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O-methyl glucos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7초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e Flowers of Hamamelis japonica Sieb. et Zucc.

  • Yim, Soon-Ho;Lee, Young Ju;Park, Ki Deok;Lee, Ik-Soo;Shin, Boo Ahn;Jung, Da-Woon;Williams, Darren R.;Kim, Hyun J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162-169
    • /
    • 2015
  • Hamamelis japonica (Hamamelidaceae), widely known as Japanese witch hazel, is a deciduous flowering shrub that produces compact clumps of yellow or orange-red flowers with long and thin petals. As a part of our ongoing search for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is plant, eleven phenolic constituents including six flavonol glycosides, a chalcone glycoside, two coumaroyl flavonol glycosides and two galloylated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s. Their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methyl gallate (1), myricitrin (2), hyperoside (3), isoquercitrin (4), quercitrin (5), spiraeoside (6), kaempferol 4'-O-β-glucopyranoside (7), chalcononaringenin 2'-O-β-glucopyranoside (8), trans-tiliroside (9), cis-tiliroside (10), and pentagalloyl-O-β-D-glucose (11), respectively. Thes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studies including the on-line LCNMR-MS and conventional NMR techniques. Particularly, directly coupled LC-NMR-MS afforded sufficient structural information rapidly to identify three flavonol glycosides (2 - 4) with the same molecular weight in an extract of Hamamelis japonica flowers without laborious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step. Cytotoxic effects of all the isolated phenolic compounds were evaluated o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pentagalloyl-O-β-D-glucose (1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tent in inhibiting cancer cell growth.

규칙적인 운동부하가 Streptozotocin 투여 흰쥐 골격근의 당섭취와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gular Physical Exercise on Glucose Uptake in Soleus and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in Streptoztocin Diabetic Rats)

  • 전명흡;김용운;김종연;이영만;이석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21-129
    • /
    • 1992
  • STZ투여 전후 2주씩 4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부하가 당뇨흰쥐의 골격근 당섭취와 당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soleus근의 당섭취를 시험관에서 $^3H$-3-O-methyl-glucose의 섭취로 추적하였으며 정맥으로 당을 부하 (0.5g/kg BW)하여 당내성을 평가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STZ의 투여로 대조군에 비하여 공복시 혈당과 유리지방산이 증가하고 인슐린 농도, soleus근의 당섭취, 인슐린에 대한 예민도와 반응도, 및 근 glycogen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내당능이 저하하였다. STZ 투여 흰쥐에서 4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한 변화로 안정군에 비하여 공복시 혈당이 감소하고 soleus근의 당섭취와 인슐린에 대한 반응도 및 근glycogen 의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인슐린 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당내성은 개선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보아 4주간의 운동은 STZ 투여후 당뇨 흰쥐 발생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골격근의 인슐린 반응도는 향상시켰으며 공복시 혈당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저하된 내당능은 골격근의 인슐린 반응도가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rapefruit 종자추출물이 Enterobacter pyrinus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Enterobacter pyrinus)

  • 이태호;정숙정;이상열;김재원;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85-990
    • /
    • 1995
  • Grapefruit 종자추출물(GFSE)에는 박테리아와 곰팡이류들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배나무에 병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pyrinus도 GFSE를 가하여 준 배지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대조군이 stationary phase로 접어든 배양 20시간까지 GFSE의 최종 농도가 0.01%를 함유한 배지에서 E. pyrinus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였다. 항균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GFSE를 용매추출하여 친수성 분획과 소수성 분획으로 나누었을 때 억제 효과는 소수성 분획에서 관찰되었다. GFSE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몇가지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본 결과, hexokin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와 succinate dehydrogenase 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eta}-galactosidase$의 인위적 기질인 ONPG의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GFSE는 세포막에 영향을 끼침을 관찰하였다. GFSE의 항균 성분을 분리 확인하기 위해서 HPLC $C_{18}$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하여 5개의 peak를 얻었으며, 이중 1개의 분획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검출하였다. 이 분획을 GC-Mass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chloro-2-methyl-benzene (o-toluene), N,N-dimethyl-benzenemethaneamine, 1-[2-(2-ethylethoxy)ethoxy]-4- (1,1,3,3-tetramethyl)-bezene 이외에 분획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개의 물질을 포함하여, 확인하지 못한 3개의 물질이 있음을 알았으며, GFSE의 항균활성을 보이는 성분은 새로운 물질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Inhibitory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s on Hypoxia-induced Dysfunction and Injuries of Cultured Astrocytes

  • Seong, Yeon-Hee;Kim, Hack-Sea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03-109
    • /
    • 1997
  • The effects of ginseng total saponins (GTS) on hypoxic damage of primary cultures of astrocytes were studied. Hypoxia was created by placing cultures in an air tight chamber that was flushed with 95% $N_2/5%CO_2$ for 15 min before being sealed. Cultures showed evidence of significant cell injury after 24 h of hypoxia (increased lactate dehydrogenase (LDH) content in the culture medium, cell swelling and decreased glutamate uptake and protein content). Addition of GTS (0.1, 0.3 mg/ml) to the cultures during the exposure to hypoxic conditions produced dose-dependent inhibition of the LDH efflux. GTS (0.1, 0.3 mg/ml) also produced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increased cell volume of astrocytes measured by $[^3H]$ O-methyl-D-glucose uptake under the hypoxic conditions. Decreased glutamate uptake and protein content was inhibited by GTS. These data suggest that GTS prevents astrocytic cell injury induced by severe hypoxia in vitro.

