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D depth

검색결과 2,616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Dietary Copper Source and Level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ipid Metabolism in Lambs

  • Cheng, Jianbo;Fan, Caiyun;Zhang, Wei;Zhu, Xiaoping;Yan, Xiaogang;Wang, Runlian;Jia, Zhi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5호
    • /
    • pp.685-691
    • /
    • 2008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copper (Cu) on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lipid metabolism in lambs. Fifty DorperMongolia wether lambs (approximately 3 month of age; 23.80.6 kg of body weight) were housed in individual pens and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five treatments. Treatments consisted of 1) control (no supplemental Cu), 2) 10 mg Cu/kg DM from Cu-lysine, 3) 20 mg Cu/kg DM from Cu-lysine, 4) 10 mg Cu/kg DM from tribasic copper chloride (Cu2(OH)3Cl; TBCC), 5) 20 mg Cu/kg DM from tribasic copper chloride. The Cu concentration was 6.74 mg/kg DM in the basal diet. Body weight was measured on two consecutive days at the start and the end of the 60-day experimental perio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then the lambs were slaughtered on d 60. Performance was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Cu treatment. Cu-supplemented and control lambs had similar hot carcass weight, dressing percentage and longissimus muscle area, but Cu supplementation, regardless of source and level, reduced (p<0.01) 12th rib backfat and kidney fat in lambs. Plasma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 and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p<0.05),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p<0.05) and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 concentrations tended to be increased (p<0.07) by Cu supplementation. However, Serum concentrations of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 Fatty acid profile of longissimus muscle was similar across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u-lysine and TBCC are of similar availability in lambs. Cu supplementation given to DorperMongolia wether lambs altered lipid metabolism. The reduction in backfat depth may be due to copper altering TNF- metabolism in lambs. Supplementation of 10 or 20 mg Cu/kg DM showed similar effects on lipid metabolism in lambs.

하천 현장업무 의사지원을 위한 GNSS와 공간영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GNSS and Spatial Image for River Site Decision Supporting)

  • 박현철;정윤재;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8-129
    • /
    • 2011
  • 본 연구는 4대 강 전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행정적 관리체계 지원을 위하여 첨단 공간정보기술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S(Remote Sensing),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항공레이저측량(LiDAR)과 실시간 네트워크 기술을 융합하여 3차원 영상 GIS기반 하천현장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3차원 영상 GIS기반 하천 현장 정보시스템은 25cm의 고해상 항공사진과 항공레이저측량 및 수심측량자료를 획득하여 4대강 중 선도 사업지역인 영산강(榮山江) 전체에 대한 정밀 공간정보를 표출하고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이동물체에 대한 위치좌표 트래킹기법과 연계하여 헬기, 배, 버스 등 이동수단 상에서 현장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4대강 현장에 대한 모든 정보를 한눈에 모니터링 할 수 있어 넓은 현장에 대한 사실적 설명과 국민적 신뢰성 확보 뿐만 아니라 4대 강 살리기 사업의 홍보 및 보고를 통하여 하천 현장업무상의 의사지원 체계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카메라와 조명의 변화에 강건한 반자동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 (Robust Semi-auto Calibration Method for Various Cameras and Illumination Changes)

