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year-old Abalon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의 연령에 따른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Viscera with Respect to the Age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영재;박정욱;박인배;신궁원;조영철;고소미;강성국;김정목;김해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49-860
    • /
    • 2009
  • 전복의 생육 단계, 즉 1, 2, 3 및 4년생의 육과 내장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결과를 비교 하였다. 육의 조단백질은 4년생이 $9.83{\pm}0.19%$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은 4년생이 $0.18{\pm}0.02%$로 가장 많았으며, 회분은 1년생이 $2.06{\pm}0.12%$로 2년생의 $1.73{\pm}0.18%$와는 유의적인 차이로 가장 많은 함량 이었다. 그리고 3, 4년생 전복의 탄수화물 함량은 1, 2년생과는 유의적인 차이로 다소 높은 함량 이었다. 육과 내장을 비교하면 육이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이 많고, 내장이 조지방, 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이 높았다. 1년생 전복 육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19,046.00{\pm}548.53\;mg%$로 다른 실험구와 큰 차이로 가장 많았으며, 4년생 전복의 경우는 $15,770.44{\pm}454.19\;mg%$로 가장 적었다. 내장의 구성아미노산 총 함량은 3년 전복 내장이 $16,575.10{\pm}477.37\;mg%$로 가장 많은 함량이고, 1년생이 14,947.26 mg%로 가장 적었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육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3년생 전복이 $4,261.99{\pm}106.55\;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년생이 $4,119.98{\pm}103.00\;mg%$, 2년생이 $3,813.86{\pm}95.34\;mg%$ 및 1년생이 $3,800.81{\pm}95.02\;mg%$ 이었다. 내장의 경우는 1년생 전복의 내장에 $3,011.44{\pm}75.29\;mg%$로 가장 많았고, 4년생이 $2,531.70{\pm}63.29\;mg%$로 가장 적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생육 단계에 따른 전복 육의 포화지방산 함량은 $45.01{\pm}0.81{\sim}48.12{\pm}0.77%$, 단일불포화지방산은 $20.91{\pm}0.40{\sim}22.96{\pm}0.4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은 $29.54{\pm}0.48{\sim}32.03{\pm}0.58%$의 조성 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은 4년생이, 단일불포화지방산과 다가불포화지방산은 2년생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 전복에는 불포화 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콘드로이친황산 함량은 육이 y=1.651x+7.9241이며, R2값은 0.9333으로, 내장이 y=0.4268x+6.3757이고, R2값은 0.9523 으로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육의 콜라겐 함량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 이었는데, y=-53.504x+250.43에 R2값 0.9612로 감소하였고, 내장도 이와 유사하게 1년생이 $98.97{\pm}2.48\;mg/g$에서 y=-22.002x+125.8에 R2값 0.8907의 경향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전복의 다양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Broodstock Age on the Spawning Performance of Cultured Haliotis discus hannai

  • Kim, Byoung-Hak;Kang, Kyoung-Ho;Zhang, Zhi-Feng;Kim, Jae-Min;Kim, Jan-D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10
    • /
    • 2003
  • The effect of broodstock age on the spawning performance of cultur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was assessed for five age groups (3, 4, 5, 6, 7 years old). Spawning performance of the five age groups was assessed in terms of the percentage of spawning abalone, eggs per spawning female, fertilization rates, hatch rates and attachment rates per spawning. The percentage of spawning abalone increased along with broodstock age, reached maximum in female groups of 5- and 6-year age (60%), and in male group of 6-year age (100%), subsequently decreased in 7-year age group. The number of eggs produced per spawning also increased with broodstock age, and the maximum was found in 6-year age. Although the number of spawned eggs for the oldest abalone declined, it still spawned much more eggs than 3, 4, and 5 years old females. The fertilization and hatch rates were obviously larger for 4-6 years old group than the younger and older abalones. The maxima were found in 5-year age group (96.0% and 84.5%), and the minimum were appeared in 7-year age group (79.3% and 58.2%). The attachment rate increased with broodstock age, reached maximum in 6-year age group (33.6%), although the increment gradually declined. The attachment rate for 7-year age group rapidly decreased (16.6%).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roodstock age affected the spawning performance of H. discus hannai, which peaked between 5 and 6 years old, and broodstock should be bred during this period for hatchery production.