  • PDF

주목세포 배양에 의한 (10-Deacetyl) Baccatin III 생산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10-Deacetyl) Baccatin III in Cell Cultures of Taxus baccata Pendula)

  • 유병삼;문원종;김진;김동일;변상요
    • KSBB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74-180
    • /
    • 1998
  • 유럽주목(Taxus baccata Pendula)현탁 세포 배양에서(10-deacetyl) baccatin III 생산을 증진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높은 초기 당 농도가(10-deacetyl) baccain III 생산을 증진시키는 연구를 하였다. 6% 의 초기 포도당과 자당의 경우 1O-deacetyl baccatin III 생산을 각각 3.배와 2.5배씩 증가시켰다. Baccain III도 초기 포도당 8%에서,초기 자당 6%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일리시터로서 methyl jasmonate는(10-deacetyl) baccatin III 의 생성은 $50{\mu}$M에서 최대치를 보였는데 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4.5배 증가한 값이었다.Baccatin III 의 경우 methyl jasmonate $100{\mu}$M에서 생성된 Baccatin III 최대치는 대조구에 비하여 7.배 증가한 값이었다. Methyl jasmonate elicitation 에 의한(1O-deacetyl) baccatin III.과 각 taxane의 시간별 생성 경향을 보면 baccatin III와 10-deacetyl baccatin III는 투여 후 1일 까지 생성이 증가하다 그 후부터 감소하였고, paclitaxel, 10-deacetyl taxol 및 cephalomanine 의 생성이 이어졌다. (10-deacetyI) baccatin III의 생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구 물질을 투여하였다. Benzoic acid를 $500{\mu}M$로 투여 하였을 때 10-deacetyl baccatin III 및 baccatin III의 생산은 대조구의 비하여 각각 10배와 13배 증가 하였다. Lysine도 $500{\mu}M$로 투여하였을 때 baccatin III 의 생성량을 대조구 보다 8배 증가시켰다. 증가시켰다.

  • PDF

대두발효식품 Cerebroside의 구성성분 분석 및 비교 (Analysis and Comparison of Cerebroside Component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 이은열;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183
    • /
    • 2002
  • 대두 및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과 된장의 cerebroside 구성성분인 지방산, 당 및 장쇄 sphingoid base들을 GC-MS로 분석하였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지방산들을 O-TMS methylester 유도체로 만들어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의 경우 2-hydroxyhexadecanoic acid(16 : 0h)가 각각 52.2% 및 62.0%로 가장 많았고 2-hydroxydocosanoic acid(22 : 0h) 및 2-hydroxytetracosanoic acid(24 : 0h)도 15.0~17.6%이었다. 그러나 된장의 경우 16 : 0h는 10.2%로 많은 감소를 보인 반면 24 : 0h는 40.9%, 22 : 0h는 23.4% 었으며 23 : 0h, 25 : 0h 및 26 : 0h도 대두 및 청국장에 비하여 많았다. Cerebroside 산-가수분해물의 장쇄 sphingoid base들은 N-acetyl-O-TMS 유도체로 분석하였으며 대두 및 청국장에서 4- trans, 8-trans-sphingadienine (d18 : 2 $\Delta$$^{4trans, 8trans}$) 는 59.9% 및 44.5%이었으며 4-hydroxy-8-trans, cis-sphingening (t18 : 1$\Delta$$^{8trans or cis}$)는 20.9% 및 35.9% 이었고 된장 cerebroside 역시 dl8 : 2$\Delta$$^{4trans, 8trans}$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phytosphingosine(t18 : 0) 및 sphingosine 이 성질체(d18 : 1)들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또한 된장의 경우 오랜 기간 미생물들에 의하여 발효되었지만 Aspergillus 속들의 cerebroside가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2-hydroxyoxtadec-3-enoic acid(18 : 1h) 및 9-methyl-4,8-sphingadienine 등은 발견되지 않았다. 대두, 청국장 및 된장 cerebroside의 당유도체 mass spectrum 분석 결과 99%이상이 glucose 1번 탄소가 ceramide backbone에 결합된 monoglucocerebroside 인 것으로 나타났다.