  • 신동원;호요성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6-42
    • /
    • 2016
  • 최근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3차원 영상 렌더링 방법을 통해 3차원 콘텐츠가 많이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깊이 영상 기반 렌더링에서는 필연적으로 색상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 간의 시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두 카메라의 시점을 일치시키는 전처리 과정으로서 카메라 파라미터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평면의 체스보드 패턴을 회전과 이동이 수행된 여러 자세로 촬영한 다음 획득된 영상에서 패턴 특징 점을 손으로 직접 선택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원형 샘플 화소 검사와 호모그래피 예측을 이용한 반자동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FAST 코너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 특징 점의 후보를 영상으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으로 원형 샘플 화소를 검사하여 후보군의 크기를 줄이고 호모그래피 예측을 통해 손실된 패턴 특징 점을 보완하는 완전한 패턴 특징 점군을 획득한다. 마지막으로 쌍곡 포물면 근사를 통해 실수 단위의 정확성을 가지는 패턴 특징 점의 위치를 획득한다. 실험을 통해 각 단계에서 어떤 요인이 패턴 특징 점 검출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했고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카메라 파라미터의 정확성은 유지하고 수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Effect of Dietary Lysine Restriction and Energy Density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Jin, Y.H.;Oh, H.K.;Piao, L.G.;Jang, S.K.;Choi, Y.H.;Heo, P.S.;Jang, Y.D.;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9호
    • /
    • pp.1213-1220
    • /
    • 2010
  • 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effects of dietary lysine restriction and energy density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as utiliz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and factor 1 was lysine restriction and factor 2 was energy density. The control diet was formulated to contain 3.265 Mcal of ME/kg, 0.75% lysine in the early-finishing phase and 3.265 Mcal of ME/kg, 0.60% lysine in the late-finishing phase and other nutrients met or exceeded NRC (1998) standards.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CON), lysine levels of experimental diets were restricted to 15% (treatment EL, EEL) or 30% (treatment ELL, EELL), whereas energy level of experimental diets was increased by 0.100 or 0.200 Mcal of ME/kg. A total of 100 crossbred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58.47{\pm}1.42\;kg$, were allotted to 5 dietary treatments based on sex and body weight.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with 4 pigs (two barrows and two gilts) per pen. ADG, ADFI and feed efficiency were calculated in an 8-week growth trial. In the late finishing period (5-8 weeks), pigs fed ELL or EELL diets had decreased ADG and feed efficiency (p<0.01), however, when the EEL diet was provided, a similar growth performance was observed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 diet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p>0.05). In a metabolic trial, 15 pig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lysine restriction and energy density on nutrient digestibility.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fat and crude ash was not improved by restricting dietary lysine or energy density. However,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decreased (p<0.05) as dietary lysine was restricted. When dietary lysine was restricted, fecal nitrogen was increased whereas nitrogen retention was decreased. BUN concentration was affected by dietary lysine restriction; treatments ELL and EELL had higher BUN values than other treatments (p<0.01).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were measured when average body weight of pigs reached $107.83{\pm}1.50\;kg$. Treatment ELL had higher last rib backfat depth (p<0.05) than treatment CON, but ELL and EEL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ELL and EEL treatments had higher (p<0.05) subjective marbling score than treatment CON. Treatment EEL showed higher longissimus fat content than treatment EL and CON (p<0.01). The results indicated that finishing pigs fed a diet with 15% lysine restriction and 3.465 Mcal of ME/kg energy density had no detrimental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N utilization, and could achieve substantial increases in marbling and longissimus fat content of pork.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지하수 해수침투 및 토양 염류화 합성 평가모델 (Composite model for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and soil salinization due to sea level rise)

  • 정은태;박남식;조광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6호
    • /
    • pp.387-395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하여 해안지역의 지하수계에 해수침투가 가중된다. 지하수의 염분농도가 증가하면 지하수면 상부의 불포화 토양에서도 염분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농경지에서 작물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해수면이 상승함에 따라 내륙의 지하수위도 함께 상승한다. 이는 불포화 토양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해안 저지대의 경작에 피해를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지하수 해수침투는 3차원 모델, 토양 염류화 평가는 연직 1차원 모델을 합성 적용하여 해안 농경지에 대한 해수면 상승 피해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3차원 해수침투 모델에서 지하수면의 수위와 농도분포를 계산하고 최상부 절점 중에서 염분 농도가 기준 값 이상인 절점에서 지하수면과 지표면 사이의 토양층에서 연직 1차원 모델링으로 토양층의 염분 농도와 불포화대 두께를 계산하였다. 농경지의 토양 염류화는 작물의 뿌리 심도에서 보통 작물의 생육한계 염분농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개발된 모델링 방법을 가상의 간척농경지에 적용하였다. 해수면 상승자료로 IPCC의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는 2050년과 2100년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역에서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에서 2100년에는 지하수 염류화 피해 면적은 간척지 육지면적 대비 7.8%, 염류화 토양 면적은 6.0%, 불포화층의 두께가 뿌리심도보다 적은 지역의 면적은 1.6%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한 강릉 해안림의 경관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stal Forest Landscape Management Considering Parallax Effect in Gangneung)

