와 FPLMTS에 의하여 대표된다. UPT는 이용자에게 개인의 이동성을 제공해 주는 서비스인데 비하여, FPLMTS는 무선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들은 모두 차세대 개인 통신의 기본적인 기능인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서로 독립적이며, 상호 보완적인 개념들이다. 본 고에서는 차세대 개인 통신에 대한 개념과 연구 동향을 분석, 소개하였다. 특히 ITU-T/R에서 표준화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UPT, FPLMTS를 단말의 이동성과 개인의 이동성 측면에서 소개하고 그들간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Trends of 5G Testbeds (5G 테스트베드 동향분석)

  • Yang, M.J.;Bae, M.S.;Shin, J.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1
    • /
    • pp.121-133
    • /
    • 2016
  • 모바일 트래픽의 증가와 새로운 서비스의 진화방향은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요구하고 있다. 혁신적 접근방법의 5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이를 실험하고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구현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또한, 다각도의 핵심 성능 파라미터에 부합하는 각 기술 요소 간 연동 및 점진적 접근방법에 따라 발전하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과의 공존성 검증은 개방형 글로벌 테스트베드의 실현을 필요로 한다. 본고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 및 주요기술을 소개하며, 세계 각국과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5세대 글로벌 테스트베드 구축을 위한 기술동향을 분석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개방형 5세대 테스트베드는 개별적으로 개발된 5세대 기술들의 통합 시험 및 서비스 시험을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통신시장 발전의 터전이 될 것이다.

  • PDF

차세대 이동통신과 IP 이동성

  • 이종찬;김원익;송평중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4
    • /
    • pp.82-90
    • /
    • 2004
  • 이동통신서비스가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을 통한 회선 (circuit) 이용률은 점차 포화상태에 다다르고 있으며, 대신 인터넷 접속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초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 간단한 메시지 전달을 주로 하는 단문데이터 서비스 위주였으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로 진화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 접속 시스템 및 단말기의 종류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최적의 전송률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특히 단일한 새로운 망의 출현에 의한 서비스 제공보다는 IP 기반 이동성 지원에 의해 서로 상이한 기존 망간의 끊임없는 연동이 보다 현실적인 차세대 이동통신의 요구사항으로 떠오를 것이 전망된다.(중략)

  • PD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분류 및 분석)

  • Kim, Seung-Mok;Park, Tae-Ke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0 no.4
    • /
    • pp.470-482
    • /
    • 2007
  • In this paper, we classify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into service categories and develop service evolution scenarios for developing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roadmap in NGMC Forum. Firstly, Service categories are defined based on the purpose of service usage. Secondly, the services are classified into the categories and their relationship is analyzed. The candidates of services to be classified and analyzed include all kinds of services discussed in a conceptual level as well as current mobile/Internet services. Finally, we develop a service evolution scenario in each service category. When the next generation service road map i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t is expected to secure the initiative and enhance the competitive edge in the field of the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s.

  • PDF

Calculation of FDD-based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for 4G Mobile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FDD 방식을 고려한 점유 주파수 대역폭 산출)

  • Hyun, Young-Ju;Lee, Young-Hwan;Jang, Dong-Won;Kim, Kyung-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10
    • /
    • pp.10-18
    • /
    • 2007
  • Today, third-generation(3G)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executing the video and TV. And low cost, high speed data rate will emerge communication of the fourth generation(4G) in future. So, in this paper we studied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of common technique criteria among the technique criteria for the 4G mobile communication of FDD-based on Up/Down-link. The mobile communication traffic is predicted Up/Down-link of non-symmetric in future. So we proposed the PHY layer parameters of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of Up/Down-link with both 1:3 and 1:6. We also verified this through the simulation. We proposed the occupied frequency bandwidth for the 4G mobile communication in this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