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blasting desig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18초

터널 굴착 시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발파 설계 사례 (Case Study of Blasting Pattern Design for Tunnelling in Which Considered Blast Induced Vibration Affected Across Buildings)

  • 백승규;추석연;윤종오;백운일;박형섭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5호
    • /
    • pp.377-3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추공 시험 발파 결과를 이용한 분석뿐만 아니라, 3차원 수치 해석으로 터널 굴착 시 실제 발파와 동일한 조건을 적용한 발파진동영향 검토를 실시하고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진동 영향을 분석하여 발파패턴 설계를 수행하였다.

비압축성 유동해석에 기초한 대면적 표면처리용 브라스팅 노즐 설계 및 실험적 검증 (Desig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Blasting Nozzle for Wide Area Surface Treatment based on Incompressible Flow Analysis)

  • 김태형;곽준구;이세창;이상규;이승호
    • 에너지공학
    • /
    • 제28권1호
    • /
    • pp.49-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넓은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브라스팅 노즐을 비압축성 유동해석에 기초하여 설계하였다. 설계된 노즐의 출구측 단면은 광폭의 직선 모양이다. 설계 후 3차원 프린팅으로 노즐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이를 브라스팅 머신에 장착 후 세정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해석 후 얻은 광폭 크기와 실험 후 시편 표면에서 얻은 세정된 광폭 크기가 거의 같았다. 이로부터 대면적 표면처리를 위한 브라스팅 노즐의 설계가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원통형 구조물의 발파해체설계에 대한 최신 발파해체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 (Application of Advanced Blast Demolition Simulation Method to the Drill and Blast Design for Demolishing Cylindrical Structures)

  • 박훈;석철기;김승곤
    • 화약ㆍ발파
    • /
    • 제26권1호
    • /
    • pp.7-14
    • /
    • 2008
  • 사일로와 같은 대단면 원통형 구조물을 전도시키기 위해서는 구조적 특성 및 사전 취약화를 위한 개구부의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구조물을 전도시키기 위해 구조적으로 동일한 원통형 구조물을 상용해석 프로그램인 3D AEM으로 모델링하여, 개구부의 조건으로는 개구부의 높이, 개구부의 각도, 개구부의 형태를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변수에 따른 원통형 구조물의 전도 붕괴 거동을 모사하고 분석하였다.

전자발파시스템을 이용한 발파진동 3D 모델링 연구 사례 (A Case Study on Blasting Vibration 3D Modelling with Electronic-Delay System Detonator)

  • 김갑수;루일리안 양;김용균;강대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2호
    • /
    • pp.131-142
    • /
    • 2014
  • 본 연구는 정확한 단차부여가 가능한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모델링을 통한 진동예측과 실제 발파진동의 결과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발파 작업 시 발생하는 진동을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모델링의 회귀분석 결과와 실제 획득한 진동 데이터의 회귀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볼 때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따라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진동 추정이 보다 정밀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 소음.진동의 사전 영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liminary Influence Analysis of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 안명석;김화일;박주한
    • 화약ㆍ발파
    • /
    • 제32권2호
    • /
    • pp.25-30
    • /
    • 2014
  •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은 일시적이고 간헐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영향은 매우 크다. 건설기계의 적은 소음 진동이라도 발생하면 먼 거리까지 전달되어 차음 및 방진 등의 대책이 어려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의 소음 진동 안전기준을 30m로 적용하였고 발파소음은 60m, 진동은 160m로 적용하였다. 지금까지는 2D를 사용한 모델링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건물이나 산과 언덕 등 크기와 높이를 고려한 3차원 3D 모델링으로 측정 분석하여서 정확도를 높였다.

발파로 인한 노천광산 사면안정성 평가 및 인자분석 (Slope Stability Assessment and Factor Analysis of Surface Mines due to Blasting)

