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Virtual Space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34초

가상 평면 기법을 이용한 3차원 기하 정보 획득 알고리즘 (The 3D Ge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Algorithm using Virtual Plane Method)

  • 박상범;이찬호;오종규;이상훈;한영준;한헌수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080-1087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o acquire 3D geometric information using a virtual plane method. The method to measure 3D information on the plane is easy, because it's not concerning value on the z-axis. A plane can be made by arbitrary three points in the 3D space, so the algorithm is able to make a number of virtual planes from feature points on the target object. In this case, these geometric relations between the origin of each virtual plane and the origin of the target object coordinates should be expressed as known homogeneous matrices. To include this idea, the algorithm could induce simple matrix formula which is only concerning unknown geometric relation between the origin of target object and the origin of camera coordinates. Therefore, it's more fast and simple than other methods. For achieving the proposed method, a regular pin-hole camera model and a perspective projection matrix which is defined by a geometric relation between each coordinate system is used. In the final part of this paper, we demonstrate the techniques for a variety of applications, including measurements in industrial parts and known patches images.

분산 가상현실을 위한 계층적 QoS 지원 기법 (Hierarchical QoS Architecture for Virtual Dancing Environment)

  • 김진용;원유집;김범은;박종일;박용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1호
    • /
    • pp.675-690
    • /
    • 2003
  • 시스템과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제한된 리소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참여 가능하고 사용자의 QoS를 만족시키는 분산 가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분산 가상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 트래픽 증가 문제, 네트워크 지연으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간의 동기화 문제, 가상 환경 렌더링에 따른 시스템 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3인칭 시점의 가상 댄싱 공간을 구성하여 아바타간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화질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의 양을 달리하는 계층적 QoS 모델을 제안한다. 계층적 QoS 모델은 화면을 보는 사용자의 시점에 기반하여 가상 댄싱 공간에서 보여지는 아바타의 화질을 조절하는 Visual QoS와 아바타의 영향 범위 및 아바타간의 거리에 의해 사용자에게 들리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는 Audio QoS로 구성된다. 이 기법의 효율성을 검증하고자 Sun사의 JMF와 Java3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실영상과 3D CG 아바타가 참여하는 가상 댄싱 공간을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계층적 QoS 모델이 다수의 아바타가 참여하고 아바타의 밀집도가 높은 가상 댄싱 공간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TIE 시스템의 성능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한다.

3차원 공간 탐색을 위한 헬리콥터 조종사 메타포어와 그 구현 (Helicopter Pilot Metaphor for 3D Space Navigation and its implementation using a Joystick)

  • 김영경;정문렬;백두원;김동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7-67
    • /
    • 1997
  • 가상공간 탐색은 근본적으로 가상카메라의 조작으로 귀결된다. 이때 가상카메라는 자유도 6을 가지고 움직인다. 그러나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마우스나 조이스틱 등의 입력장치는 2D 장치이다. 따라서 입력장치의 운동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운동은 어느 한 순간에는 2D운동이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6DOF(degrees of freedom) 운동은 2D 또는 1D 운동들의 결합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다. 많은 가상공간 탐색 브라우저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탐색 모드를 사용한다. 그러나 다수의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 기준이 분명하지 않고 각 모드에서 가능한 조작들이 서로 중복되는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장치의 감각 대응성(kinesthetic correspondence)이 미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공간을 탐색할 때 상황을 장악하고 있다는 느낌을 가지기 힘들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관적이면서도 포괄적인 단일 탐색 메타포어가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헬리콥터 조종사 메타포어를 제안한다. 헬리콥터 조종사 메타포어를 이용한다는 것은 조종장치들에 의해 사용자가 공간에서 날고있는 가상 헬리콥터의 조종사가 되어 공간 영상을 탐색 한다는 의미이다. 본 논문에서는 헬리콥터의 6DOF 운동을 직관적으로 조작하기 위해서 이를 6개의 2D 운동공간, 즉, (1) 평면상의 이동, (2) 수직면상의 이동, (3) 현위치중심의 피치, 요회전, (4) 현위치중심의 롤, 피치회전, (5) 좌우상하 선회, (6) 물체중심회전, 으로 분할하고, 각 2D 운동공간을 가시화 시켜 그 공간 자체를 메뉴화 하였다. 이렇게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의식적으로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 부담없이 단지 필요에 의해 적절한 2D 운동공간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각 운동공간에서의 헬리콥터 운동은 조이스틱의 2D 조작으로 제어한다.

  • PDF

입체음장재현을 위한 멀티채널시스템 (A Multichannel System for Virtual 3-D Sound Rendering)

  • 이찬주;박영진;오시환;김윤선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9권 1호
    • /
    • pp.223-226
    • /
    • 2000
  • Currently a multichannel system for virtual 3-D sound rendering is under development. Robust sound image formation and smooth real time interactivity are main design Points. The system utilizes VBAP algorithm as virtual sound image positioning. Overall system settings can be easily configured. We developed software, RIMA. as a driving Program of the system. At this stage, it is possible to position virtual sound images at arbitrary positions in three-dimensional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re discussed. The system has been applied to the KAIST Bicycle Simulator to generate the virtual sound field.

