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유한요소 해석

Search Result 1,22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sign and Analysis of Micro-positioning Actuator using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Micro positioning actuator의 설계 및 해석)

  • Oh, Kwang-Il;Rho, Jong-Seok;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4a
    • /
    • pp.64-6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압전체의 타원 운동을 이용한 선형 Micro-Positioning Actuator(MPA)에 대한 설계 및 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MPA의 해석을 위해 3차원 압전체의 유한요소의 정식화를 통한 유한요소 해석기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된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MPA의 공진 특성 즉 impedance, 모드, 그리고 타원운동 해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기계 시스템을 고려한 MPA의 최종 설계를 하였다.

  • PDF

두꺼운 복합적층판의 기계적 체결 거동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 김유준;김형근;황태경;도영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1a
    • /
    • pp.29-29
    • /
    • 1997
  • 각광 받는 구조재료인 섬유강화 복합적층재에 대한 기계적 체결 거동은 본질적인 재료의 이방성에 의해서 파단강도가 파단 모우드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복합적층판 체결부의 정밀 구조 설계에서는 단순화에 따른 오차를 줄이고 정밀해에 의한 설계 및 해석이 요청된다. 특히, 층간응력 성분을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 복합적층 판의 기계적 체결부 해석이나 실제 구조물의 체결부에서 발생하는 굽힘이나 비틀림과 같은 하중 상태를 묘사하기 위해서도 정밀한 3차원 응력 해석은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기계적 체결부의 거동에 관한 연구는 층간응력 성분들을 어느정도 무시할 수 있는 얇은 평판에 대한 2차원 응력해석에 주로 국한되어 왔으며, 일부 수행된 체결부에 대한 3차원 응력 해석의 경우 여러 단점을 갖는 3차원 연속체 요소에 의한 유한요소 해석이 수행되었을 뿐이다.본 연구는 층간응력 성분들을 무시할 수 없는 두께를 갖는 복합적층판의 기계적 체결부 해석에 지금까지 사용되어온 3차원 연속체 요소에 의한 유한요소 방법이 갖는 단점들을 개선한 Layerwise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3차원 응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선형상보성원리에 근거한 최적설계 기법을 응용하여, 기계적 체결시 핀과 적층판의 홀 사이에 발생하는 하중 전달 과정을 모사하고, 접촉력에 의한 홀 주위의 복잡하고 국부적인 응력 집중현상을 규명하여본다.

  • PDF

Behavior of Geotextile Tube by Plane Strain Analysis and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평면변형해석과 3-D FEM 기법을 통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거동해석)

  • 신은철;오영인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5
    • /
    • pp.233-241
    • /
    • 2003
  • Geotextile tube is hydraulically filled with dredged materials and has been applied to coastal protection and scour protection, dewatering method of slurry, and isolation of contaminated material. Recently, geotextile tube technology is no longer alternative construction technique but suitable desired solution. In this paper,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geotextile tube with various properties of geotextile sheet and hydraulic pumping conditions. Numerical analysis was executed to compare with the results from the large-scale field model tests, and also with those of plane strain analysis and 3-D FEM analysis. A geotextile tube was modeled using the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ABAQUS and the one-quarter of tube was modeled. Behavior of geotextile tube during the hydraulic pumping procedur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large-scale field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The shape variation and maximum tube height betwee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and large-scale filed test results are turned out to be in a good agreement.

Analysis of Electromagnetic Field of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Using 3D FEM Program (3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농형 유도전동기의 전자계해석)

  • Lee, Suk-Won;Shin, Pan-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a
    • /
    • pp.327-329
    • /
    • 1999
  • 본 논문은 3차원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농형 유도전동기의 정자장을 해석한 것이다. 2차원영역에서 해석하기 어려운 누설 인덕턴스를 3차원으로 해석하여 설계 파라미터 선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유도전동기의 공극 자속밀도 분포와 누설 자속밀도 분포를 고찰하고 1[turn]의 coil에 의해 발생하는 자속의 량과 전동기 내부로 통과하는 자속의 량을 비교하여 누설 인덕턴스를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Rational Application of 3D Numerical Analysis for Anchored Earth Retaining Wall (앵커지지 흙막이 벽체의 합리적인 3차원 수치해석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Jeong, Sang-Seom;Sim, Jae-Uk;Lee, Sung-Jun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2 no.4
    • /
    • pp.29-39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2D and 3D finite element simulation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cavation depth (H), excavation width (L), and ground condition on the behavior of anchored earth retaining wall in inclined ground layer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ite instrumentation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t appeared that 2D numerical analysis tends to overestimate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retaining wall compared to the 3D numerical analysis. When the excavation depth is deeper than 20m, it is found that 2D and 3D numerical analysis results of excavation work in soil ground condition are mo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in rock ground condition. For an accurate 3D numerical analysis, applying 3D mesh which has an excavation width twice longer than excavation depth is recommended. Consequently, 3D numerical analysis may be able to offer significantly better predictions of movement than 2D analysi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ies of the Behavior of Short Pile Subjected to Lateral Load near a Sandy Slope (모래사면에 설치된 수평하중을 받는 짧은 말뚝의 거동에 관한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해석)

