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하천지형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f the 3D River Information Model System in Anyang stream (안양천구간을 대상으로한 3차원하천지형정보시스템시범구축연구)

  • Kim, Hwi-Rin;Cho, Hyo-Seob;Baek, Chang-Hyun;Jeong, Hyeon-G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25-1129
    • /
    • 2007
  • 본 연구는 하천에 대한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하천계획, 설계, 관리 등 하천업무에 필요한 3차원하천정보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GIS, RS 등의 신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현장에 방문하는 것과 유사한 하천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3차원 하천지형정보시스템을 안양천 32.5km 구간을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시범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속성 및 대장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고 사실적인 하천현장의 3차원 구현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인 정보 획득이 용이하다. 이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하천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하천관리업무 및 중요한 의사결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ablishment A Master Plan of 3D River Information (3차원 하천정보화 기본계획 수립)

  • Kim, Jeong-Yup;Cho, Hyo-Seob;Kim, Hwi-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05-1509
    • /
    • 2008
  • 본 기본계획 수립에서는 하천업무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영상정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현재까지 전산화되지 않은 하천 제외지 지형정보와 하천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정보를 취득하여 DB화하고, 이렇게 구축된 영상정보 및 하천 공간정보를 결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시스템 구축에 주안점을 두고 3차원 하천정보화 기본계획을 제시하였다. 3차원 하천정보화 기본계획의 목표연도는 2011년까지로 설정하였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총 5개년에 대해 로드맵을 제시함과 동시에 분야별 중점 추진과제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로드맵은 하천 제외지에 대한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으며, 또한 영상정보를 활용한 하천업무의 3차원 공간정보 제공도 중요한 요소로써 고려하였다.

  • PDF

Riv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rone (하천관리를 위한 드론활용기술)

  • Kim, Young Joo;Lee, Geun Sang;An, Min Hyeok;Kim, Jin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5-345
    • /
    • 2020
  • 우리나라는 물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5년 세계물포럼 이후 복합 수재해 대응과 능동적 하천관리 분야가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의 하천관리는 수위관측소 및 하도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항공측량, 드론 등 원격관리시스템에 기반을 둔 하천 통로에 대한 입체적인 3차원 관리로의 인식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이다. 대부분 수위 및 하도를 중심으로 한 조사방식은 계측장비, 인력, 시간 등 많은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급변하는 하천 공간 조사 기술로 제한적 요소가 많아 현재의 하천조사 시스템으로는 하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하천관리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 환경의 발달로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에 대한 수문정보 생산 및 하상변동조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ICT)을 활용하여 조사의 효율성, 안전성 및 정확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하천유역조사는 하천유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나 그간 유역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의 요구 자료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수심, 하상, 하천재료 등 하천법에 규정된 측량은 현장 직접계측을 통해 실시되고 있으며 측량의 공간적·시간적 범위의 변동으로 기존 방식의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신기술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하천조사를 위해 위성 및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고빙용을 수반하고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도가 낮아 폭이 좁은 하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하천의 특성상 항공측량 보다 드론이 효율적으로 드론에 레이저 광선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장비를 탑재해 3차원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상류 하천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할 경우 투입인력 및 소요시간 절감, 장비 및 인력 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지형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유역관리 및 수질모델링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유역의 공간 정보를 획득하여 향후 유역관리 모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

Utilization Plan Research of High Resolution Images for Efficient River Management (효율적 하천관리를 위한 고해상 영상의 활용화 방안 연구)

  • Pak, Hyeon-Cheol;Jo, Myung-He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246-251
    • /
    • 2008
  • 현재까지 우리나라 하천관리는 기존의 도면관리 및 현장조사를 통한 정보관리에서 벗어나 WAMIS, RIMGIS와 같은 물 관련 하천기본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 구축된 시스템들은 선(線) 중심의 2차원 하천 공간자료로 관리되어 실무자 중심의 친환경적 하천관리업무 지원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면(面) 중심의 입체적인 3차원 하천공간정보 구현과 체계적인 하천관리 업무가 가능하도록 항공사진(아날로그, 디지털) 및 다양한 위성영상에 대한 해상도 비교를 통한 하천 적용여부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천 적용성 분석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판단되는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관리 및 활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효율적인 하천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GUI System for Coupling of Multi-Dimensional Hydraulic Models (다차원수리모형을 이용한 연계모의 GUI시스템 개발)

