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효과

Search Result 2,62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ntelligent Shape Analysis Using Multi-sensory Interaction (다중 감각 인터랙션을 이용한 지능형 형상 분석)

  • Kim, Jeong-Sik;Kim, Hyun-Joong;Choi, S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39-14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햅틱 피드백과 스테레오 비쥬얼 큐를 혼합한 다중 감각 기반의 지능형 3차원 형상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지능형 형상 분석 방법은 3차원 모델의 구조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의료 분야에 사용될 경우 전문가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질병 진단 및 치료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RI나 CT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3차원 매개변수형 모델을 이용하여 유사 모델 집단을 대표하는 통계 형상을 구축한 후, SVM (Support Vector Machine)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두 집단간 형상 차이를 분석한다. 3차원 형상에 대한 신속한 시각적 이해와 직관적 조작감은 물체 표면의 형상 변화를 분석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체 조작 및 관찰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햅틱 피드백과 스테레오 비쥬얼 큐를 혼합한 인터랙션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감과 깊이감을 향상시켜 형상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마, 관상 동맥, 뇌와 같은 인체 장기를 실험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안한 SVM 기반의 분석 방법과 인터랙션 환경의 성능을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 구현한 SVM 기반 이진 분류기는 두 집단간 형상 차이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며, 또한 다중 감각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분석 결과를 관찰하고 카메라 및 형상을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데 도움을 준다.

  • PDF

3차원 설계 프로세스의 경영 효과 분석

  • 이근우;이석희;신동찬;김왕도
    • CDE review
    • /
    • v.3 no.2
    • /
    • pp.45-51
    • /
    • 1997
  • 당 사의 카메라 사업부에서는 2배줌 및 3배줌 카메라 각각 1개 기종씩 2개 기종의 카메라를 동시 개발하는 카메라 개발 프로젝트에 3차원 설계 프로세스를 도입하여 납기 및 품질 측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당 사는 95년 5월부터 3차원 CAD/CAM 시스템을 도입하여 카메라 1개 기종을 개발 완료하였고, 이 때 발생했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여 금번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본 프로젝트의 특징을 간략하게 서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카메라의 Body, Finder Ass'y 등 공용화 가능한 주요 부품들을 공용화하여 2배줌 및 3배줌 카메라 두개 기종을 동시에 설계 진행하였다. 2) Layout 설계 단계에서부터 3차원 CAD 시스템을 사용하여 완전한 Top-Down 설계방법 및 팀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3) 사내 금형설계 및 가공 부문에서 제작되어야 할 핵심 부품의 경우 3차원 CAD/CAM 시스템을 일괄 적용하여 개발설계에서부터 가공까지 일원화된 3차원 CAD 데이터를 활용하는 시스템 체계를 적용하였다.

  • PDF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reentrant wave propagation in three-dimensional cardiac tissue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회귀성 파동에 대한 수치적 해석)

  • Kim, Hun-Young;Leem, Chae-Hun;Shim, Eun-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4.11a
    • /
    • pp.57-6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회귀성파동에 대한 수치적 해석결과를 제시한다. 심근 조직에서의 회귀성파동은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심근세포 이온채널 또는 전기전도시스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소들이 관련된 복합적 현상으로 생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전기생리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바 있으며, 주로 동물 심근세포모델에 기반으로 균일한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에서의 전기전도 현상 해석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심장조직의 경우, 두께를 가진 3차원적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층을 따라서 전기생리학적으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 세포들로 구성된다. 즉 심근은 층을 가로질러 Epi-cardiac, mid-cardiac, endo-cardiac cell들로 구성되며 각기 다른 APD(action potential duration)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가지 종류의 인체 심근세포모델을 사용한 3차원 심근조직에서의 활동전위 전도현상에 대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인체 3가지 종류의 심근세포 모델을 구현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3차원 조직모델을 구현하는데, simplified bidomain방법을 사용하였다. 3차원 공간상에서 심근세포에 의한 활동전위 전달현상을 해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법을 도입한다. 최종적으로는 3가지의 심근세포층을 가진 3차원 심근조직을 구성하고, 여기에 회귀성 파동을 유도한다. 그리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3차원조직에서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다세포층에 의한 불균일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Compression of 3D color integral images using 2D referencing technique (2차원 참조 기법을 이용한 3D 컬러 집적 영상의 압축)

  • Kim, Jong-Ho;Yoo, Ho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2
    • /
    • pp.2693-2700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compression method to utilize the 3D integral image with large amount of data obtained by a lens array in various applications. The conventional compression methods for still images exhibit low performance in terms of coding efficiency and visual quality, since they cannot remov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l images. In the moving picture compression methods, 1D scanning techniques that produce a sequence of elemental images are not enough to remove the directional correlation between elemental images.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sequences the elemental images from an integral image by the 2D referencing technique and compresses them using the multi-frame referencing of H.264/AVC. The proposed 2D referencing technique selects the optimal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vertical, horizontal, and diagonal correlation between elemental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mpression with the sequence of elemental images presents better coding efficiency than that of still image compression. Moreover, the proposed 2D referencing technique is superior to the 1D scanning methods in terms of the objective performance and visual quality.