  • PDF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내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 (The Effec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on Feeding Rate of 3-year-ol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ing in Net Cage Culture)

  • 김병학;박정준;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3-109
    • /
    • 2016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의 먹이공급비율에 따른 성장 및 생존율을 조사하여, 미역과 다시마등의 천연먹이의 적정 공급율을 제안하여 북방전복 성패의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고자 실시하였다. 먹이공급율은 실험전복 어체중량을 기준으로 일간공급율 (daily feeding rate, DFR) 5, 10, 15, 20% (5 DFR, 10 DFR, 15 DFR, 20 DFR) 를 설정하여, 해상가두리에서 2반복으로 13개월간 실시하였다.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전복 (최초 수용 시 평균각장 $73.77{\pm}11.27mm$) 성장에서 각장과 각폭의 성장율 (growth rate, GR), 일간성장율 (daily growth rate, DGR) 및 특수생장율 (specific growth rate, SGR) 과 체중의 증중률 (weight gain, WG), 일간증중률 (daily weight gain, DWG) 및 특수증중률 (specific weight gain, SWG), 그리고 생존율에서 5 DFR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30%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사육 시 미역, 다시마 등의 생먹이의 일간 공급율은 어체중량의 5-10%에서 공급되는 것이 성장에 유리하지만, 생존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각적 검토가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청주지역 성인의 죽 섭취실태, 선호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uel Intake and Preference of Cheongju Area Adults and Gruel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 윤미자;이미숙;최미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49-460
    • /
    • 200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gruel intake, preference and opinions about gruel development to produce new products for breakfa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7 adults in Chungju city. People who favored gruels were 212(69.5%) and 50.2% of the subjects liked the gruel because of good digestion and absorption. They liked midium thick or thin gruel and also liked grain granules with some stuff as contents. The gruels often taken were abalone gruel(45.9%), pumpkin gruel(41.7%), chicken gruel(34.9%), vegetable gruel(33.6%), beef and mushroom gruel(30.3%) etc. in order. The frequency of gruel intake was 1-2 times/year and 59.6% of subjects got gruels from the special gruel restaurant. People who need gruels most were patients, indigestible person, the elderly, weaning babies, workers and students missing breakfast in order. Sesame taste obtained the highest score of all, that of bitter tas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ver fifty year old people (p<0.05), and hot tast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30-40 year old people (p<0.01). The gruels preferred most were abalone gruel, pumpkin gruel, chicken gruel, beef and mushroom gruel, vegetable gruel, red bean gruel, pine nut gruel, egg gruel, sesame gruel, plain grain gruel etc. in order. Fifty seven percent of subjects wanted to develope new gruels fortified nutrients. In conclusion, when the substitute gruel for breakfast is developed, it is better to use food materials to be easy to digest, to have grain granules with some stuff inside and to be sesame taste.

  • PDF

3년산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해상가두리 양성 시 적정 수용밀도 (Optimum Stocking Density of 3-year-ol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in Net Cage Culture)