  • ;Ugai Keizo;Wakai Akihik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3
    • /
    • pp.41-50
    • /
    • 2001
  • 본 연구는 모래사면의 언덕근처에 설치된 짧은 말뚝의 수평하중의 영향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해석과 실내 모형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경사 30$^{\circ}$의 사면에 시공된 짧은 말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면언덕에서 모형말뚝까지의 거리를 3종류로 상이하게 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모래의 지반특성은 배수조건하의 삼축압축실험으로 결정하였다. 동시에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결과와 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유한요소법의 해석에 있어서 모래지반을 탄성완전소성모델(Elastic-perfectly plastic model)로 가정하여, 파괴기준으로 Mohr-Coulomb 식과 소성 포텐셜에 대해서는 Drucker-Prager 식을 적용한 MC-DP 모델로 하였다. 이러한 MC-DP 모델의 구성식은 유한요소법에서 있어 계산치의 수렴에 유익하다.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이 사질토 사면의 언덕 부근에 설치된 단하의 수평거동에 대한 파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Best Design of the Deep Mixing Method by the rate of substitution (치환율에 따른 심층혼합 처리공법의 최적 설계)

  • Park, Choon-Sik;Lee, Jun-Seok;Jung, Wo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3a
    • /
    • pp.123-131
    • /
    • 2009
  • The study decided the improvement depth of soft ground of deep mixing method through 2 and 3 dimension finite element method and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1. 2 dimension analysis shows settlement 10% more estimated than 3 dimension analysis. 2. When the rate of replacement is under 5%, the settlement sharply increased. 3. The most economical design for the levee was decided 3.0m for width direction, 6.0m for length direction and 8.0m for improvement depth. 4. When the soft ground is developed through deep mixing method, the decision of improvement should be decided through 3 dimension analysis than 2 dimension analysis.

  • PDF

Study on Dowel-Bar Optimum Position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3-D FEM Analysis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줄눈콘크리트 포장의 다웰바 최적배치에 대한 연구)

  • Chon, Beom Jun;Hong, Seong Jae;Lee, Seung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D
    • /
    • pp.135-141
    • /
    • 2010
  • Dowel bar in the jointed concrete pavement has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by Foreign standard and experience in Korea. The behavior of dowel bar is explored based in analyze of 3-Dimension Finite Element Method. To evaluate behavior of dowel bar compared Timoshenko theory and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Based on the 3-Dimension Finite Element Method analyze the dowel-bar optimum position that can reduce deflections of slabs by considering wheel path distributions was suggest in this study.

OPTIMAL DESIGN OF PIEZOELECTRIC CANTILEVER FOR FAN BY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3차원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팬용 압전 외팔보의 최적 설계)

  • Kim, Byoung-Jai;Rho, Jong-Suk;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4a
    • /
    • pp.52-54
    • /
    • 2004
  • 압전 외팔보의 구조가 갈수록 복잡해짐에 따라 더 정확하고 효과적인 압전체의 해석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직육면체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법을 통해 압전 변환기를 해석하고, 이것을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해서 압전 외팔보를 해석하고, 이것을 실험결과를 통해서 검증하였다. 그리고 압전 외팔보를 팬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끝단에서의 최대 변위를 목적함수로 한 진화 전략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서 팬용 압전 외팔보의 최적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3-D FEA and Shape Optimization of BLDC Motor (BLDC 모터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및 형상 최적설계)

  • Wang, Se-Myung;Kang, Je-Nam;Yoon, Hee-S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a
    • /
    • pp.43-45
    • /
    • 1999
  • 지금까지 사용된 2차원 유한요소해석은 자계의 프린징(Fringing) 및 누설 자계 등을 무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3차원 모델을 사용하여야 한다. BLDC 모터의 회전자(자석)의 높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자(Core) 높이의 변화에 따른 코깅(Cogging) 토크의 해석을 통해 높이 비에 대한 2차원과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 사이에의 상관 오차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정자기의 3차원 형상 설계 민감도 해석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정자기 민감도 프로그램(MAGSEN-magnetic sensitivity)은 유용성과 실용성을 보이기 위하여 BLDC 모터의 코깅토크를 줄이는 형상 최적설계에 적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