Generation of 3D Noise Maps using a City Spatial Model (도시공간모델을 이용한 3차원 소음지도의 생성)

  • Oh, So-Jung;Kim, Seong-Joon;Choi, Kyoung-Ah;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87-390
    • /
    • 2008
  • 소음지도는 공간의 소음값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여 GIS 데이터에 소음분석결과값을 RGB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 현재의 GIS는 2차원 데이터이므로 3차원 소음분석결과값을 표현하고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효과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음분석결과값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3차원 소음지도를 제작하고자 한다. 3차원 소음지도는 도시공간모델의 지형과 건물을 각각 소음분석결과값을 이용하여 texturing하여 가시화한 후 통합하여 완성한다. 지형의 경우, 지형의 기하학적 가시화완 지형의 texturing의 두 단계를 거쳐 완성하고 건물의 경우, 건물의 기하학적 3차원 가시화와 건물의 texturing의 두 단계를 거쳐 생성한다. 건물과 지형의 texturing의 단계에서 texture file은 소음분석결과값을 RGB코드로 변환하여 jpg파일로 생성한다. 생성된 3차원 소음지도는 영등포구 전체 영역을 대상지로 하였고 web기반의 VRML파일이다. 가시화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영등포구 영역을 $200m{\times}200m$로 구역을 설정 607개의 구역으로 나누어 가시화하였다. 도시공간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소음지도를 제작함으로써 도시공간모델을 이용하는 응용분야에서 3차원 공간분석의 가시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공간 문제들의 결과를 사용자들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Extraction Vertex on 3-D Object using 3-D Curvature (3차원 곡률을 이용한 3차원물체의 정점 추출)

  • Yun, Hyeong-Ta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3 no.6
    • /
    • pp.1616-1623
    • /
    • 1996
  • In general, in order to recognize and modelling the 3-D objec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method to express the shape of 3-D object. In case of 2-D like silhouette image, the extraction of vertex on the boundary of the object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2-D curvature function. But, in case of 3-D curvature function that can calculate the surface curvature values of 3-d object doesn't exist,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share of 3-D object. Therefore,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presented. With this presented method, the approximated surface curvature values and vertex of 3-D object can be obtained effectively using the principle of 2-D curvature and the least square method.

  • PDF

3D Panoramic Mosaiciking to Silppress the Ghost Effect at Long Distance Scene for Urban Area Visualization (도심영상 입체 가시화 중 발생하는 원거리 환영현상 해소를 위한 3차원 파노라믹 모자이크)

  • Chon, Jae-Choon;Kim, Hyong-S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4 s.304
    • /
    • pp.87-94
    • /
    • 2005
  • 3D image mosaicking is useful for 3D visualization of the roadside scene of urban area by projecting 2D images to the 3D planes. When a sequence of images are filmed from a side-looking video camera passing long distance areas, the ghost effect in which same objects appear repeatively occurs. To suppress such ghost effect,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are detected by u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image frame and the 3D coordinate of tracked optical flows. The ghost effects are suppressed by projecting the part of image frames onto 3D multiple planes utilizing vectors passing the focal point of frames and a virtual focal point. The virtual focal point is calculated by utilizing the first and last frames of the long distance range areas. We demonstrate algorithm that creates efficient 3D Panoramic mosaics without the ghost effect at the long distance area.

Implementation of Selective Mapping Billboard for Production of Image-based 3D Virtual Reality (실사기반의 3차원 가상현실 제작을 위한 선택적 맵핑 방식의 빌보드 구현)

  • Ahn, Eun-Young;Kim, Jae-W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4
    • /
    • pp.601-608
    • /
    • 2010
  • This investigation proposes a new method to overcome disadvantages of panorama VR that is oriented toward spacial information and Object VR that is oriented toward object itself and consequently to make 3D virtual reality (VR) contents efficiently by using image based approach. 3D VR contents provide satisfactory qualities to users but 3D modeling is complex and elaborative and requires high cost. So, this paper aims at reducing tremendous efforts for making 3D VR by substituting 3D modeling with 'advanced Billboard'(we call it Smart Billboard). Smart Billboard has a mechanism for selecting an adequate mapping image that is observable at each user viewpoint and carry on texture mapping into the Billboard. And it is validated with the practical embodiments of a virtual museum in which the exhibitions are prepared by Smart Billboard.

3DTV 방송기술 개발 동향

  • 안충현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1 no.5
    • /
    • pp.82-95
    • /
    • 2004
  • 3차원 TV 방송 기술(3D Tele-vision), 이 중에서도 스테레오스코픽3DTV기술은 다시점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비전 기술을 적용하여 2차원 영상에 깊이 정보를 부가하고, 이 깊이 정보로 인하여 시청자가 마치 영상이 제작되고 있는 현장에 있는 것 같은 생동감 및 현실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방송 기술로서 HDTV의 뒤를 이을 차세대 방송기술의 하나로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인 규모의 박람회나 전시장 등의 이벤트 행사장에서는 반드시라고 해도 될만큼 3D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전시 시설이 설치되어 있으며, 생동감 있는 3D 영상을 즐길 수 있다. 3차원 영상은 눈앞에 펼쳐진 장면을 잡으려고 손을 내밀어 버리거나, 전방에서 다가오는 영상을 엉겁결에 피하거나 할 만큼, 종래의 2D 영상과는 전혀 다른 시각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중략)

  • PDF

Influence of Adult Attachment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Dep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중등교사의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Park, Chong-chol;Lee, Dong-gwi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6 no.1
    • /
    • pp.65-87
    • /
    • 2019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secondary school teacher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231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three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Gyung-gi area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variables, namely adult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the thre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ach sub-dimension of adult attachment, namely depend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nd close attach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levels. All of the variables except senior support and dependent attach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depression. Colleague and family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attachment and depression though senior support did n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