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 T

검색결과 44,260건 처리시간 0.058초

잎새버섯 병재배 시 배지조성비율에 따른 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rates of substrate composition in bottle cultivation of Grifola frondosa)

  • 전대훈;김정한;이윤혜;최종인;지정현;홍혜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1-304
    • /
    • 2015
  • 본 연구는 잎새버섯 병 재배시 적합한 배지조성비율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배지조성은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를 건물중량 비율로 T1처리(67:11:22), T2처리(68:15:17), T3처리(74:14:12)의 3처리를 두고 시험한 결과, 발이율은 T1처리에서 72.6%, T2처리에서 72.1%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65.8%로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이병률은 T2처리에서 4.1%, T3처리에서 3.7%인데 비하여 T1처리에서는 9.8%로 가장 높았다. 수확률은 T1처리에서 64.1%, T3처리에서 63.6%인데 비하여 T2처리에서는 70.5%로 가장 높았다. 병당 자실체 중량은 T1처리에서 85.5 g, T2처리에서 83.3 g으로 두 처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T3처리에서는 72.4 g으로 다른 두 처리에 비하여 낮았다. 입병 수 10,000병 기준으로 재배 시 수량은 T2처리에서 587 kg으로 T1처리 및 T3처리에 비하여 각각 7% 및 28%가 높았다. 따라서 잎새버섯 병재배 시 적합한 배지조성비율은 건조중량비율로 참나무톱밥: 옥수수피: 건비지가 68:15:17인 것으로 나타났다.

木瓜片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Texture 특성 (Texture Characteristics of Mokwapyun as affected by Ingredients)

  • 이지연;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6-393
    • /
    • 1994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most favorable recipe for Mokwapyun. The ingredients were changed in a variety aspects. The kind and amount of sugar and starch are following: white sugar, brown sugar, honey(4T, 5T); white sugar and honey, brown sugar and honey(2T+2T, 3T+1T, 3T+2T). There are potato starch and mungbean starch. In this, the amount of starch to water are 4t to 3t and 5t to 3t. The moisture content of Mokwa was 76.2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41~50%, and the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38~47%. The pH of Mokwa juice was 3.15~3.43. The brix of Mokwa juice was 5.3%, and that of Mokwapyun made of potato starch was 43.1~45.9%, and the Mokwapyun made of mungbean starch was 40.1~46.5%. Mokwapyun tasted the best when it was made of potato starch(starch to water=4t to 3t) mixed white sugar(3T) and honey(1) than that of made of one kind of sugar, and was higer evaluated the texture.

  • PDF

삼겹살기름의 섭취가 흰쥐의 혈액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eeding Belly Fat on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 박병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9-197
    • /
    • 2004
  • 본 실험은 삼겹살 기름의 섭취가 흰쥐의 혈액 지질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흰쥐식이에 옥수수기름을 5% 첨가하여 급여한 처리구(대조구), 상업용 돼지기름으로서 정제된 라드를 5% 혼합 급여한 처리구(T1), 삼겹살 기름을 5% 첨가 급여한 처리구(T2), 삼겹살 기름을 10% 첨가 급여한 처리구(T3) 및 옥수수기름 5% 첨가 급여구(대조구)와 삼겹살 기름 10% 첨가 급여구(T3)를 각각 3일씩 교체 급여한 처리구(T4)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서 각각 6반복씩 완전임의 배치한 후 30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처리구간에 일정 한 차이가 없었으며, 증체량에 있어서는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혈액 중성지방은 T3가 나머지 네 급여구에 비해서 높았으며 대조구와 비교할 때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할수록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혈액 총 콜레스테롤은 T3가 가장 높았고 T1, T2, T4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삼겹살기름 첨가구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p<0.05). 혈액 HDLㆍC 함량은 T2와 T3가 가장 낮은 경향을 보여줬으나 T1, T2, T3, T4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비교할 때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할수록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줬다(p<0.05). 혈액 LDLㆍC와 Al는 T3가 가장 높았고, T1, T2, T4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와 삼겹살 기름 첨가구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출혈시간은 삼겹살 기름을 첨가 급여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T3가 가장 짧았고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전혈 응고시간은 T3가 가장 단축되었고 삼겹살 기름을 첨가급여 할수록 단축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돼지고기 삼겹살의 잦은 섭취 또는 과잉섭취가 혈액 내 중성지방과 유해 콜레스테롤 함량을 높여줌으로서 혈전 형성을 가속화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삼겹살 기름에 함유되어 있는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데 기인함을 시사해 준다.