  • 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0권1호
    • /
    • pp.98-107
    • /
    • 2020
  • 노천채광에서 경제적인 채광을 위한 채광장 형성은 매우 중요하며, 대규모 채광을 위한 발파작업은 사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면설계와 발파 조건을 달리하면서 사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인자의 기여율을 검토하였다. 설계인자는 암반의 물성, 사면각도, 벤치높이이며, 발파 조건은 장약량과 거리를 달리하여 반영하였다. 사면의 안전율은 3차원 모델링을 통해 전단강도감소기법으로 산출하였으며, 기여율은 암반사면의 물성이 94.8%로 다른 설계인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사면각도 0.89%, 벤치높이 0.58%, 발파는 3.73%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면과 근접거리에서의 발파는 사면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Prediction of rock fragmentation and design of blasting pattern based on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 심현진;한창연;남현우
    • 지반과기술
    • /
    • 제3권3호
    • /
    • pp.15-22
    • /
    • 2006
  • The optimum blasting pattern to excavate a quarry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minimum production cost, which is generally estimated according to rock fragmentation. Therefore, it is a critical problem to predict fragment size distribution of blasted rocks over an entire quarry. By comparing various prediction model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result obtained from Kuz-Ram model relatively coincides with that of field measurements. Kuz-Ram model uses the concept of rock factor to signify conditions of rock mass such as block size, rock jointing, strength and others. For the evaluation of total production cost, it is imperative to estimate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for the entire quarry. In this study, a sequential indicator simulation technique is adopted for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due to its higher reproducibility of spatial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models than Kriging methods. Further, this can reduce the uncertainty of predictor using distribution information of sample data. The entire quarry i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rock mass and optimum blasting pattern is proposed for each type based on 3-D spatial distribution of rock factor. In addition, plane maps of rock factor distribution for each ground level are provided to estimate production costs for each process and to make a plan for an optimum blasting pattern.

  • PDF

압축성 유동해석에 기초한 곡면 세정을 위한 브라스팅 광폭 노즐의 설계 및 성능시험 (Design and Performance Test of Wide Blasting Nozzle for Curved Surface Cleaning based on Compressible Flow Analysis)

  • 김태형;곽준구;손명환
    • 에너지공학
    • /
    • 제28권1호
    • /
    • pp.57-6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 발전설비 부품의 곡면을 표면처리 하기 위한 브라스팅 노즐을 설계한 후 압축성 유동해석을 통해 분사 성능을 살펴보았다. 이때 곡면 노즐의 출구는 부품의 표면을 따라 곡면으로 설계되었다. 3차원 프린팅으로 노즐을 제작한 후 실린더형 시편의 표면에 연마재를 분사하여 세정 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해석 후 얻은 유효 세정 면적과 실험 후 얻은 유효 세정 면적의 크기와 형상이 유사하였으며 이로부터 곡면형 노즐 설계의 타당성 및 실효성을 확인하였다.

비대칭 V-cut의 갱내 광산에 대한 적용성 연구 (Study on Applicability of Asymmetry V-Cut method in Underground Mine)

  • 김정규;정승원;김준하;김종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520-533
    • /
    • 2021
  • 갱내채광개발의 안정성 문제로 굴착단면을 축소하였을 때 발생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파효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발파 설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의 생산발파, 생산발파에 확대공을 2열 추가한 1차 제안발파 그리고 확대공에 1열만 추가하여 비대칭을 이루는 2차 제안발파의 발파효율을 비교하였다. 발파효율 평가지표로는 굴진율과 파쇄입도로 선정하였다. 굴진율의 경우 일반대비 1차 제안발파는 6.07%, 2차 제안발파는 4.65% 향상하였고, 파쇄입도의 경우 P80 기준으로 일반발파 대비 1차 제안발파는 약 58%, 2차 제안발파는 약 47% 파쇄입도가 감소하였다. 평가지표에 따라 1차 제안발파가 2차 제안발파보다 좋은 발파효율을 보이지만, 평가지표의 결과의 차이가 미비하여 1차 제안발파에 추가적으로 소요된 작업시간과 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2차 제안발파인 비대칭 V-cut이 현장에 더 적합한 발파설계라 판단된다.

시공단계의 진동레벨 단위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ibration Level Units in the Construction Phase)

  • 최형빈;김동연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86-97
    • /
    • 2012
  • 건설현장의 노천발파로 발생되는 지반진동은 인체의 간접피해 및 구조물의 물적 피해를 동반하며, 인체는 진동레벨, 구조물은 진동속도 단위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실시단계 진동기준 중 진동속도 외 누락된 진동레벨 단위를 추가, 진동속도 및 진동레벨을 동시 측정한 적용사례로서 추후 민원이 예상되는 현장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발파진동 및 진동레벨 추정식 도출을 위한 표본수는 총 232개가 사용되었으며, 진동속도 0.3 cm/s와 진동레벨 75 dB(V) 기준의 지발당장약량을 비교한 결과, 후자가 20.0~40.9% 여유가 있음을 입증하여 진동레벨 단위척도 추가는 전혀 문제되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소음 진동 관리법이 우선된다면 노천발파 시공비용은 훨씬 저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계측기기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진동속도 및 진동레벨을 동시 측정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 SV-1모델을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