  • PDF

A study on multichannel 3D sound rendering

  • Kim, Sun-Min;Park, Young-Ji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17.2-117
    • /
    • 2001
  • In this paper, 3D sound rendering using multichannel speakers is studied. Virtual 3D sound technology has mainly been researched with binaural system. The conventional binaural sound systems reproduce the desired sound at two arbitrary points using two speakers in 3DD space. However, it is hard to implement the localization of virtual source at back/front and top/below positions because the HRTF of an individual is unique just like the fingerprint. Most of all, the HRTF is highly sensitive to the elevation change. Multichannel sound systems have mainly been used to reproduce the sound field picked up over a certain volume rather than at specific points. Moreover, multichannel speakers arranged in 3-D space produce a much better performance of ...

  • PDF

가상 3D 패션 코디네이션 연구 (A Study of Virtual 3D Fashion Coordination)

  • 강인애;김효숙;최창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9-171
    • /
    • 2002
  • Today, many people seek for their own personal character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nother people and they utilize fashion coordination as the was of expression their own image. In addition, interest in electronic commerce and cuber shopping mall on the internet is increasing. For this reason, visual and interesting virtual fashion coordination system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ssibility of fashion coordination by virtual 3D model. For this study, 1. We make a 3D standard body model by automatic generation. 2. We make 3D fashion item (sleeveless top and flare skirt) by automatic generation. 3. We combine 3D body model with fashion item by special point, grouping and gap being between body and clothes. 4. We make textile palettes and textile DB for texture mapping and rendering. As a effect of this study, 1. It can give the chance to coordinate clothes suitable for their own character and bodyshape on the cuber space more speedily and variously. 2. It can help fashion internet shopping mall company can save a time, expenses and tries to advertise their new products, offer service for customers and lead customers to purchasing. 3. It can accumulate a database of design and textile for using by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Recognition of Virtual Written Character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Leem, Seungmin;Kim, Sungyoung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3-8
    • /
    • 2018
  •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recognizing online handwritten cursive data obtained by tracing a motion trajectory while a user is in the 3D space based on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algorithm. There is a difficulty in recognizing the virtual character input by the user in the 3D space because it includes both the character stroke and the movement stroke. In this paper, we divide syllable into consonant and vowel units by using labeling technique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localizing letter stroke and movement stroke in the previous stud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eparated consonants and vowels are converted into image data, and Korean handwriting recognition was performed using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fter learning the neural network using 1,680 syllables written by five hand writers, the accuracy is calculated by using the new hand writ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writing of training data. The accuracy of phoneme-based recognition is 98.9%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The proposed method has the advantage of drastically reducing learning data compared to syllable-based learning.

3차원 공간 데이터를 활용한 지하시설물의 효율적인 3D 모델링 자동화 기법 (Efficient 3D Modeling Automation Technique for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3D Spatial Data)

  • 이종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1670-1675
    • /
    • 2021
  • 건설산업 영역의 스마트 건설 기술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드론,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기술 등 스마트 건설 기술을 활용하여 시공 현장의 재해율을 낮추고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건설 시공 현장 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실제 시공 현장을 가상의 공간과 동일하게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트윈 가상공간 구축방법은 시공 전주기 데이터를 수집 및 가공을 하고 3D 모델 파일을 이용하여 시각화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성하는 3D 모델링을 3차원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생성하여 효율적인 디지털 트윈 공간을 구축하는 모델링 자동화 기법을 소개한다.

A Comparative Study by Age in Evaluating Web-based 3D Model House

  • Ha, Jimin;Park, Soobee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175-18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age-related differences with the assessment tools in the web-based 3D virtual model house and to propose the 3D model house criteria which everyone can use easily. The participants came from three age groups, ranging from their 20s to their over 40. Presence, Usability and Space perception and cognition in the experiment for navigating and evaluating the web-based 3D model hou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rough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younger the participa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y evaluated the experiment on Presence. However, 20s needed higher presence than other two groups. (2) 30s and over 40 groups evaluated that the 3D virtual model house was more efficient than an actual model house on Usability. When the participants were younger, the values of 'expressivity' factor were higher. (3) The younger the participants were, the more positive they perceived the virtual environment (VE) on Space perception and cognition sca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dwelling size and the floor plan typ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online gaming experience on Presence and Usabilit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and older groups have difficulty navigating and assessing in a VE. Although older groups take longer to adapt in the VE, they regard the 3D model house as an effective tool for purchase of house.

키넥트 깊이 정보와 DSLR을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합성 (Stereoscopic Video Compositing with a DSLR and Depth Information by Kinect)

  • 권순철;강원영;정영후;이승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10호
    • /
    • pp.920-927
    • /
    • 2013
  • 크로마키 방식에 의한 영상 합성은 색상 정보에 의해 전경 후경을 분리하기 때문에 객체 색상의 제약과 특정 스크린이 위치해 있어야 하는 공간의 제약이 있다. 특히 스테레오스코픽 3D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상 합성은 크로마키 방식과는 달리 3D 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영상 합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깊이 키잉(depth keying) 방식에 의한 3D 공간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합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DSLR과 마이크로소프트사 키넥트 센서간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고화질의 깊이 정보 획득 후 RGB 정보와의 정합 과정을 통해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깊이 정보에 의해 배경과 분리 된 객체는 3차원 공간에서의 포인트 클라우드 형태로 표현되어 가상 배경과 합성하였다. 이후 가상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Full HD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합성 영상 획득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