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데이터

Search Result 2,558,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3D Scan Model Fitting by Using Statistics (통계를 이용한 3차원 스캔모델 맞춤 방법)

  • Soohyun Jeon;Hyewon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19-222
    • /
    • 2008
  • 3차원 인체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인체형상데이터는 여러 인체에 대한 3차원 평균 모델을 만들어 내는 등의 통계적 분석이나 자세 변경을 위해 필요한 내부 골격 구조와 골격과 피부조직 사이의 관계 등을 계산해 내기 어렵다. 또, 이러한 통계적 분석을 위해서는 각 모델 간의 상응 관계가 확립되어야 하지만 스캐너로부터 얻어진 인체 형상 데이터들은 측정 환경이나 대상에 따라 각각이 서로 상이한 기하학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템플릿 모델을 3차원 인체데이터에 맞도록 변형함으로써 다수의 인체 형상에 대하여 토폴로지를 일치시키도록 한다. 3차원 인체 데이터에 대해 템플릿 모델이 가장 근사한 형상이 되도록 하는 변형을 자동으로 찾아내기 위해서 표면 위에 정의된 특징점들을 사용한다. 또한, 기존에 찾아둔 특징점군 및 변형정보 데이터가 충분히 많다면 새로운 변형을 계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렇게 상응 관계가 확립된 모델들은 삼차원 벡터 공간의 점들의 집합으로 표현 및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Data Recovery of 3D Polygonal Mesh Model (Polygonal Mesh로 표현된 3차원 모델의 에러복원 연구)

  • Kim Dai-yong;Ryu Dae-ha;Park Sung-won;Kim Mi-ja;Jang Euee S.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3-26
    • /
    • 2003
  • 3차원 Polygonal Mesh는 그래픽스, 에니메이션, 게임에서 3차원 객체에 대한 표현에 사용되고, 이러한 3차원 모델에 대한 IndexedFaceSet 노드에 3차원 정전정보와 연결정보를 압축하는데 MPEG-4 3DMC를 사용한다. 이러한 연결정보는 다각형의 Mesh 형태로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 정보를 갖는데, 이는 Tepological Surgery 라고 하는 방법을 통해서 2차원의 스트립 단위의 데이터로 분해된다. 이러한 3D 데이터는 방송환경과 같은 재전송이 불가능한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채널문제로 인해서 데이터의 손실이 있게 되면, 복호화 된 데이터는 데이터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3D 모델의 좌표의 연결정보에 손상을 주게 되고, 여기서 복호화 된 데이터는 스트립 단위로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3차원 모델의 좌표의 연결정보에 손상을 주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3차원 정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복원하기 위한 연구에 관한 것이며, Mesh의 면을 이루는 각 꼭지점의 좌표들의 연결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 스트립에서는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완벽한 복원을 하였고, 두 개 이상의 스트립이 붙어서 손상된 경우나, 좌표의 연결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현저히 좋은 격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The Design of 3D Web Map Service Components (3차원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의 설계)

  • Choo, Dae-Soo;Choi, Hae-Ock;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10
    • /
    • 2001
  • 웹의 특징인 조작의 간편함, 뛰어난 접근성 등으로 인해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검색, 접근을 위한 웹 맵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지리정보 분야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 를 통해서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가 정의됨에 따라 향후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공유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 정의된 웹 맵 서비스에는 3 차원 맵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3 차원 데이터 모델에 따라 구축된 공간 데이터가 거의 없으며, 맵 출력을 위한 출력 요소 정의 언어인 SVG 또는 WebCGM 등이 3 차원 기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OCG 의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면서, 최소한의 확장을 통해 3 차원 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3 차원 맵은 2 차원 공간 데이터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므로, 3 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 PDF

A Study on 3D Spatial DBMS Development (3D 공간 DBMS 개발에 관한 연구)

