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차원수리모형실험

Search Result 166,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Deformation due to a Submerged Breakwater (잠제에 의한 파랑변형 수치모의)

  • 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63.1-63.1
    • /
    • 2010
  • 수중구조물에 의한 파랑의 변형을 예측하기 위해 3차원 수치모형을 도입하여 수치모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수치모형은 Navier-Stokes 방정식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동수압 모형으로서, 난류의 해석을 위해서 상대적으로 큰 에디(eddy)만을 고려하는 SANS(Spatially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LES(large-eddy-simulation) 기반의 수치모형이다. 엇갈림 격자체계에서 유한차분법을 사용하여 지배방정식을 해석하는 모형으로서 수치기법으로 Two Step projection 기법을 사용하여 SANS 방정식을 계산하였으며, Bi-CGSTAB 기법을 이용하여 Poisson 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압력장을 계산하였다. 또한, 자유수면의 추적을 위하여 2차 정확도의 VOF(volume-of-fluid) 기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선형파를 일정 수심상에서 조파시켜 해석해와 비교한 후 수중구조물이 설치된 지형에 적용하여 파랑의 변형을 수치모의하여 수리모형 실험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Flow Analysis in the Baffled Fishway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도류벽식 어도내의 흐름해석)

  • Choi, Soo-Hyoung;Kim, Seo-Jun;Lim, Yoon-Sung;Yoon, Byu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7-1840
    • /
    • 2009
  • 최근 자연형하천 조성사업과 하천복원 등을 목적으로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생태적인 기능을 고려한 하천설계를 위하여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하천의 생태적 통로가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천 횡단 구조물인 보와 낙차공에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어도 설계는 어도 내의 흐름특성을 정확히 고려하지 못하고 설계되어 어도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 이유는 현장 상황에 따라 어도의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게 설계되고 있는 것에 반해 이를 검토할 수 있는 방법이 수리실험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어도내 흐름특성을 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어도 설계를 위한 수리실험은 시간적, 공간적 및 경제적인 제약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어도 조건과 수리조건을 검토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반면에 수치모의는 매개변수 결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수리실험에 비해 다양한 형태와 수리조건에 대해 간편하게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도 설계시 간편하게 어도내 흐름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 기법을 이용한 흐름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보았다. 수치모의는 3차원 흐름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였고, 어도 형태는 도류벽식 어도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수리실험과 비교하여 수심별로 최대 13% 정도의 오차를 보이고 있으며, 최대유속 발생 지점을 비교한 결과 하폭의 6% 정도 오차를 보였다. 따라서 최종 설계 이전에 어도의 흐름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FLOW-3D를 사용한다면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of a Lock Gate by Using 3-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배수갑문의 방류능력 개선효과 분석)

  • Kim, Nam-Il;Kim, Dae-Geun;Lee, Kil-Seong;Kim, Dal-S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3 s.152
    • /
    • pp.189-198
    • /
    • 2005
  • This study showed that numerical simulation can be effectively used to analyze discharge capacity according to the form and arrangement of the lock gate of a tidal power plant.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FLOW-3D with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as a governing equation was used. This study found that improvement of apron length and approach angle of guide wall of the lock gate causes differences in discharge capacity of $10\%$ or more.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of discharge capacity caused by the connecting structures of the drainage gate and hydraulic turbine structure and the side slope at the end of apr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hydraulic investigation to enhance a discharge capacity is needed when the lock gate is designed and that numerical model experiments can be a useful analysis tool to design the drainage structure, as well as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A Study on the Control of Short-period Waves by Resonator (공진장치에 의한 단주기파랑의 제어에 관한 연구)

  • Lee, Kwang-Ho;Beom, Seong-Sim;Kim, Do-Sam;Park, Jong-Bae;An, Seong-W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1
    • /
    • pp.36-47
    • /
    • 2012
  • In this study, the control performance of resonator was review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and 3-dimensional hydraulic model experiments by attaching the resonator suggested in the existing studies to the openings of rectangular harbor and breakwater placed in a straight line to reduce short-period waves. In the numerical analysis, linear analysis method of singularity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vertical-line Green function and full non-linear analysis method by 3D-NIT model were applied, and the validity of the numerical analysis methods was verifi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results of hydraulic experiments and numerical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effectiveness of the resonator was confirmed by reviewing its control performance on the short-period waves through review on the comparison with the case in which the resonator is not attached.

Analysis of Saline Wedge Using 3D Numerical Model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정상염수쐐기현상 해석)