민들레 추출액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y with Dandelion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영준;박현숙;이재상;박경숙;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3-430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delion leaf, root and whole part extrac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stored at $4^{\circ}C$ for 10 days. Four types of pork patties were evaluated: ice-water-added (T0), dandelion leaf extract (T1), dandelion root extract (T2) and dandelion whole part extract (T3). The pH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but increased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pH was highest in T0 during storage. The L value of T0 increased whereas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The a value de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a values for T1, T2 and T3 were higher than that of T0 during storage. The b value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The TBARS increased with a longer storage period, and the values for T0, T1, T2 and T3 were 0.87, 0.29, 0.47 and 0.31 mg MA/kg, respectively, after 10 days of storage. The VBN content value of T0 in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0 decreased, but those of T1, T2 and T3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storage. Cooking loss increased during storage and that of T0 was higher than those of T1, T2 and T3.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hil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creased during storage.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II) (Marine Terrace of Daebo-Guryongpo-Gampo, SE Korea(II))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2호
    • /
    • pp.245-253
    • /
    • 2004
  • 우리나라 남동해안의 대보-감포간 해안단구는 6개의 단구면으로 분류되며 이들은 각각 하위로부터 1단구(T1,0.5m), 2단구(T2, 10m), 3단구(T3, 30m), 4단구(T4, 40m), 5단구(T5, 60m), 6단구(T6, 75m)이다. 이가운데 3단구(T3)는 두개의 단구로 분류되며, 하위면을 T3b, 상위면을 T3a 정하였다. 3단구 하위면 (T3b)의 구정선을 보여주는 해식애의 발달이 뚜렷하지 않아 단구 세분이 어려운 곳은 통합하여 3단구(T3)로 정하였다. 단구형성시기를 직접적으로 지시해주는 화석은 없으나, 2단구의 퇴적층에서 OSL 연대 자료가 다량 도출되어 있으며, 이 자료를 통하여 단구 형성시기를 정할 수 있다. 2단구(T2) 퇴적층의 OSL 연대는 60-7Oka에 수렴하고 있어, 2단구의 형성시기는 MIS(산소동위원소에 의한 시대 분류)의 5a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3단구는 MIS 5e, 4단구는 MIS 7에 대비된다. 본 연구지역에서 MIS 5e인 3단구 상위면(T3a)은 현해수면으로부터 30m높게 융기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지역의 융기율은 약 0.19m/ka로 계산된다. 이와 같은 융기율은 국지적인 지구조운동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난황 경구투여가 랫드의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Egg Yolk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s)

  • 방한태;황보종;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5-264
    • /
    • 2014
  • 본 연구는 계란 난황을 경구투여 한 랫드에서 혈액 지질감소에 관한 생화학적 대사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36마리의 Sprague Dawley 숫컷 랫드를 4처리구 3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6주 동안 동일한 정제고형식이를 급여하면서 매일 한번 씩 난황을 경구투여 하였다. 대조군(C; 생리식염수 1.0 g), T1(삼겹살 기름 1.0 g), T2(난황 1.0 g), T3(삼겹살 기름 1.0g 과 난황 1.0 g을 각각 1주일씩 교체 투여군)으로 구분하였다. 일일평균 증체량은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C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T1이 가장 높았고 C, T3, T2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HDL-C는 T2가 가장 높았고 C, T3, T1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LDL-C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T2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간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 AST, ALT는 T1에서 가장 높았고 T2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복강지방을 제외한 간, 비장, 신장의 무게는 각 처리구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복강지방은 T1이 가장 높았으나 C, T2, T3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HMG-CoA reductase activity는 T1이 가장 높았고 T3, C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며 T2는 가장 낮았다. 분을 통하여 배설되는 일일 총스테롤, 중성스테롤, 산성스테롤의 배설량은 T2가 가장 높았으나 T1은 가장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계란의 섭취가 동물의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활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분을 통한 스테롤의 배설을 촉진시켜줌으로써 혈액 지질을 낮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포도과피를 첨가한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Grape Peel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최강원;이종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41-1048
    • /
    • 2016
  • 본 연구는 포도과피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 68%, 돼지지방 20%, 소금 2%, 냉수 10%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포도과피 0.3% 첨가한 T1, 0.7% 첨가한 T2 그리고 1.0%를 첨가한 T3 등 네 종류의 분쇄돈육을 제조하였다. 분쇄돈육의 pH는 냉장 중 높아졌으며, T3의 pH가 가장 낮았다(p<0.05). 명도(L-value)와 적색도(a-value)는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T2 및 T3의 적색도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그리고 황색도(b-value)는 T0 및 T1의 경우 냉장 중 증가하였지만 T2 및 T3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05). TBARS는 냉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냉장 중 감소하였으며,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VBN함량은 냉장 중 T0 및 T1은 증가하였지만 T2 및 T3는 변화가 없었다(p<0.05). 보수력은 냉장 4일째 감소하였으며(p<0.05), 냉장 중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가열감량과 경도는 냉장 4일째 증가하였으며(p<0.05), 냉장 중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저작성은 냉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시료들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포도과피는 분쇄돈육의 품질유지와 산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갑상선 중증 질환에서 혈청 $fT_3$$rT_3$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Serum $fT_3\;and\;rT_3$ Concentration in Nonthyroidal Critical Illness)