  • Min, Kyoung-Wook;Kim, Ju-Wan;Jin,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4-277
    • /
    • 2009
  •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는 1 차원이 아닌 2 차원 공간상의 공간 데이터 처리를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DBMS 에서 이러한 2 차원 공간 데이터의 처리를 위하여 많은 기술들이 연구 개발되어 왔다. 최근 GIS 응용에서는 2 차원이 아닌 3 차원 공간데이터 처리에 대한 요구사항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2 차원 공간 DBMS에서 3 차원 공간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확장 개발해야 할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3D Adjacency Spatial Query using 3D Topological Network Data Model (3차원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인접성 공간질의)

  • Lee, Seok-Ho;Park, Se-Ho;Lee, Ji-Ye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5
    • /
    • pp.93-105
    • /
    • 2010
  • Spatial neighborhoods are spaces which are relate to target space. A 3D spatial query which is a function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is a significant function in spatial analysis. Various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related these studies, this study suggests an adjacent based methodology. The methodology of this paper implements topological data for represent a adjacency via using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then apply modifiable Dijkstra's algorithm to each topological data. Results of ordering analysis about an adjacent space from a target space were visualized and considered ways to take advantage of. Object of this paper is to 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a target space with a adjacent relationship in 3D space.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1)generate adjacency based 3D network data vi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and to 2)implement a 3D spatial query for searching spatial neighborhoods by applying Dijkstra's algorithms to these data.

An Analysis of Vertical Position Accuracy for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Data Object Utilizing the Public Information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3차원 공간정보 객체의 수직위치 정확도 분석)

  • Kim, Jeong Taek;Yi, Su Hyun;Kim, Jong Il;Bae, Sang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3
    • /
    • pp.137-143
    • /
    • 2014
  • Recently, as new paradigm for government operation called government 3.0, government is actively operating policy opening and sharing public data. In addition, the Ministry of Land are operating an open platform integrated map service (the VWorld) which provides a variety of video contents such as the country's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and three-dimensional building for the public. According to W3C Foundation's Open Data Status Report(2013), our country has the evaluated results that the part of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and planning is good while the part of the data management is vulnerable. So our country needs the quality improvement for the data management. In addition, a digital aerial photograph image data is required to be up-to-date for the three-dimensional spatial object data.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method for enhancement of the accuracy of vertical position and for maintainment of up-to-date vertical position. Our methods evaluate the data quality and analyze the cause of error of measurement utilizing the national standard quality assessment method.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that the accuracy of vertical position is improved if the height of the building captain is adjusted by the quality assessment values and a three-dimensional model has up-to-date data if reconstruction and extension information of construction register is utilized.

3D Cadastre Data Model in Korea ; based on case studies in Seoul

  • Park, So-Young;Lee, Ji-Yeong;Li, Hyo-Sa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4
    • /
    • pp.469-481
    • /
    • 2009
  • Due to the increasing demands on the efficient use of land and the fast growth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human living space is expanded from on the surface to above and under the surface. By recognizing that the current cadastre system based on 2D was not appropriate to reflect the trend, the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a 3D cadastre. This paper proposed the 3D cadastre data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protect ownership effectively in Korea. The 3D cadastre data model consists of a 3D cadastre feature model and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and the data are produced by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A 3D cadastre feature model is based on 3D rights and features derived from case studies. A 3D cadastre geometry model based on ISO19107 Spatial Schema is modified to be good for 3D cadastre in Korea. A 3D cadastre data structure consists of point, line, polygon and solid primitives. This study finally purposes 1) serving and managing land information effectively, 2) creating rights and displaying ranges about infrastructures above and under surface, 3) serving ubiquitous-based geoinformation, 4) adapting ubiquitous-based GIS to urban development, and 5) regulating relationships between rights of land and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ystems.