  • 서미령;김충식;안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27
    • /
    • 2012
  • 본 연구는 패럴랙스 효과를 고려하여 동해안 곰솔림의 경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10개 동해안의 곰솔림에 대해 폭원, 간격, 직경이 조사되었다. 곰솔림 관리방법으로 정량 솎아베기 방법이 사용되었다. 조사를 통해 경관(바다, 논, 산, 주거지, 상업지), 수목의 직경(16cm, 22cm, 28cm), 수목의 간격(5m, 7m, 10m)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을 조합하여 작성된 45개의 경관 시뮬레이션 이미지에 대해 어의구별척도와 리커트척도로 경관선호도가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관선호도의 평균 비교 결과, 자연적 요소(바다, 산, 논)는 경관선호도가 높고 인공적 요소(주거, 상업)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바다에서 곰솔의 간격이 7m일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들(녹지, 하늘, 건물, 도로 등)의 시각량과 경관선호도는 상관성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깊이감(78%), 다양함(15.6%), 공간감(6.4%)의 3요인이 추출되었다. 깊이감과 공간감요인은 직경 28c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직경이 클 때 입체감이 커져 원근감을 강하게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수목 간격은 5, 7, 10m의 공간감이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관선호도가 높은 10m를 기준으로 곰솔림의 솎아베기가 경관관리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영양호 퇴적층으로부터 용존유기물의 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DOC Release from Sediment in Eutrophic Lake)

  • 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304-310
    • /
    • 2003
  • 수심이 얕고 부영양 호소인 L. Kasumigaura를 대상으로 퇴적층으로부터 유기물 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퇴적물의 함수율은 약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공극수의 DOC농도는 표층에서 높고 깊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조사기간중 공극수의 DOC농도(104mg C/l)가 크게 증가하여 공극수로부터 수체로 용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DOC 용출실험결과, 호기조건에서는 Labile-DOC (L-DOC)용출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고 Refractory-DOC (R-DOC)만 관측되었으며, 혐기조건에서는 L-DOC와 R-DOC 모두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퇴적층의 상부수층에 DO가 충분히 유지되면 L-DOC는 용출되어도 호기성 bacteria에 의해 쉽게 분해되기 매문에 R-DOC만 용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혐기조건하에서는 혐기성 bacteria의 유기물 분해능력의 감소로 L-DOC와 R-DOC모두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내부생성기원의 유기물중 퇴적층으로부터 R-DOC 용출은 수체의 유기물 농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수중 유기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R-DOC는 유기물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Comparison of Growth, Milk Yield and Draughtability of Murrah-Philippine Crossbred and Philippine Native Buffaloes

  • Salas, R.C.D.;van der Lende, T.;Udo, H.M.J.;Mamuad, F.V.;Garillo, E.P.;Cruz, L.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580-586
    • /
    • 2000
  • Data collected between 1981 and 1991 at the Philippine Carabao Center at Central Luzon State University (PCC-CLSU)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of growth, milk yield and draughtability of Murrah-Philippine crossbred and Philippine native buffaloes. Body weights and body measurements were available at 3-month intervals from birth to 36 months of age for a total of 34 $Murrah{\times}Philippine$ native buffalo F1 crossbreds (CBB; 21 cows, 13 bulls) and 32 Philippine native buffaloes (PNB; 16 cows, 16 bulls). Lactation records were available for 14 CBB and 19 PNB cows. Data for draughtability under wet and dry ploughing conditions were available for 4 CBB and 4 PNB ste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crossbreds grow faster (0-9 months of age: cows $442{\pm}19$ vs. $301{\pm}21g/day$, bulls $305{\pm}23$ vs. $296{\pm}21g/day$; 9-36 months of age: cows $227{\pm}10$ vs. $147{\pm}12g/day$, bulls $282{\pm}13$ vs. $138{\pm}12g/day$), mature earlier and produce more milk (1st lactation: $1139{\pm}153$ vs. $450{\pm}112kg$; 2nd lactation: $1115{\pm}132$ vs. $488{\pm}136kg$) than native buffaloes, but have a poorer draughtability (wet ploughing; force as % of body weight $8.8{\pm}0.2$ vs. $12.2{\pm}0.6$; dry ploughing: cut depth $10.98{\pm}0.25$ vs. $11.92{\pm}0.13cm$, velocity $0.50{\pm}0.03$ vs. $0.60{\pm}0.02m/sec$, force as % of body weight $9.0{\pm}0.6$ vs. $11.3{\pm}0.7$).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measurements at birth and at 3-month intervals indicate that heart girth ha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especially in crossbreds. It is concluded that in Philippine smallholder farming systems in which meat and milk production are secondary to draught power, the native buffalo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input needed to maintain the number of animals kept for a required draught force.

