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Baseline

검색결과 2,778건 처리시간 0.048초

차분 간섭도로부터 지표변위의 시계열 관측을 위한 개선된 Small Baseline Subset (SBAS) 알고리즘 (Improvement of Small Baseline Subset (SBAS) Algorithm for Measuring Time-series Surface Deformations from Differential SAR Interferograms)

  • 정형섭;이창욱;박정원;김기동;원중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5-177
    • /
    • 2008
  • 최근 spatial decorrelation을 극복하기 위하여 비교적 짧은 기선(baseline)을 지니는 여러 시기의 차분간섭도(differential interferogram)로부터 시계열 지표변위(time-series surface deformation)를 관측할 수 있는 small baseline subset(SBAS)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이 SBAS 알고리즘은 singluar value decomposition(SVD)을 이용하여 시간별로 완벽하게 연결되지 않는 차분간섭도로부터 시계열 지표변위를 관측하였을 뿐 아니라 공간적으로 저주파 필터와 시간적으로 고주파 필터를 이용하여 대기효과를 보정하였다. 그러나 이 알고리즘은 초기 관측시 시계열 지표변위를 선형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각 차분간섭도의 phase unwrapping 오차를 정확하게 보정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시계열의 지표변위에 존재하는 노이즈 성분을 완화시키지 못했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SBAS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이 개선된 SBAS 알고리즘은 각 차분간섭도의 phase unwrapping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시계열 지표면 변위를 개선하였고, 시계열 지표변위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유한차분근사법(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을 이용하였다. 서로 다른 지역의 26개의 ERS-12자료와 21개의 RADARSAT-1 fine beam (F5) 자료를 이용하여 개선된 SBAS 알고리즘을 실험하고 분석하였다. ERS-1/2자료에서는 LOS(line-of-sight) 지표변위가 약 13년 동안 최대 -40cm가 관측되었고, RADARSAT-1 fine beam 자료에서는 약 2년 동안 최대 -3cm의 LOS 지표변위가 관측되었다.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Brotherhood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박지훈;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1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만 7~8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8주간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A 3회기, 중재기 B 16회기, 기초선 A' 3회기로 총 22회기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ESI(Evaluation Social Interaction)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매 회기 중재 후 실시한 자유놀이에서 대상 아동 모두 기초선 A의 평균과 2표준편차 밴드 이상인 값들이 두 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 훈련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미치는 효과 : 개별 실험 연구 (The Effect of Interactive Metronome Training on Increasing Attention and Impulsivity Control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강재원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45-54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들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M) 훈련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ADHD 아동 1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개별 실험 연구(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디자인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총 21회기로 기초선 3회기, 중재기 15회기, 추적기 3회기를 시행하였다. 중재는 IM 훈련이었으며 매 회기마다 IM의 SFA(Short Form Assessment)와 집중력 측정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초선, 중재기, 추적기 때 각 한번씩 IM의 LFA(Long Form Assessment)와 자기통제력 검사(SCRS) 평가를 진행하였다. 매회기 SFA와 집중력 측정과제의 결과를 시각적 그래프로 나타내었으며 LFA와 SCRS의 값은 표로 제시하였다. 결과 : 기초선과 비교하여 IM 훈련 중재 후에 대상자의 집중력은 향상되었으며 충동성은 감소하였다. 중재가 끝나고 한 달 후인 추적기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거나 향상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IM이 ADHD 아동의 집중력 향상과 충동성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ADHD 아동의 중재방법으로써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Impact of Skeletal Muscle Loss and Visceral Obesity Measured Using Serial CT on the Prognosis of Operable Breast Cancers in Asian Patients

  • Mi-ri Kwon;Eun Sook Ko;Min Su Park;Woo Kyoung Jeong;Na Young Hwang;Jae-Hun Kim;Jeong Eon Lee;Seok Won Kim;Jong Han Yu;Boo-Kyung Han;Eun Young Ko;Ji Soo Choi;Ko Woon Park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2호
    • /
    • pp.159-171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baseline values and temporal changes in body composition parameters, including skeletal muscle index (SMI) and visceral adipose tissue area (VAT), measured using serial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on the prognosis of operable breast cancers in As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included 627 Asian fe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SD], 53.6 ± 8.3 years) who underwent surgery for stage I-III breast cancer between January 2011 and September 2012. Body composition parameters, including SMI and VAT, were semi-automatically calculated on baseline abdominal CT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follow-up CT for post-treatment surveillance. Serial changes in SMI and VAT were calculated as the delta values.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baseline and delta SMI and VAT values with disease-free survival. Results: Among 627 patients, 56 patients (9.2%) had breast cancer recurrence after a median of 40.5 months. The mean value ± SD of the baseline SMI and baseline VAT were 43.7 ± 5.8 cm2/m2 and 72.0 ± 46.0 cm2, respectively. The mean value of the delta SMI was -0.9 cm2/m2 and the delta VAT was 0.5 cm2. The baseline SMI and VAT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free survival (adjusted hazard ratio [HR], 0.983; 95% confidence interval [CI], 0.937-1.031; p = 0.475 and adjusted HR, 1.001; 95% CI, 0.995-1.006; p = 0.751, respectively). The delta SMI and VAT were also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ease-free survival (adjusted HR, 0.894; 95% CI, 0.766-1.043; p = 0.155 and adjusted HR, 1.001; 95% CI, 0.989-1.014; p = 0.848, respectively). Conclusion: Our study revealed that baseline and early temporal changes in SMI and VAT were not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garding disease-free survival in Asia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breast cancer.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최대의 신호 대 잡음비를 가지는 검출코일의 형태 와 자기차폐실의 최적 조합 (Optimum Combination of Pickup Coil Type and Magnetically Shielded Room for Maximum SNR to Measure Biomagnetism)

