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Terrain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9초

3차원 지형 자료 획득을 위한 지도 영상 분석 (Analysis of paper map images for acquiring 3D terrain data)

  • 이진선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68-76
    • /
    • 1996
  •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3차원 지형 자료 획득이다. 기존의 야외 조사나 항공 사진 분석 방법은 비용 문제가 수반되어, 기존 등고선 지도로부터 지형 자료를 획득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방법을 위해서는 등고선 추출, 등고선 높이값 부여, 3차원 지형 복원의 처리 단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등고선 지도로부터 3차원 지형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처리 절차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이에 필요한 문제들을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기술한다. 위의 세가지 처리 단계중 앞의 두 단계에 대해서는 필요한 연산 및 기존 방법론을 검토하며, 세 번째 지형 복원 단계에 대해서는 래스터 기반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제 지도에 대한 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 PDF

등고선 정보로부터 3차원 지형정보의 실시간 복원을 위한 정보 확산 신경회로망 (The Information Diffusion Neural Networks for Real-Time Regeneration of 3-D Terrain Elevation Data with Contour Information)

  • 김종만;최종수;임영재;김홍갑;김형석;김성중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968-970
    • /
    • 1995
  • The Information Diffusion Neural Networks is proposed to regenerate the 3-dimensional terrain elevation data from contour lines. Contours in paper map are an expression of terrain elevation in highly compressed form. A real time regeneration of terrain data for each grid points from the the contour information is requir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the proposed neural networks, the elevation information on contours is diffused to neighbor units through updating its output toward that of neighbor units. An interpolation of terrain information is achieved from such computation mechanithm. Terrain data regeneration simulation has been done with sampled terrain data on contour lines.

  • PDF

노이즈 함수 및 높이맵을 이용한 3차원 지형 메쉬의 생성 (Generation of 3D Terrain Mesh Using Noise Function and Height Map)

  • 박상근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5
    • /
    • 2022
  • This paper describes an algorithm for generating a terrain using a noise function and a height map as one of the procedural terrain generation methods. The polygon mesh data structure to represent the generated terrain concisely and render it is also described. The Perlin noise function is used as the noise technique for terrain mesh, and the height data of the terrain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four noise waves. In addition, the terrain height information can be also obtained from actual image data taken from the satellite.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paper generates the geometry part of the polygon topography from the height data obtained, and generated a material for texture mapping with two textures, that is, a diffuse texture and a normal texture. The validity of the terrain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verified through application examples, and its possibility can be confirmed through performance verification.

드론 안전비행맵 구축 및 비행경로 탐색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Drone Safety Flight Map and The Flight Path Search Algorithm)

  • 홍기호;원진희;박상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538-1551
    • /
    • 2021
  • The current drone flight plan creation creates a flight path point of two-dimensional coordinates on the map and sets an arbitrary altitude value considering the altitude of the terrain and the possible flight altitude. If the created flight path is a simple terrain such as a mountain or field, or if the user is familiar with the terrain, setting the flight altitude will not be difficult. However, for drone flight in a city where buildings are dense, a safer and more precise flight path generation method is needed. In this study, using high-precision spatial information, we construct a drone safety flight map with a 3D grid map structure and propose a flight path search algorithm based on it. The safety of the flight path is checked through the virtual drone flight simulation extracted by searching for the flight path based on the 3D grid map created by setting weights on the properties of obstacles and terrain such as buildings.

지상라이다 장비를 이용한 사면지형분석 (Slope terrain Analysis by using Terrestrial LiDAR Equipment)

  • 함주형;최승필;김문섭;김욱남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1-293
    • /
    • 2010
  • Terrestrial LiDAR can be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3D slope terrain because it can obtain the entire shape of the object, instead of only a specific location, while not much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and it can create more dense and precise 3D coordinates than those of aerial LiDAR.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 areas with different terrain conditions were selected, the terrestrial LiDAR device was used to observe the slope terrain, and a slope terrain analysis technique was proposed based on the observation results.