  • Ahn, Jung Min;Lyu, Si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353-363
    • /
    • 2012
  • In order to operate the hydraulic structures efficiently for reducing flood damage after 4 Major River Restoration Project, it is essential to obtain enough hydraulic information with certain reliability. A coupled modeling system, providing spatial hydraulic information, for multi-dimensional hydraulic models was developed to complement 1-D hydraulic modeling. Developed system can offers spatial and grid unit information as well as line and section unit information from 1-D model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coupled modeling system can be used to provide various kinds of hydraulic information for river management and treatment.

Combination of GPS, Echo Sounder and GIS for Constructing 3D Riverbed Surveying System (3차원 하상측량시스템 구현을 위한 GPS와 음향측심기 및 GIS의 조합)

  • Lee, Jin-Duk;Kim, Hyu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11
    • /
    • pp.232-238
    • /
    • 2007
  •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ed a 3D riverbed surveying system that is able to acquire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a riverbed in real-time. The system consists of a RTK-GPS receiver and a echo sounder for collecting simultaneously the position and the water depth information of riverbed. A program for data composition and transformation was designed to generate the 3D coordinates by combining data of a GPS receiver and a echo sounder and made GIS database construction easy. We extracted TIN, digital elevation model and cross sectional maps of the riverbed by using GIS software from 3D data constructed through test surveying. It was shown that the accuracy of the result was RMS error of 0.069m when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s which use a total station and staffs. It is expected that the 3D riverbed surveying system wiil be able to be utilized to various surveying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rivers, sea, dams, storing reservoirs and so forth.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River Us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3차원 지형공간정보를 이용한 하천수리특성 분석)

  • Kim, Si-Chul;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33
    • /
    • 2021
  • 예측하기 어려운 복잡한 기후 변화로 인해 수자원 관리측면에서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국가적 주요 관심사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투입인력과 소요시간 절감, 장비와 인력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높은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의 드론을 이용한 하천지형 특성별 수리특성 분석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연천 하류부지역을 대상으로 위성항법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측량 지형성과와 드론측량(Drone) 지형성과를 지상에 설치된 CHP(Check Point) 좌표 값을 확인하여 두 지형의 정확도를 비교하였으며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빈도별 수리특성을 비교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성연천 하류 480m구간을 선정하고 GNSS를 이용한 실측지형자료와 GCP(Ground Control Point)를 얻기 위해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DRONE RGB측량의 CHP(Check Point) 오차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오차 값이 확인된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이용하여 가상기준점을 선정하고 RTK 모바일스테이션을 설치하여 DRONE LIDAR측량을 통해 지형자료를 취득하였으며 얻어진 지형자료를 HEC-RAS를 통해 입력 후 성연천 하천기본계획에 제시되어진 조도계수와 빈도별 홍수위를 적용하여 연구구간 480m에 대해 100년 빈도의 결과 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100년 빈도 계획 홍수량 조건의 하상과 한계수위의 차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평균수위 측정오차는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0.460m,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0.260m의 결과를 얻었으며 동일 조건 흐름하의 평균유속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평균유속 측정오차는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0.40m/s,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0.36m/s의 결과를 얻었다. 통수 단면적의 비교 결과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 지형자료를 기준으로 드론 RGB 측량 지형자료 전체 단면의 평균오차는 20.20m2, 드론 LIDAR 측량 지형자료 전체 단면의 평균오차는 21.682의 결과를 얻었으며 이상에서와 같이 홍수위와 평균유속, 통수 단면적의 측정오차 비교 결과를 종합할 때 통수 단면적 측정결과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드론 RGB 측량의 차이가 적었으나 계획 홍수량 조건의 하상과 한계수위 차이와 동일조건 흐름하의 평균유속에서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과 드론 LIDAR 측량의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통수용량(capacity)(m3) 비교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측량을 기준으로 드론 RGB 측량은 약 7644m3, 드론 LIDAR 측량은 약 7547m3의 차이를 보여 드론 LIDAR를 이용한 결과가 가장 정확한 측정방법으로 추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Flood Inundation Analysis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Kwangyang Harbor Using HEC-GeoRAS and ArcView (HEC-GeoRAS 및 ArcView를 이용한 광양항 홍수범람 해석 및 수리 특성 연구)