  • 이시우;김병학;김태익;손맹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3-101
    • /
    • 2015
  • 본 연구는 3년산 북방전복을 해상가두리에서 1년 동안 수용밀도별로 양식순기에 따라 사육하여 성장 및 생존율 조사를 통해 적정 수용밀도를 구명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수행하였다. 해상가두리 ($2.4{\times}1.2m$) 내 수용밀도는 셀터 단면적 (square meter, $m^2$, sq m) 당 점유율로 15, 30, 45, 60 percentage (= per)/sq m로 설정하여 2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사육기간 동안 수온은 $8.2^{\circ}C-22.1^{\circ}C$, 염분은 평균 $33.5{\pm}0.6psu$, 용존산소는 평균 $7.87{\pm}0.86mg/L$이었다. 월별 각장변화에서는 2014년 5월, 7월부터 10월, 2015년 4월에 15 per/sq m, 30 per/sq m가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각장의 FML, AGR, DGR, SGR과 각폭의 FMB, AGR, DGR은 15 per/sq m와 30 per/sq m는 45 per/sq m, 60 per/sq m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각폭의 SGR에서 60 per/sq m는 모든 실험구 보다 낮았다 (P < 0.05). 중량에 대한 FMW, WG, DWG, SWG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 < 0.05). 생존율에서는 15 per/sq m, 30 per/sq m가 50%이상으로 45 per/sq m, 60 per/sq m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따라서, 본 실험결과 70 mm 이상의 3년산 북방전복의 해상가두리 내 적정 수용밀도는 셀터 총 단면적 기준으로 15 per/sq m ($2.4{\times}2.4m$, 1칸 당 354마리) 가 빠른 성장과 생존율을 위한 적정 수용밀도지만 경제성을 고려할 경우 30 per/sq m ($2.4{\times}2.4m$, 1칸 당 710마리) 수용해야 한다.

고종 24년 진찬의궤 찬문에 대한 분석적 연구 (A Review Study of the Royal Bangquet menu on the 24th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 한복진;황혜성;한복려;김상보;이성우;박혜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59-276
    • /
    • 1991
  • The review of side dishes, oereal dishes and seasonings of the banquet on the 24th year of King Kojong in Chosun Dynast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en kinds of soups(=Tang), that is Yyolguja Tang$.$Guja Tang$.$Keumjung Tang$.$Whanja Tang$.$Jap Tang$.$Gol Tang$.$Seunggiwa Tang$.$Jeopo Tang$.$Haesam Tang$.$Yang Tang were served. The most frequently served soup among them was Yyolguja Tang. 2. Various kinds of dried meat/fish were piled up most highly among dishes. Sliced beef and minced beef among dried meats, white cud$.$yellow cud$.$flatfish$.$skate$.$shark$.$octopus$.$dried abalone$.$cuttle fish$.$dried scallop were piled up together. 3. Sliced of boiled beef/pork and gelatined knuckles were assorted. Boiled meat which was made of beef, pork, lamb, liver, stomach, brisket and plat flank of caw was chiefly used for boiled beef, hams for boiled pork, mediumsized lamb for boiled lamb. And the legs and stomach of caw, old chicken, mullet were used for gelatined knuckle. 4. Three kinds of pan-frying dishes that was stomach and liver of caw, and mullet were usually piled up, If one kind in one dish, sea cucumber and mullet were used respectively. 5. Boiled abalone was dried abalone with soaked, sliced and boiled down in soysauce. 6. Roasted dish was usually made of assorted food stuffs. Sometimes chicken an pheasant was used for roasted dish. 7. Steamed dish was like this : assorted beef, fresh abalone, sea cucumber, mullet, young pork, chicken, dried abalone. 8. Raw dish was made of intestine of caw, fresh abalone and mullet. 9. Poached egg was serving decorated with red pepper, pine-nut and green onion. 10. Seasoned green-been-jelly was served only one time. 11. Radish kimchi was served only one time. 12. Chief foods were nuddle and stuffed bun. 13. Served seasings were honey, mustard, soysauce with vinegar, salt. Review from banquet menu, 34 kinds of side dishes were served : 10 kinds of soup, dried fish/meat, boiled beef, boiled pork, gelatined knuckle, 5 kinds of panfrying, boiled-down-abalone in soysauce, 3 kinds of roast, 5 kinds of steamed, 3 kinds of raw dishes, pouched egg, green-bean-jelly, kimchi. 4 kinds of chief foods were served : nuddle, dry nuddle, 2 kinds of dumping.