  • Lee, Kyung-Su;Kwak, Sung-Hyun;Lyu, Si-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71-575
    • /
    • 2012
  • 하구역에서의 대표적인 수리특성인 염수쐐기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하구역 수질 및 환경관리 측면에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염수쐐기 경계층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결과와 3차원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한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해봄으로써 염수쐐기현상에 대한 3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FLOW-3D를 이용하여 실험장치의 수로구간을 구성하고 경계조건으로 염수의 수위와 담수의 유량을 입력하였으며 밀도차를 두어 이층류가 발생하도록 모의하였다. 모의결과를 통해 시간평균농도와 표준편차를 무차원화하여 단면별 연직분포를 알아보고 각 단면을 중첩하여 경계층의 거동을 살펴보았으며 염수쐐기길이와 염수심을 무차원화하여 밀도프루드수의 변화에 따른 염수쐐기형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결과를 기 수행된 실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 PDF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Scour Model in FLOW-3D (FLOW 3D모형의 세굴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 Yeo, Chang-Geon;Lee, Jin-Eun;Lee, Seung-Oh;So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50-1754
    • /
    • 2010
  • 구조물 주변의 국부세굴에 대한 예측은 현장관측 및 수리실험 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경험식과 수리모형 실험, 수치 모의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의 세굴분석 능력 검토를 제고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FLOW 3D의 입력 매개변수는 평균입경(Average particle diameter), 유사 비중(Density of the sediment particle), 한계 무차원 소류력(Critical Shields number), 세굴 조절개수(Scour erosion adjustment), 한계 유사비(Critical sediment fraction), 점착성 유사비(Cohesive sediment fraction), 유사 항력(sediment drag force), 안식각(Angle of repose)이 있다. 이 중에서 평균입경, 안식각, 세굴조절개수, 한계 유사 fraction 등의 매개변수에 대해 초기값을 중심으로 일정 비율로 구분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는 수리실험 결과치와 비교 검토 후에 민감도의 변화 범위와 선행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매개변수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공구조물 주변의 국부 세굴에 관한 해석시 FLOW-3D를 이용한 분석에서 보다 신뢰도 높은 결과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3-D Numerical Simulations of Gradual Progress of Levee Break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점진적 제방붕괴 수치모의)

  • Jo, Hwan-Beom;Yeo, Chang-Geon;Lee, Seung-Oh;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34-73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는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여 계획홍수위를 초과하는 극한홍수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도심지역에서 제방이 붕괴된다면 범람홍수파에 의해 적지 않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줄이려면 제방붕괴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동특성을 명확히 규명하고 이에 따른 대피체계가 수립되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3차원 수치모형인 FLOW-3D를 통한 범람홍수파 특성연구에 조도계수 및 GMO(General Moving Object)를 추가하여 점진적인 제방붕괴로 인한 제내지에서 범람홍수파의 수리학적 거통 특성을 모의하였다. 높이 0.6m의 제방붕괴 단면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넓어지면서 제내지로 홍수파가 유입되어 들어오도록 모의하였다. 수치모의 된 결과를 선행연구의 수리실험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치모형 값에 조도계수를 입력하여 기존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GMO를 이용하여 붕괴속도($v_0$)에 변화를 준 경우, 유속($v_{max}$) 및 수위($h_{max}$)변화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초기 월류수심($h_0$) 변화에 따른 범람홍수파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붕괴속도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으로 제방붕괴시 홍수범람에 의한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ree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Flows around Spur-Dike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수제주변 흐름의 수치모의)

  • Choi, Sung-Uk;Yang, W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13-1417
    • /
    • 2004
  • 수제는 하천 흐름을 적극적으로 제어하여 수심을 유지하고, 소류력을 증가시키는 한편 수세를 줄여 토사의 침전을 유포하고자 하는 하천 시설물이다. 수제에 의한 역흐름장(diverse flow fields) 혹은 수제역 (spur-dike zone)의 형성은 다양한 수중생물의 서식환경을 조성하거나 홍수 시 어류의 피난처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중시되고 있는 자연형 하천 공법에 수제가 도입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수제주변 흐름을 수치모의 하여 Rajaratnam과 Nwachukwu (1983)의 수리실험 자료 및 Tingsanchali와 Maheswaran (1990)의 2차원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이차흐름과 역방향 흐름이 크게 나타나는 수제 안쪽 및 제방과 가까운 지점에서는 수치모의 자료와 실험자료가 잘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보였으면, 이러한 지점을 제외한 다른 지점에서는 실험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일 수제에 의한 재순환영역 (recirculation zone)은 수제길이의 약 10배 지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또한 수제 뒤편에 형성되는 와의 중심이 수면에 가까운 지점일수록 뒤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Tominaga 등 (2001)의 실험결과와 유사한 것으로서 수심에 비례하여 수제 뒷부분에 형성되는 와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lood Flow at a Channel Confluence Connected Asymmetrically with Four Channels (네 개의 수로가 비대칭으로 연결된 수로 합류부에서의 홍수흐름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Woo Ch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67-781
    • /
    • 2013
  • In this study,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flood flow characteristics in and around a channel confluence connected asymmetrically with four channels. The numerical model applied in this study is ANSYS CFX (ver. 14) which is the commercial three-dimensional CFD model. As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d and simulated water depth distributions in and around a channel confluence, the agreement is relatively well satisfied. It can be shown in this study that the water surface profiles in and around a channel confluence are significant different with the two channel directions in which the water are entering and increased inflow.

Spillway Design by Using Numerical Model Experiment - Case Study of AnDong Multipurpose Dam -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여수로 설계 - 안동다목적댐 -)

  • Kim, Dae-Geun;Park, Sun-Jung;Lee, Young-Sik;Hwang,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04-1608
    • /
    • 2008
  • 최근 기상이변 등에 따라 빈번히 발생하는 이상홍수에 대비하여 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댐설계기준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가능최대홍수량(PMF) 유입시 댐의 항구적인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치수능력 증대사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의 치수능력 증대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된 비상여수로에 대하여 2차원, 3차원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비상여수로의 수리학적 안정성과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최적의 설계안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근수로의 유황, 월류위어의 방류능력, 급경사수로 및 감세공의 유황을 검토하였다. 특히, 월류위어의 교각형상에 따른 수면형상, 조절부의 제원에 따른 방류량 검토, 조절부의 평면형상에 따른 유황, 급경사수로의 종단경사에 따른 유황, 저유량 방류시 플립버킷부에서의 사출궤적 등에 대한 검토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치모형실험은 설계자에게 실용적인 해석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