  • 유권규;이용호;강찬석;김진목;박용기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9권1호
    • /
    • pp.45-49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optimum combination of the environmental noise condition and type of SQUID pickup coil in order to obtain maximum signal-to-noise ratio (SNR). The measurement probe consists of 1st order gradiometer with pickup coils of 100 mm, 70 mm, and 50 mm baseline length, a 2nd order gradiometer with 50 mm baseline, and a magnetometer. The pickup coils are fabricated by winding Nb wire on a bobbin with 200 mm diameter. Noise and heart signal of a healthy male were measured by various SQUID sensors with different types of pickup coils in various magnetically shielded rooms (MSR),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shielding factors were found to be 43 dB, 35 dB and 25 dB at 0.1 Hz for MSR-AS, MSR-BS, MSR-CS, respectively. White noises were $3.5\;fT/Hz^{1/2}$, $4.5\;fT/Hz^{1/2}$ and $3\;fT/Hz^{1/2}$ for the 1st order gradiometers, the 2nd order gradiometers, and magnetometer for all MSRs. SNR of the magnetometer was up to 56 dB in MSR-AS, while the 1st order axial gradiometer with 70 mm baseline length was up to 54 dB in MSR-BS. The 2nd order axial gradiometer with 50 mm baseline length of pickup coil was found to be up to 40 dB in MSR-CS.

  • PDF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이 미치는 영향 (Impact of Trivial Baseline into GNSS Network Adjustment)

  • 윤성현;이흥규;박종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593-60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GNSS 단일기선해석과 망조정을 통한 측량기준점 성과 산정에서 종속기선 포함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망조정 이론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정보원 운영 위성기준점 50 개소의 관측데이터를 이용하여 종속기선 포함여부에 따라 3가지 형태의 기준점 측량망 구성 및 조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확도 표현과 산정성과의 차이 측면에서 분석 하였다. GNSS 망조정에 종속기선을 포함하는 경우 조정성과 차이는 밀리미터 수준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망의 자유도와 기하강도 왜곡으로 그 정확도가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3가지 경우에 대한 조정성과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좌표와 비교했으며, 그 결과 독립기선으로만 이루어진 망의 성과가 가장 높은 일치성을 보였다. 그러나 종속기선을 포함한 조정결과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어 성과의 정확도 표현에 왜곡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GNSS 단일기선해석으로 얻어진 기선벡터의 망조정에서는 기존 성과와의 일치성, 현실적인 정확도 표현 그리고 과대한 데이터 처리에 따른 시간 및 비용 부담을 고려할 때 종속기선을 제외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자 정규화를 위한 새로운 파워 스펙트럼 Warping 방법 (A New Power Spectrum Warping Approach to Speaker Warping)

  • 유일수;김동주;노용완;홍광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4호
    • /
    • pp.103-111
    • /
    • 2004
  • 화자 정규화 방법은 화자 독립 음성인식 시스템에서 음성 인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성공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왔다. 널리 사용되는 화자 정규화 방법은 maximum likelihood 반의 주파수 warping 방법이다. 본 논문은 주파수 warping 보다 더 좋은 화자 정규화의 성능 개선을 위해 새로운 파워 스펙트럼 warping 방법을 제안한다. 파워 스펙트럼 warping은 멜 주파수 켑스트럼 분석(MFCC) 방법을 이용하며, MFCC 처리 단계에서 필터 뱅크의 파워 스펙트럼을 조절함으로써 화자 정규화를 수행하는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갖는다. 또한 본 논문은 파워 스펙트럼 warping과 주파수 warping 방법을 서로 결합한 hybrid VTN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실험은 baseline 시스템에 각 화자 정규화 방법을 적용하여 SKKU PBW DB에서 인식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를 보면 baseline 시스템의 단어 인식 성능을 기준으로 주파수 warping은 2.06%, 파워 스펙트럼 warping은 3.05%, 그리고 hybrid VTN은 4.07%의 단어 에러 율의 감소를 보였다.