  • PDF

다형질 Animal Model에 의한 12개월령 한국산 전북 2 아종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Related Traits in 1-Year Old of Two Korean Abalone Subspecies, Haliotis discus hannai and H. discus discus, by Using Multiple Traits of Animal Model)

  • 최미경;한석중;양상근;원승환;박철지;여인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1-130
    • /
    • 2008
  • 양식 대상 종들에 있어 성장형질에 대한 개량은 선발 육종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아시아에서는 매우 중요한 전복종이 지만 그동안 이들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이들 전복에 대한 선발 육종연구가 신중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12개월 령의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에 대한 다형질 개체모형을 이용하여 유전력, 유전상관 및 표형형상관 등 유전모수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한국산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은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 및 제주연안의 전국 11개소로부터 자연산과 양식산으로 구분하여 수집한 후, DNA 분석에 의한 원거리 유연관계를 기초로 F1세대의 전형매 혹은 반형매군을 각각 생산하고 1년간 사육을 실시하였다. 이중 임의로 추출한 북방전복 26가계(1,509 마리), 둥근전복 6가계(297 마리)에 대해 각장(mm), 각폭(mm) 및 중량(g)에 대해 개체별 측정하고, 유전모수 추정은 성장관련형질인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해 각각 실시하였다. 개체의 성장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효과분석을 위해 animal model에 의한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SAS 통계 프로그램 package(ver. 9.1)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전모수 추정을 위해서는 EL-REML(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를 전산 프로그램화한 REMLF90(Misztal, 2001)을 이용하여 다형질 혼합모형으로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에서 교배 sire와 dam의 자연산 혹은 양식산에 의한 교배타입을 고정효과로 하였다. 분석결과 12개월 령에서의 성장관련 형질은 북방전복에서 평균$\pm$표준편차가 각장 $29.86{\pm}5.89$ mm, 각폭 $20.70{\pm}4.09$ mm 및 중량 $3.47{\pm}2.05$ g, 둥근전복은 각장 $31.80{\pm}6.15$ mm, 각폭 $21.97{\pm}4.13$ mm 및 중량 $4.23{\pm}2.42$ g으로 각각 성장하였다. 12개월 령 북방전복의 유전율은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서 각각 0.43, 0.43, 0.40, 0.19, 0.09로 추정되었다. 12개월 령 둥근전복의 각장, 각폭, 중량, 체형 및 비만도에 대한 유전율은 각각 0.33, 0.26, 0.51, 0.23, 0.10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북방전복과 둥근전복 모두 각장, 각폭 및 중량에서 중고도의 유전율이 추정되어 높은 육종효과가 기대된다. 한편 북방전복과 둥근전복의 성장관련형질에 대한 유전상관은 각장과 각폭, 각장과 중량 및 각폭과 중량 간에 각각 0.92-0.97, 0.96-0.99로 추정되어 두 종 모두에서 형질들 간의 높은 유전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성장관련 형질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선발을 실시하여도 다른 관련형질에 대한 높은 개량효과가 추정되어졌다.