Diazinon을 투여한 rats에 있어서 간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pathological Effects of Diazinon in Rat Liver)

  • 홍사욱;권영일;정규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8권1_2호
    • /
    • pp.19-29
    • /
    • 1993
  • The toxicity and histopathologic changes of diazinon (O, O-diethy-O-(2-isopropyl-6-methyl-4-pyrimidinyl)phosphorothioate) was investigated in rat. Rat was treated with diazinon (100 mg/kg/day) by oral administration for 12 day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ALT, AST, LDH and glucose in seru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such as Hb, Hct and PLT in blood were slightly increased in treated groups. Also the activities of serum cholinesterase were ver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reated groups. In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the normal lobular architectural pattern of the liver was well preserved in all treated groups. However, vacuolation or fatty change were represent in hepatocytes. Sections of liver from rats treated with diazinon for 3 and 6 days contained slight lipid infiltration in the form of small droplets randomly distributed that were graded minimal (+) or moderate (++) compared with the respective control condition. After 9 days, there were numerous small and large vacuoles in the terminal hepatic venule and perilobular areas of many serial sections of these rats indicative of fatty infiltration which were graded moderate (++) and severe (+++). After 12 days, fatty infiltration progressed periportal tract areas and graded severe (+++) and very severe (++++) in experimental groups. Note absence of cellular necrosis or inflammation.

  • PDF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 동정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Burnt Beef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Extrusion)

  • 김기원;서원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1-627
    • /
    • 2006
  •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휘발성 성분 및 aroma-active화합물을 SDE-GC-MS-O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VP에 ribose, cysteine, furaneol, thiamin, methionine, 마늘 분말 및 인지질 등의 전구문질을 넣고 최적 압출성형 조건인 $160^{\circ}C$, 스크루 속도 45 rpm 및 윈료공급 속도 38 kg/hr에서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모두 68개 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숫자는 furaneol을 빼고 압출성형 시킨 반응향과 HVP만 압출성형 시킨 시료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GC-O결과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27개의 aroma-active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al과 2-methyl-3-furanthiol이 가장 중요한 aroma-active화합물로 밝혀졌다. Furaneol이 구운 쇠고기 반응향 생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Biological Synthesis of Baicalein Derivatives Using Escherichia coli

  • Han, Da Hye;Lee, Youngshim;Ahn, Joo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1호
    • /
    • pp.1918-1923
    • /
    • 2016
  • Two baicalein derivatives, baicalin and oroxylin A, were synthesized in this study. These derivatives exhibit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xiolytic and anticancer activities as well as memory enhancement. In order to synthesize baicalin from aglycon baicalein using Escherichia coli, we utilized a glycosyltransferase that regioselectively transfers glucuronic acid from UDP-glucuronic acid to the 7-hydroxy group of baicalein. To increase baicalin productivity, an araA deletion E. coli mutant, which accumulates UDP-glucuronic acid, was used, and ugd, which converts UDP-glucose to UDP-glucuronic acid, was overexpressed. Using these strategies, approximately $720.3{\mu}M$ baicalin was synthesized from $1,000{\mu}M$ baicalein. Oroxylin A was then synthesized from baicalein. Two O-methyltransferases (OMTs), ROMT-15 and POMT-9, were tested to examine the production of oroxylin A from baicalein. E. coli harboring ROMT-15 and E. coli harboring POMT-9 produced reaction products that had different retention times, indicating that they are methylated at different positions; the structure of the reaction product from POMT-9 was consistent with oroxylin A, whereas that from ROMT-15 was 7-O-methyl baicalein. Using E. coli harboring POMT-9, approximately 50.3 mg/l of oroxylin A ($177{\mu}M$) was synthesized from 54 mg/l baicalein ($200{\mu}M$).

발효에 의한 라이신(L-Lysine) 생산에 관한 연구 (2) -영양요구성 변이주에 의한 Lysine 생산-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Lysine by Fermentation Process (2) -Lysine Production by Auxotrophs-)

  • 민태익;김항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33
    • /
    • 1972
  • 전보에서 분리 확보한 lysine 생산균주 Corynebacterium sp. S-27-12와 Brevibacterium flavum ATCC 15168 및 Micrococcus glutamicus ATCC 13032를 친주로 하여 자외선, $Co^{60}$및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treatment를 처리, 90여주의 변이주를 분리하고 이들의 lysine 생산능을 비교하여 lysine 생산이 8mg/ml 이상인 균주 6주를 선정하였다. 이들 중 leucine 요구주 Brev. flavum U46-N59의 lysine 축적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종합하여 포도당 100, urea 10, CSL 40, $KH_2PO_4\;2;\;K_2HPO_4,\;0.5;\;MgSO_4.\;7H_2O,\;0.4;\;antifoam\;S-57,\;1g;\;Fe_2(SO_4)_3.XH-2O,\;10;\;MnCl_2,\;4H_2O,\;10mg;\;biotin,\;30;\;thiamine-HCl,\;100{\mu}g;$ 증류수 1 l로 된 pH7.5의 합성배지에 Brev. flavum U46-N59를 $28^{\circ}C$에서 4일간 플라스크(20ml/500ml)에 진탕배양했을때(180진탕/분) 최대로 21.6mg/ml의 lysine을 생산하였다. Penicilin은 40U/ml의 농도가 되도록 배양 36시간 후에 첨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