  • Im Jang Hyuk;Kim Ji Ho;Park Young Jin;Song Jai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64-1168
    • /
    • 2005
  • 최근에 홍수범람도나 재해지도를 작성하는 등 하천에 대한 범람해석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1차원 하천범람해석은 홍수위를 산정하고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범람구역을 작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rcView를 이용하여 광양항 유역특성에 대해 조사하고 홍수범람을 예측하기 위해 HEC-GeoRAS 및 HEC-RAS를 이용하여 홍수범람지역 및 수리특성을 분석하였다. 광양항 지역특성인 조석 및 다수의 유입지류가 존재하는 조건을 고려하기 위해 HEC-RAS 부정류 모의을 이용하여 수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수치지도와 현 상태를 재측량한 성과를 합성하여 지형자료를 추출하여 지형적 오차를 방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1차원 하천 부정류 모의 결과는 각 측점에 대해 시간대별로 수리특성을 계산하였으며 최대수위는 EL. 3.05m로 산정되었다. 또한 유속과 유량이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 흐름 방향이 역전되므로, 측점 4040.969에서 흐름이 분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상구간에 대한 홍수범람해석을 HEC-GeoRAS 후처리과정을 이용하여 각 측점에 따라 시간별대로 산정하였다. 일부 하천구간 및 저지대의 경우에 침수되는 것으로 표시되었으며, 이것은 1차원 범람해석상의 한계로 판단되었다.

  • PDF

Study of the UAV for Application Plans and Landscape Analysis (UAV를 이용한 경관분석 및 활용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 Kim, Se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3
    • /
    • pp.213-220
    • /
    • 2014
  • This is the study to conduct the topographical analysis using the orthophotographic data from the waypoint flight using the UAV and constructed the system required for the automatic waypoint flight using the multicopter.. The results of the waypoint photographing are as follows. First, result of the waypoint flight over the area of 9.3ha, take time photogrammetry took 40 minutes in total. The multicopter have maintained the certain flight altitude and a constant speed that the accurate photographing was conducted over the waypoint determined by the ground station. Then, the effect of the photogrammetry was checked. Second, attached a digital camera to the multicopter which is lightweight and low in cost compared to the general photogrammetric unmanned airplane and then used it to check its mobility and economy. In addition, the matching of the photo data, and production of DEM and DXF files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topography. Third, produced the high resolution orthophoto(2cm) for the inside of the river and found out that the analysis is possible for the changes in vegetation and topography around the river. Fourth, It would be used for the more in-depth research on landscape analysis such as terrain analysis and visibility analysis. This method may be widely used to analyze the various terrains in cities and rivers. It can also be used for the landscape control such as cultural remains and tourist sites as well as the control of the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such as the visibility analysis for the construction of DSM.

Analysis of 3 Dimension Topography by Real-Time Kinematic GPS Surveying (RTK GPS 측량에 의한 3차원 지형 해석)

  • 신상철;서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9 no.2
    • /
    • pp.309-324
    • /
    • 2001
  • To apply the real-time kinematic GPS surveying technique, this research has tried to obtain the TOKYO datum first from the continuous reference station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Then, analysis of the geography of a coastal area including both of land and sea has been carried out by the post-processed continuous kinematic GPS technique and the real-time kinematic GPS surveying technique. After considering the initial conditions and measuring time zone for real-time kinematic GPS, post-processed and the real-time kinematic GPS measurements have been carried out. A new system has been proposed to store measured data by using a program developed to store GPS data in real time and to monitor the satellite condition through controller simultaneously. The accuracy of GPS data acquired in real time was as good as that acquired by post processing.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ast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because DTM can be also constructed for the harbor reclamation, the dredging and the variation of soil movement in a riv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