  • PDF

이배체 및 삼배체 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에서 주요 열충격 단백질 유전자들(heat shock protein genes)의 발현 특징 (Expression Pattern of Major Heat Shock Protein Genes in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 박철지;김은정;남윤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15-523
    • /
    • 2020
  • Basal and heat shock-induced mRNA expression patterns of major heat shock protein (HSP) genes, including those encoding heat shock protein (HSP) 90, HSP70, HSP70-12A, heat shock inducible protein 70 (HSIP70), heat shock binding protein 1 (HSPBP1), HSP60, and HSP40 were examined in the gill and hepatopancreas of 1-year-old diploid and triploi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juveniles. Under non-stimulated conditions at 19℃, triploid abalones displayed, in general, higher mRNA levels of various HSPs (HSP70, HSIP70, HSPBP1, HSP70-12A, and HSP60 in the gill and HSIP70, HSPBP1, and HSP60 in the hepatopancreas) than did communally cultured diploids. Conversely, only the hepatopancreatic expression of HSP70-12A was high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However, the fold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an acute thermal challenge (elevation from 19 to 30℃) were generally greater in diploids than in triploids, such that the difference in basal expression was diminished, weakened, or even revers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However, unlike other HSP genes, the basal expression of HSP60 (higher in 3N) was more pronounced after heat shock treatment.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iploid abalones have different capacities for not only basal expression but also the heat-induced expression of HSPs in an HSP member-dependent manner.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계절별 생리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ysiology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reared from Nohwa Island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신윤경;이원찬;김동욱;손맹현;김응오;전제천;김성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1-136
    • /
    • 2012
  • 북방전복의 계절변동에 따른 대사변화 및 에너지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2월 동안 성장, 산소소비율, 암모니아질소배설률, 먹이섭취율 및 동화효율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8-23.2^{\circ}C$, 염분은 31.9-34.1 psu이었다. 북방전복의 각장은 1년산에서 36.3 mm에서 66.1 mm으로, 2년산에서는 60.6 mm에서 66.1 mm으로 성장하였으며, 육중은 각각 3.16 g에서 12.04 g과 15.8 g에서 21.5 g으로 증가하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질소배설률은 수온 상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먹이섭취율은 7월-10월 동안 높았다. 동화효율은 68-71 %으로 연령 및 계절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SFG는 북방전복 1년산은 연중 +값을 보였으며, 2년산의 경우에는 7월을 제외하고 +값을 보여 연중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사기간 동안 수온, 염분 등에 의한 환경적인 영향은 없었다.

동계기간 상업용 배합사료 공급비율에 따른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성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by Commercial Artificial Diet Feeding rate during the Winter Season in Indoor Tank)

  • 김병학;박정준;손맹현;김태익;이시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육상 수조에서 중간 양성 시 공급되는 상업용 북방전복 배합사료를 저수온이 유지되는 동계기간에 공급량을 다르게 할 시 성장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1년생 전복치패 (평균 각장 $29.14{\pm}2.56mm$, 중량 $2.9{\pm}0.6g$) 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구는 총체중에 대한 일일 먹이공급율 (the daily feeding rate about total weight, DFW) 을 각 수조에 수용된 실험전복 치패 (250 마리) 총체중의 0.75%, 1.50%, 2.25%. 3.00%. 3.75%, 4.50%로 공급되도록 총 6개 구간을 설정 (0.75 DFW, 1.50 DFW, 2.25 DFW, 3.00 DFW, 3.75 DFW, 4.5 DFW) 하였으며, 실험구는 모두 2반복으로 실시되었다. 실험기간인 동계기간에 평균수온은 $9.7{\pm}3.27^{\circ}C$이었으며. 월별 각장과 각장 성장률 (AGRSL) 및 순간성장률 (SGRSL) 은 1월에는 1.50 DFW 와 2.25 DFW, 3.75 DFW 가 0.75 DFW, 3.00 DFW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P < 0.05), 월별 체중변화 3월에 3.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월별 중중률변화에서는 3.75 DFW 가 실험구보다 0.75 DFW 와 1.50 DFW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5). 열단위성장계수 (TGC) 에서는 1월부터 급격히 낮아졌으며, 3.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1월에는 3.75 DFW 가 0.75 DFW, 1.50 DFW 보다 높았으며 (P < 0.05),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2월에는 3.75 DFW 가 2.25 DFW, 4.50 DFW 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P < 0.05), 3월에는 3.75 DFW 가 4.50 DFW 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보다 높았다 (P < 0.05). 월별 사료효율에서는 12월에 0.75 DFW 가 모든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 < 0.05), 이후 1월을 제외한 2월과 3월에는 모든 실험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방전복 치패를 육상수조에서 동계기간 내 사육 시 상업용 배합사료는 일정량 이상을 공급하는 것이 육중량을 유지 또는 일부 증가시킬 수 있으며, 향후 동계기간의 사료공급율에 따른 육중량의 변화가 수온상승기에 가져올 수 있는 성장 변화를 연결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