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효과

Search Result 2,62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Automatic Anticipation Effect Generation for Character Animation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위한 기대 효과의 자동 생성)

  • Kim, Jong-Hyuk;Choi, Jung-Ju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52-858
    • /
    • 2006
  • 전통적으로 3차원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동작에 관한 연구는 주로 동작의 사실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적인 애니메이션은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에 익숙한 관객들이 어색함을 느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의 기법을 3차원 애니메이션에 적용하는 비사실적 (non photorealistic) 애니메이션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기법 중 하나인 기대 효과(anticipation effect)를 3차원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동작에 적용하는 자동화된 방법을 제시한다. 전통적인 2차원 애니메이션 기법에 따르면 기대 효과는 애니메이션을 더 설득력 있고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기대 효과는 주요한 동작이 일어나기 이전에 반대 방향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3차원 애니메이션에서 캐릭터의 동작은 각 관절의 회전과 캐릭터 중심의 이동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주요한 동작에 대하여 각 관절의 회전과 캐릭터 중심의 이동에서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찾아 주요한 동작 이전에 연결하는 것으로 기대 효과의 동작을 표현할 수 있다. 모션 캡쳐나 키 프레임 방법을 통해 미리 제작된 애니메이션 파일로부터 기대효과를 생생하기 위해 동작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대 효과의 추가가 필요한 주요 동작의 각 관절별 회전을 외삽하여 반대 방향의 회전 움직임을 생생하고 무게 중심의 이동을 예측하여 주요 동작과 반대 방향의 움직임을 갖는 기대 동작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기대 동작과 원래의 동작을 기대 효과의 타이밍을 고려하여 합성하는 것으로 기대효과가 포함된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동작을 얻을 수 있다.

  • PDF

Real-Time Interactive Image 3D Effect Technology (2D 영상의 실시간 인터랙티브 3D효과 구현 기술)

  • 유세운;권용무;박종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d
    • /
    • pp.1523-152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종래의 2차원 영상의 3차원 효과 부여 기술인 TIP(Tour Into the Picture)의 결과물이 실시간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생성하지 못하는 결점을 보완하고자 종래의 TIP 모델링 요소를 실시간 리모델링 할 수 있도록 모델링 요소를 변수화 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근정보 및 영상 속 객체의 자유로운 이동을 수행하여 3차원 효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그림과는 다른 새로운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 실시간 인터랙션 기능이 추가된 결과물로서 PTIP를 제안하고 있으며,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실시간 인터랙티브 한 3차원 효과 컨텐츠를 제작할 순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 Method to Rapidly Process the Reflection Effect of Moving Pictures in 3 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Models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모델에서 동영상의 반사 효과를 고속으로 처리하는 방법)

  • Lee, Seung-Hui;Lee, Geon-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1-24
    • /
    • 2007
  •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에서는 3차원 모델의 표면이 유리나 거울과 같이 반사 특성을 갖는 경우, 반사 효과를 반영하여 렌더링(rendering)하게 된다. 3차원 모델에서 동영상이 물체 표면에 반사되는 경우, 반사 특성을 갖는 3차원 모델의 표면은 동영상의 변화에 따른 반사 영상이 표현되도록 해야 한다.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사용하는 반사 모델을 이용하여 동영상의 반사 영상을 렌더링하게 되면 처리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고성능 하드웨어의 지원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컴퓨터그래픽스에서 3차원 모델에서 반사 특성을 갖는 표면에 동영상의 반사 영상을 고속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Generation 3D Structural Information Model by Recognition of 2D Drawings (2차원 도면 인식을 통한 3D 골조모델 생성)

  • Kim, Chee-Kyeong;Park, Chan-Ho;Kim, Hyun-J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67-370
    • /
    • 2011
  • 최근 설계 단계에서 설계품질 향상과 시공 단계에서 비용 절감을 효과를 기대하며 3차원 BIM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으며, 또한 부분적으로 기술 도입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계 및 시공 현업은 2차원 CAD 도면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3차원 BIM 기반 설계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결국 시공을 수행하는 건설 현장에는 2차원 CAD 도면이 납품되고 이를 기반으로 건설 현장은 운영된다. 또한 설계 단계 BIM과 시공 단계 BIM은 모델의 활용 목적이 다르고 그에 따라 모델링의 범위 및 방법이 크게 다르기에 시공 단계에서 2차원 도면에 기반한 시공 BIM 모델 구축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구조 CAD 도면을 인식하여 3차원 골조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구현하였다. 통합 BIM 모델은 골조, 설비, 마감으로 구성되며, 이 중 골조 모델은 설비와 마감 모델링을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핵심요소이다. 시공 단계 2차원 도면을 바탕으로 골조 모델의 생성을 생성하는 작업에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모델러가 2차원 도면을 파악하여 BIM 도구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하는 과정에서 오류의 가능성도 내포되어 있다. 특히 설비, 마감과의 통합 모델 구축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골조 상세, 즉 부재 편심 또는 단차 등이 정확히 모델링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도면 인식을 통한 3D 골조모델 생성은 2차원 구조평면과 부재일람표에 표기된 내용을 그대로 인식하여 3차원 BIM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모델링 효율의 극대화와 모델 정확도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Three-dimensional Effects of an Axi-symmetric Pintle Nozzle (축대칭 핀틀노즐의 3차원 효과 분석)

  • Lee, Gang-Min;Sung, Hong-G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2 no.6
    • /
    • pp.47-55
    • /
    • 2018
  •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ree-dimensional effects exist in a pintle nozzle of axisymmetric shape,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e compressibility correction was implemented with the k-${\omega}$ SST turbulence model to predict the complex flow separation transition in acceptable accuracy. Recirculation zones were observed at both the front end and rear faces of the pintle, and the flow through the pintle nozzle conveyed complex shock wave structures. Three-dimensional effects that resulted from the reasonable flow separation location were noted, and a trace of the transient pressure increase was observed, mismatched by a two-dimensional axi-symmetric analysis.