  • 이종화;김주옥;유철재;문윤성;신영태;노흥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3-111
    • /
    • 1985
  • Recently changes in thyroid physiology during acute and chronic medical illness were demonstrated. The serum $fT_3,\;rT_3,\;T_4,\;T_3,\;fT_4$, and TSH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method in 49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and 10 normal subjects to assess the change of thyroid function in critical ill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erum $fT_3$ concentration was $6.68{\pm}1.05pmol/ml$ in normal subjects while in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the serum $fT_3$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ed to $1.55{\pm}1.15pmol/ml$(p<0.001). 2) The mean serum $rT_3$ concentration was $0.22{\pm}0.44ng/ml$ in normal subjects and $0.42{\pm}0.37ng/ml$ in patient with critical illness. There was incre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as compared to normal subject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The mean serum $T_3$ concentration was $1.24{\pm}0.25ng/ml$ in normal subjects and $0.56{\pm}0.56ng/ml$ in patients with criticial illnes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other(p<0.005). 4) The mean serum $T_4,\;fT_4$, and TSH concentrations were $7.80{\pm}1.02{\mu}g/dl,\;1.26{\pm}0.39ng/dl,\;1.87{\pm}0.45{\mu}U/ml$ in normal subjects respectively and $6.02{\pm}3.06{\mu}g/dl,\;1.46{\pm}0.80ng/dl,\;1.74{\pm}0.79{\mu}U/ml$ in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ritically ill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5) The ratio of mean serum concentration of $fT_3$ and $rT_3(fT_3/rT_3)$, $30.42{\pm}5.58$ in normal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p<0.005) than the coresponding patients with critical illness. 6) The mean serum $fT_3$ concentration in expired cases(n=12) during admiss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ired and survived cases(p<0.005). The mean serum $rT_3$ centration was $0.67{\pm}0.58ng/ml$ in expired cases and $0.34{\pm}0.22ng/ml$ in survived cas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p<0.005). Half of the cases who showed less than $3{\mu}g/dl$ of serum $T_4$ level were expired.

  • PDF

Effect of Protein Deprivation on Subsequent Efficiency of Dietary Protein Utilization in Finishing Pigs

  • Whang, K.Y.;Donovan, S.M.;Easter,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59-665
    • /
    • 2000
  • A nitrogen (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N deprivation on subsequent N retention, blood urea nitrogen (BUN) and IGF-I levels and the ratio of IGF binding protein (IGFBP)-3 to IGFBP-l and -2. Pigs in treatment (T) 1 were given diet A (2.39% N) and those in T2 and T3 were given diet B (1.31% N) and excreta were collected (period 1 (P1)). Pigs in T1 continued to receive diet A while diets for T2 and T3 were changed to diets A and C (2.74% N), respectively. The excreta were collected for two more periods (P2 and P3). During P1, pigs in T2 and T3 retained 50% less N (p<0.001) than those in T1. However, pigs provided T2 (p<0.01) and T3 (p<0.05) retained more N than those assigned to T1 during P2. Pigs in T3 tended to retain more (p=0.10) N than those receiving T2 for the same period. The BUN values were lower (p<0.05) for pigs assigned to T2 and T3 than T1 during P1 and P2. Both IGF-I and IGFBP ratios of pigs assigned to T1 were higher (p<0.05) than those given T2 and T3 during P1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during P2 and P3.

Comparative Evaluation between 1.5T vs 3.0T MRI in Brain Metastasis According to its Size

  • 정우석;정태섭;허진;이재훈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3년도 제8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22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tection rate of brain metastasis according to size of nodule between 1.5T and 3.0T MRI 대상 및 방법: We reviewed 44 patients with primary tumors and clinical symptoms suggesting brain metastasis. After administration of double dose gadolinium-DTPA, MR imaging was performed with 3D SPGR sequence by 3.0T MRI and then with T1 SE sequence by 1.5T MRI. Consequently, comparison was done in 1.5T T1 SE sequence and 3.0T 3D SPGR sequence. With use of the signal intensity (SI) measurements in the metastatic nodules and adjacent tissue, metastatic nodule-to-adjacent tissue SI ratio were calculated. In each patient, the number of metastatic lesions detected in 1.5T and 3.0T, and their size were assessed qualitatively by three blinded read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