과체중 및 비만 대학생의 체력증진을 위한 자기효능이론 기반 운동프로그램의 효과검증 (A Feasibility Study of an Exercise Intervention Based on Self-efficacy Theory among Overweight and Ob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 차은석;신윤아;김희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04-714
    • /
    • 2008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a 12 week self-efficacy based exercise intervention for overweight and obese college students. Method: A repeated measure, 4-group randomized controlled design was used.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Korea using: (1) flyers either on the campus bulletin boards or in campus restrooms: (2) advertisement on campus e-board: and (3) self-referral. Inclusion criteria were: (1) Korean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9: (2) BMI >23: (3) viscerally obese: and (4) accessible to a phone and a computer. Participants completed thre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socio-demographic questionnaire (at the baselin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t the baseline and $12^{th}$ week), and Physical Fitness sub-subscale (at the baseline and $12^{th}$ week). Additionally. physiological data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were collected at the baseline and $12^{th}$ week.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wo-way mixed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12.0. Results: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observed. However. students with increased exercise self-efficacy during the program showed better physical fitness in the $12^{th}$ week. When students' physical fitness was enhanced. the physiological factors were improved. Conclusions: Self-efficacy based exercise intervention may be applicable and acceptable to the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replicated study with a larger sample and an elongated intervention period.

  • PDF

긴기저선을 가진 단일층 고온초전도 SQUID 2차미분기 (Long-baseline single-layer 2nd-order $high-T_c$ SQUID gradiometer)

  • 이순걸;강찬석;김인선;김상재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7권1호
    • /
    • pp.6-10
    • /
    • 2005
  • We have studied feasibility of single-layer second-order $high-T_c$ SQUID gradiometers in magnetocardiography. We have measured human cardiomagnetic signals using a short-baseline (5.8 mm) single-layer second-order YBCO gradiometer in partially shielded environments. The gradiometer has an overall size of $17.6\;mm{\times}6\;mm$ and contains three parallel-connected pickup coils which are directly coupled to a step-edge junction SQUID. The gradiometer showed an unshielded gradient noise of $0.84\;pT/cm^2/Hz^{1/2}$ at 1 Hz, which corresponds to an equivalent field noise of $280\;fT/Hz^{1/2}$. The balancing factor was $10^3$. Based on the same design rules as the short-baseline devices, we have studied fabrication of 30 mm-long baseline gradiometers. The devices had an overall size of $70.2\;mm{\times}10.6\;mm$ with each pickup coil of $10\;mm{\times}10\;mm$ in outer size. As Josephson elements we made two types of submicron bridges, which are variable thickness bridge (VTB) and constant thickness bridge (CTB), from $3\;{\mu}m-wide$ and 300 nm-thick YBCO lines with a thin layer of Au on top by using a focused ion beam (FIB) patterning method. VTB was 300 nm wide, 200 nm thick, 30 nm long with Au removed and CTB 100 nm wide and 30 nm long. In temperature-dependent critical currents, $I_c(T)$, VTB showed an nonmetallic barrier-type behavior and CTB an SNS behavior. We believe that those characteristics are ascribed to naturally formed grain boundaries crossing the bridges.

  • PDF

하악 2급 이개부 병변 치료시 비흡수성 차폐막과 혈소판 농축 혈장의 임상적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inical effects of PRP and non-absorbable membrane in the treatment of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s)

  • 김창호;임성빈;정진형;홍기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509-522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wo regenerative techniques for class II furcation involvements in human: a combination of bone grafts with PRP vs. GTR with bone grafts. The e-PTFE group was treated with non-absorbable membrane and bone grafts, the PRP group was treated with PRP and bone grafts Pocket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gingival recession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postoperative 6 months. Vertical and horizontal furcation depth were measured by re-entry surgeries at 6 months post-treatment Both group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signed Ranks Test & Mann-whitney Test using SPSS program (5% significance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of pocket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vertical furcation depth and horizontal furcation depth in both group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6 months than at baseline. (p<0.05) 2. The change of gingival recession in both group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6 months than at baseline. (p<0.05) 3. The change of alveolar crest absorption in both groups was increased at 6 months than at baseline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 change of pocket depth, clinical attachment level, vertical furcation depth and horizontal furcation depth in both group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6 month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or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both groups. 5. The change of gingival recession and alveolar crest absorption in both groups was increased at 6 months,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or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both groups. In conclusion, the use of bone graft with PRP or GTR technique improved clinical index of the soft and hard tissue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involvement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or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ne graft with PRP and GTR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