  • PDF

가시성 검사를 이용한 3차원 게임에서의 효율적인 경로 탐색 (Efficient Path Finding in 3D Games by Using Visibility Tests)

  • 김형일;정동민;엄기현;조형제;김준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483-1495
    • /
    • 2006
  • 이동망(Navigation Mesh)은 캐릭터가 이동할 수 있는 다각형(삼각형) 집합으로 지형을 표현한다. 이동망은 자동화된 생성이 가능하며, 유연하게 3차원 공간을 표현할 수 있다. 지형 구조에 따라 삼각형 수를 달리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캐릭터는 3차원 상태 공간을 2차원 평면 공간으로 표현한 이동망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동과 경로 계획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캐릭터의 이동을 위해 보다 많은 삼각형을 이용하여 지형을 표현함으로 경로 계획 수립 시 많은 상태 공간(다각형)을 검색하여 효율적인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망으로 표현된 3차원 게임에서에서의 효율적인 경로 탐색 방법을 위한 가시성 검사 시법을 제안한다. 정교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세밀한 지형에 그래프 기반 탐색을 적용하면 탐색할 공간이 많기 때문에 효율적인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정교하게 구성되어 있는 3차원 지형에서 효율적인 탐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시성 검사(visibility test)를 이용하여 탐색 공간을 줄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장애물의 정점을 찾고 추정 함수(heuristic function)를 이동망을 지나가는 거리로 정의함으로서, 직선거리를 추정 함수로 정의한 그래프 기반 탐색 방법보다 탐색 영역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지형형상화를 위한 객체 클래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ject Classes for Terrain Simulation)

  • 노용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1-69
    • /
    • 1997
  • In 3D computer graphics, fractal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to terrain models. Even though fractal models are convenient way to get the data of terrain models, it is not easy to gain the final results by manipulating the data of terrain model. However, by using the object oriented programming techniques, we could reduce the effort of programming job to find the final result. In this paper, a set of classes made by object oriented programming technique is presented. To show the results, the data of a terrain model were made by a fractal technique, namely, the midpoint displacement methods with square lattices of points.

  • PDF

등고선을 이용한 자행정보의 3차원 시각화 기법 (A 3-D Visualization Method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Contour Lines)

  • 한정규;백중환;황수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3-133
    • /
    • 2001
  • 기존의 위성 영상이나 지도 이미지를 이용한 지형의 3차원 시각화 방법은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3차원 지형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타가 방대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등고선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3차원 지형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지형의 3차원 시각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형 데이타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해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세가지 문제인 등고선 대응 문제, 타일링 문제, 지맥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가상 등고선의 개념을 정의하고 왜곡된 등고선을 대응되는 등고선과 유사한 모양이 되도록 확장하여 3차원 표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3차원 지형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IS Based Automatic Terrain Analysis System for Field Operation

  • Kim, Kyoung-Ok;Yang, Young-Kyu;Lee, Jong-Hoon;Choi, Kyoung-Ho;Jung, In-Sook;Kim, Tae-Ky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1-132
    • /
    • 1994
  • A GIS based tactical terrain analysis system named ATTAS(Army Tactical Terrain Analysis Software) has been designed and implemented to support the field commanders for enhancing the capabiliy of their unit and efficiency of weapon system. This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computer graphics environment in which the analyst can interactively operate the entire analyzing process such as selecting the area of interest, performing analysis functions, simulating required battlefield operation and display the results. This system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sections; the terrain analysis modules, utilites, and graphic editor. The terrain analysis module inclused surface analysis, line of sight analysis, enemy disposition, 3D display, radar coverage, logistic route analysis, shortest path analysis, atmospheric phenomena prediction, automated IPB (Inteligence preparation of Battlefield), and other applied analysis. A combination of 2D and 3D computer graphics techniques using the X-window system with OSF/Motif in UNIX workstation was adopted as the user interface. The integration technique of remotely sensed images and GIS data such as precision registration, overlay, and on-line editing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efficient image and GIS data management technique was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using Oracle Database Management System.

교차검출을 이용하여 Picking 속도를 향상시킨 3D 지형 툴의 개발 (Development of 3D Terrain Tools which Improves a Picking Speed using Cross Detection)

  • 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8-85
    • /
    • 2012
  • 본 논문은 3D 컴퓨터 게임 개발에 있어서 필수적인 3D 지형 툴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은 Picking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차검출 기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즉,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선과 삼각형으로 구성된 교차검출 기법보다 광선과 평행사변형으로 구성된 효율적인 교차검출 기법을 제안함으로서 보다 빠른 Picking 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더 빠른 Picking 속도를 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DirectX SDK의 샘플들 중 Picking 예제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 교차검출을 위한 함수 호출 횟수를 비교해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보다 약 50%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시간적으로 계산해 보았을 때에는 기존의 기법보다 1~2초 정도 단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3D 지형 툴로서 갖추어야할 기능들 중 텍스처 스플래팅, 지형의 높낮이 조절, 객체 배치 및 사실적인 물 효과 등의 기능들을 보다 개선된 알고리즘으로 제공함으로서 실제 3D 컴퓨터 게임 개발에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