새만금호 내 밀도 성층 변화 고찰 (Consideration on Changes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Saemangeum Reservoir)

  • 오찬성;최정훈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93
    • /
    • 2015
  • 2010년 11월부터 새만금 내부개발을 위한 단계적 관리수위 적용이 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른 수온 및 염분 변화 등을 파악하고자 현장 수질 모니터링 보완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월 3~4회에 걸쳐 총 25개 지점에서 염분 및 수온 자료를 관측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자료를 활용하여 계절적 성층수괴 분포 특성을 연도별로 비교하였으며, 관측한 자료는 크리깅을 이용하여 그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때 수온 및 염분 자료를 통한 ${\sigma}_t$와 성층계수를 함께 계산하였으며, 여러 관측 지점 중 M4와 D4 지점을 선정하여 월별 수직적인 수온, 염분 및 ${\sigma}t$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2011년 및 2012년의 수온-염분 모니터링 비교 결과, 수온은 두 기간 동안 수직적 성층 현상은 여름철에 일시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수층 상 하 간의 온도차는 약 $2{\sim}3^{\circ}C$로 성층 강도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 농도는 표층에서 저층으로 갈수록 염분 농도가 높아지며, 여름철 표층에서 낮은 염도를 보이는 동일한 경향을 갖는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2012년의 염분 농도가 2011년에 비해 높은 분포를 보이며, 수심 5 m 이내에서 농도가 급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밀도 변화는 주로 풍수기 기간에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 성층현상은 하구 지역의 여름철 상류유입량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미세금형 가공을 위한 전기화학식각공정의 유한요소 해석 및 실험 결과 비교

  • 류헌열;임현승;조시형;황병준;이성호;박진구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2-81.2
    • /
    • 2012
  • To fabricate a metal mold for injection molding, hot-embossing and imprinting process, mechanical machining, electro discharge machining (EDM), electrochemical machining (ECM), laser process and wet etching ($FeCl_3$ proces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it is hard to get precise structure with these processes. Electrochemical etching has been also employed to fabricate a micro structure in metal mold. A through mask electrochemical micro machining (TMEMM) is one of the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es which can obtain finely precise structure. In this process, many parameters such as current density, process time, temperature of electrolyte and distance between electrodes should be controll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result because it has low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To improve it, we investigated this process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To search the relation between processing parameters and the results, we used finite element simulation and the commercial finite element method (FEM) software ANSYS was used to analyze the electric field. In this study, it was supposed that the anodic dissolution process is predicted depending on the current density which is one of major parameters with finite element method. In experiment, we used stainless steel (SS304) substrate with various sized square and circular array patterns as an anode and copper (Cu) plate as a cathode. A mixture of $H_2SO_4$, $H_3PO_4$ and DIW was used as an electrolyte. After electrochemical etching process, we compared the results of experiment and simulation. As a result, we got the current distribution in the electrolyte and line profile of current density of the patterns from simulation. And etching profile and surface morphologies were characterized by 3D-profiler(${\mu}$-surf, Nanofocus, Germany) and FE-SEM(S-4800, Hitachi, Japan) measurement. From comparison of these data, it was confirmed that current distribution and line profile of the patterns from simulation are similar to surface morphology and etching profile of the sample from the process, respectively. Then we concluded that current density is more concentrated at the edge of pattern and the depth of etched area is proportional to current den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