The Safety Assessment of Embankment by Three Dimensional Electrical DC Modeling (3차원 전기비저항 모델링을 통한 제체의 안정성 분석 연구)

  • Oh, Seok-H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6
    • /
    • pp.447-453
    • /
    • 2008
  • Recently, the electrical DC survey has frequently been performed to assess the safety of embank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damaged section of embankment could be appropriately detected by the survey only when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was correctly considered. The shape of the three dimensional embankment was numerically implemented, and a proper modeling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by analyzing the apparent and inverted true resistivity. Then, the field work was carried out. The three dimensional interpretation distinguished the erroneous weak zones from the geometrical artifact, and the embankment was ensured as safe both by the additional survey performed in rainy season and the partial excavation for direct observation.

Electrical Resistivity Response Due to the Variation of Embankment Shape and Reservoir Level (제체형태와 수위에 따른 전기비저항 반응 연구)

  • Oh, Seok-H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1 no.3
    • /
    • pp.214-220
    • /
    • 2008
  • The distortion effect of electrical response for two-dimensional (2-D) DC resistivity method was verified in terms of 2-D inversion result of synthetic data obtained by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which is frequently applied to assess the safety of center core-type fill dam structure. The distortion effect is due to 2-D interpretation for 3-D structure. By the modeling analysis, we found that the water level is correctly described in the resistivity section around the middle part rather than each end side of the embankment due to the 3-D terrain effect, when the material of the embankment is assumed as horizontally uniform. And when we set the slope of outer rock fill part as uniform. the sharper the slope of the center core is, the more similar the resistivity section reflec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ope of the rock fill is steep, the resistivity section shows the water level at lower position than the real one, and the 3-D distortion effect at the end side of the embankment was enhanced.

Hydrodynamic Aspects on Three-dimensional Effects of Vertical-axis Tidal Stream Turbine (조류발전용 수직축 터빈의 유체동력학적 3차원 효과에 관한 연구)

  • Hyun, B.S.;Lee, J.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6 no.2
    • /
    • pp.61-70
    • /
    • 2013
  • Hydrodynamic aspects on three-dimensional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simple and convenient conversion of tidal stream energy using a Vertical-Axis Turbine (VAT). Numerical approach was made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flow physics between 2-D estimation and rigorous 3-D simulation. It was shown that the 3-D effects were dominant mainly due to the variation of tip vortices around the tip region of rotor blade, causing the loss of lift for steadily translating hydrofoil and the reduction of torque for rotating turbine blade. The 3-D effect was found to be rather prominent for the typical VATs considered in this paper. Simple and yet efficient 2-D approach with the correction of its three-dimensionality was also proposed for practical design and analysis of VAT.

A Cartoon Motion Generation System for 3D Character (3차원 캐릭터의 만화적 모션 제작 시스템)

  • Lee, Ji-Hyeong;Gu, Bon-Gi;Kim, Jong-Hyeok;Choe, Jeong-Ju;Hwang, Chi-Je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409-413
    • /
    • 2008
  • 최근,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은 애니메이션 필름 제작에 있어서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많은 애니메이션 필름들은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되더라도, 2차원 셀 애니메이션 효과를 내려고 한다. 3차원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하여 2차원 셀 애니메이션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렌더링에는 카툰 렌더링이 사용 된다. 그러나 이를 제외하고도 몇 가기 기술이 더 필요한데, 그중 하나가 만화 캐릭터(character)의 만화스러운 움직임이다. 기존의 연구 중에는 기존의 모션을 만화적 모션으로 변형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셀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움직임과 차이가 있었다. 또 생성된 모션이 만화적 모션인가 하는 의문에 대한 평가 기준이 없기 때문에, 만화적 모션의 모호성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직접 애니메이션에서 모션을 얻어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2차원 애니메이션 동영상에서 2차원 캐릭터의 자세를 보고 3차원 캐릭터의 자세로 반자동 맵핑하여, 3차원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키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키 프레임간의 보간을 통해 3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생성된 3차원 캐릭터 애니메이션은 만화적 움직임을 갖게 되며, 2차원 캐릭터의 자세와 움직임을 기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만화적 모호성을 극복할 수 있다.

  • PDF

Consistent Augmentation on 3-D Mobile Display using Stereo Camera Tracking (스테레오 카메라 추적을 통한 3차원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증강된 객체의 입체감 향상)

  • Park, Jungsik;Seo, Byung-Kuk;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385-38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기반 카메라 추적 방법을 이용하여 3차원 모바일 디스플레이 상의 증강현실에서 증강된 가상 객체의 3차원 효과가 올바르게 나타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3차원 디스플레이에 가상 콘텐츠를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정확한 위치와 자세를 추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증강된 가상 콘텐츠의 시각적 3차원 효과가 올바르게 나타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좌우 카메라의 3차원 공간상의 관계가 유지되도록 양측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를 동시 추정(joint estimation)할 필요가 있다. 제안된 방법은 스테레오 카메라와 패럴렉스 배리어 방식의 3차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구현되고 실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