  • PDF

Building Large-scale CityGML Feature for Digital 3D Infrastructure (디지털 3D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규모 CityGML 객체 생성 방법)

  • Jang, Hanme;Kim, HyunJun;Kang,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3
    • /
    • pp.187-201
    • /
    • 2021
  • Recently, the demand for a 3D urban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storing, operating, and analyzing a large number of digital data produced in cities is increasing. CityGML is a 3D spatial information data standard of OGC (Open Geospatial Consortium), which has strengths in the exchange and attribute expression of city data. Cases of constructing 3D urban spatial data in CityGML format has emerged on several cities such as Singapore and New York. However, the current ecosystem for the creation and editing of CityGML data is limited in constructing CityGML data on a large scale because of lack of completeness compared to commercial programs used to construct 3D data such as sketchup or 3d max.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 of constructing CityGML data is proposed using commercial 3D mesh data and 2D polygons that are rapidly and automatically produced through aeria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or RGB (Red Green Blue) cameras. During the data construction process, the original 3D mesh data was geometrically transformed so that each object could be expressed in various CityGML LoD (Levels of Detail), and attribut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2D spatial information data was used as a supplemen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s spatial information. The 3D city features produced in this study are CityGML building, bridge, cityFurniture, road, and tunnel. Data conversion for each feature and property construction method were presented, and visualization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3D Road Shape Production Technique Using Composition of Laser Data and CCD Image (레이저 데이터와 CCD영상의 합성을 통한 3차원 도로형상 생성기법)

  • Rhee Soo-Ahm;Kim Tae-Jung;Jeong Dong-Hoon;Sung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5-18
    • /
    • 2006
  • 도로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제작된 도로 안정성 조사 분석 차량(RoSSAV)은 도로의 3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한 방법으로 레이저 스캐너를 사용한다.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취득된 도로의 3차원 정보는 많은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정보이나, 도로의 3차원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으로 편집을 하게 되면, 현실감 있는 영상이 생성되기는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스캐너로부터 얻은 정보와는 별도로 CCD 카메라로 도로 전방 영상을 촬영하였고, 이 두 가지 데이터를 합성하여 현실감 있는 3차원 도로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연구 개발하였다. 레이더 영상과 CCD 영상의 합성은 레이저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3차원의 위치에 해당하는 CCD영상에서의 영상점을 찾아 이 점에서의 RGB 밴드의 밝기값을 찾아내어 이를 레이저 데이터에 기록, 적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상간의 관계모델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직접선형변환(DLT) 모델을 사용하였다. 이 모델을 이용하기 위해 레이저 데이터를 영상으로 편집하였고 이 영상과 CCD영상과 일치하는 지점을 육안으로 찾아 각 영상별로 DLT센서모델에 필요한 개수의 기준점을 제작하여 실행하였다. 실험 결과 영상은 기준점의 정확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합성 전의 레이저 데이터 영상에 비해 실세계에 가까운 색깔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 PDF

Mixing distance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 river (하천에서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혼합거리 연구)

  • Chang Hyun Lee;Kyung Dong Kim;Si Wan Ryu;Dong Su Kim;Young D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44-144
    • /
    • 2023
  • 하천 합류부에 있어 수체의 혼합양상 분석은 고해상도의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공간적 분포를 해석함에 있어 3D 기법들을 많이 활용되고 있다. IDW, Natural Neighbor, Kriging기법등 다양한 기법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그에 따라 각 보간법을 비교 분석하여 공간해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논문을 검토한 결과, 측정 결과에 따른 2차원 횡단면 분포의 내용이 지배적이었고, 3차원 매핑 및 3차원 분석을 통한 수리학적 정보 획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였다. 특히 3차원 하천 수질 농도의 연구가 불충분했다. 그에 따라 저해상도 측정결과에서의 예측과 보간법에 대한 시각화를 통해 하천의 전체적인 수리·수질정보를 표기하였다. 각각의 보간법을 비교함으로써 하천매핑에 있어 Kriging 기법을 적용하여 시각화된 자료와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하천매핑의 정밀성을 향상시켰다. 하천합류부를 공간 분석할 시에 하천의 측정데이터에 대한 신뢰도를 바탕으로 계측경로에 따라 보간한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3차원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의 혼합거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에 따른 수표면과 연직방향까지 고려된 혼합거리분석을 비교하였다.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측정 및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되며, 이러한 데이터는 유해물질 저감 기술 및 평가 예측 기술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고 있다. 유해화학물질 추정, 호수의 고위험 조류군 계층분석 등 다양한 수생건강 진단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