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 계측시스템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Pipe Flange Measurement System Using Draw-Wire Sensor (Draw-Wire센서를 이용한 파이프 플랜지 계측시스템)

  • 윤재웅;윤강섭;이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0 no.8
    • /
    • pp.62-69
    • /
    • 2003
  • In most shipyards, the measurement of 3-dimensional relative position of pipes should be connected in the block depends on the manual operation. It results a very tedious and inefficient procedure, thus the proper measurement system is need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accuracy.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pipe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system concepts, measuring procedures, system calibration, and its accuracy and productivity. And also, the possibility and things to be improved for application in shipyard are discussed in this paper.

Development of GIS-based Arc River Data Model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River Information System (3차원 하천정보화시스템 구축을 위한 GIS 기반 Arc River 데이터 모델 개발)

  • 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14-214
    • /
    • 2012
  • 본 논문은 최근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수리정보화시스템의 한 부분이 될 수 있는 하천정보화시스템의 구축의 근간이 되는 3차원 하천 자료 모형으로 개발된 아크리버 (Arc River)자료 모형을 소개한다. Arc River는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하여 수립되었고 최신 하천 유동 및 하상 계측기법으로 확보된 방대한 양의 관측 자료를 수집, 저장, 처리, 검색, 그리고 분석할 수 있게 하는 표준화된 자료 모형 (data model)이다. Arc River는 지난 10년간 유역 자료 모형의 표준으로 사용되어 온 Arc Hydro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여 3차원에서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복수의 하천 관측 자료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GIS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은 Arc River의 다양한 설계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ADCP 자료를 활용하여 활성화된 Arc River의 예를 제시한다. Arc River는 향후 하천을 유지, 관리, 해석에 있어 필요한 3차원 하천정보화시스템의 구축의 근간을 이루고 국내에서도 그 활용을 범위를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odification and Representation of a Standardized River Data Tranformation Format based on ADCP Measurements (ADCP 기반 하천자료 표준 전송포맷 개선 및 표출기술 개발)

  • You, Hojun;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61-161
    • /
    • 2015
  • 최근 정보화 기술의 발달로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들이 집적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집적된 자료의 활용성에 대한 관심이 보이고 있다. 특히, 수자원분야에서는 ADCP와 같은 최신 계측기법으로 확보되고 있는 방대한 양의 하천의 유속 및 하상 등의 자료를 수집, 저장, 처리, 검색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ADCP를 이용하여 유속을 계측할 경우, 재래식 계측 방법인 봉부자를 이용한 방법, 프로펠러유속계를 이용하는 방법에 비해 빠르고 정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계측자료의 양이 방대해짐에 따라 자료의 저장, 관리와 처리가 힘든 단점이 있어 ADCP를 이용한 자료의 저장 및 관리 처리를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 맞춰 수자원 발전을 위한 미국 대학 협력단체인 CUAHSI(Consortium of University for the Advancement of Hydrologic Science)에서는 수자원정보화시스템(Hydrologic Information System; HIS)의 구축하기 위해 표준화된 수자원 관측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조인 ODM(Observation Data Model)을 개발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하천 단면과 같은 하천 측정자료를 송수신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표준 자료 프로토콜인 RiverML을 개발하여 Beta 버전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자료 및 모형의 공유를 목적으로 HydroShare의 일환인 수자원 관측자료 중 하천자료의 전송용 언어인 RiverML과 하천의 시공간적 수리동역학적 자료 구조인 Arc River를 기반으로 ADCP의 계측자료를 RiverML로 변환하는 기술과 변환된 결과를 토대로 2차원 및 3차원으로 표출하는 GIS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 PDF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 Web-EOC Based Real-Tim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in Steep Slopes (Web-EOC 기반 경사지 실시간 계측관리시스템 구축 및 적용)

  • LEE, Jin-Duk;CHANG, Ki-T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107-119
    • /
    • 2018
  • The slope monitoring systems which have been operating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real-tim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evacuating inhabitants based on Web-EOC(Emergency Operating Center) was constructed. We tried to analyze realistically and precisely the situation by changing from the existing field-centered management to sensor-centered management that measures coordinates and provides in real-time data of measuring/monitoring sensors installed at a field site and developing related viewer programs. In addition, the 3D based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which has alarm functions in case of emergency and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evacuation place, was constructed on the base that is able to expand to nationwide fields by using Vworld 3D map. Ten steep slope monitoring sites were registered on Web-EOC slop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constructed in the research and then application instances were suggested.

Displacement Measurement of Structure using Regression Analysis from Coordinates Information of Laser Scanning (레이저 스캐닝 좌표정보로부터 회기분석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변위 계측)

  • Hong, Jeong-Beom;Lee, Hong-Min;Park, Hyo-Se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34.1-34.1
    • /
    • 2010
  • TLS(Terrestrial Laser Scanning)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원격으로 획득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TLS로부터 획득한 3차원 위치 정보는 처짐 또는 응력 평가 등에 있어서 구조 정보로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정밀한 형상정보의 획득을 위해서는 3차원 형상 좌표 정보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지점 조건에 대한 정보 없이 회기분석의 중첩을 이용하여 TLS로부터 얻은 대상물의 이산화 된 위치 정보로 부터 구조물의 정밀한 변형 형상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Seepage Behavior of Embankment with Weak Zone using Numerical Analysis and Model Test (취약대를 가진 모형제방의 침투거동에 관한 연구)

  • Park, Mincheol;Im, Eunsang;Lee, Seokyoung;Han, Heui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7
    • /
    • pp.5-13
    • /
    • 2016
  •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seepage behavior of embankment which had the weak zone with big permeability. The distributed TDR (Time Domain Reflectometer) and point sensors such as settlement gauge, pore water pressuremeter, vertical total stressmeter, and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er) sensor were used to measure the seepage characteristics and embankment behavior. Also, the measured data were compared to the data of 2-D and 3-D numerical analysis. The dimension of model embankment was 7 m length, 5 m width and 1.5 m height, which is composed of fine-grained sands and the water level of embankment was 1.3 m height. The seepage behavior of measuring and numerical analysis were very similar, it means that the proper sensing system can monitor the real-time safety of embankment. The result by 2-D and 3-D numerical analysis showed similar saturation processing, however in case of weak zone, the phreatic lines of 2-D showed faster movement than that of 3-D analysis, and finally they converged.

Semi Variance Measurement on Tunnel using 3D Laser Scanning (3차원 레이저 측량기를 이용한 터널 변위 관측)

  • Lee, Jae-One;Kim, Yong-Suk;Song, You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10 no.1
    • /
    • pp.27-35
    • /
    • 2007
  • There are many risks in constructing tunnel-structure. To prevent these risks from occurring and secure safety, the precise and rapid survey of inside displacement of the tunnel is required. But nowadays the measurement of the crown settlement, convergency, and surface settlement depends on general kinds of method which use total station or level. In the way to provide data about maintaining structure according to recent improvement and progress of measuring technology, 3D laser scanning is used. It solves the problem of reliability in measuring displacement of existing structure, provides material that enables to estimate shape change of structure visually, and makes it possible to deliberate speedy countermeasure. By this three dimensioning it is possible to make efficient use of structure maintenance and field measur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