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종 혼합골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3종 혼합골재를 이용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 연구 (A Study on the Non-hardened Concrete Using Ternary Mixed Aggregates)

  • 임군수;최윤호;현승용;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2-93
    • /
    • 2020
  •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aspect of non-hardened concrete of Ternary Mixed Aggregates, and it was determined that flowing and amount of air increased as the mixing combinations of RS increas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e phenomenon only as a result of increasing mixing combinations of RS, and it is thought that the influence of CS and SS also plays a large role. For later analysis, we plan to conduct research on compressive strength and shrinkage according to age, and analyze more suitable mixing combinations.

  • PDF

재생골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혼합잔골재의 최적배합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ng Method the most Favorable Mixture Proportion of Blended Fine Aggregate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Recycled Aggregate)

  • 한천구;윤기원;이건철;박용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13-119
    • /
    • 2006
  • 최근 콘크리트용 골재의 활용실무는 골재의 품질 및 공급상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2종류 이상의 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2종류 이상의 골재를 혼합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고, 그에 따른 최적배합 평가 방법의 도입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골재, 부순잔골재, 재생잔골재의 3종의 혼합모래를 혼합율 변화에 따른 시멘트 모르터의 굳지 않은 상태와 경화 상태의 제반 물성실험을 통하여 최적배합평가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플로우는 천연잔골재와 부순잔골재의 혼합 비율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도 천연잔골재와 부순잔골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경우는 부순잔골재와 유사한 강도를 나타내지만, 재생잔골재가 혼합된 배함에서는 강도가 조금씩 저하되었다. 건조수축은 재생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가 건조수축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수치의 표현은 아니지만 3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의 최적배합 표현방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어 최적배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도상화 수법을 제안하였다.

  • PDF

재생(再生)잔골재(骨材)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用) 골재(骨材)로 활용(活用)하기 위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y for Utilizing of Recycling Fine Aggregate as Precast Concrete Aggregate)

  • 문대중;문한영;김양배;임남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2호
    • /
    • pp.24-31
    • /
    • 2006
  • 폐콘크리트 파쇄시 발생하는 재생잔골재의 품질을 검토하였으며, 재생잔골재를 활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흡수율을 검토하였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용 골재로서의 적용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재생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은 각각 $2.31\;g/cm^3$ 및 8.07%로 KS F 2573의 2종에 해당되는 품질이었다. 혼합시멘트 MRS1, MRS2 및 MRS3 사용 모르타르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물-시멘트비 35%, 양생온도 $40^{\circ}C$의 조건에서 각각 15.8, 27.4 및 48.7MPa로 최대값을 발현하였다. 모르타르의 최대휨강도는 혼합시멘트 MRS1 및 MRS2 사용시 물-시멘트비 35.0%, 양생온도 $40^{\circ}C$, 혼합시멘트 MRS3사용시 물-시멘트비 37.5%, 양생온도 $40^{\circ}C$의 조건에서 발현하였다. 혼합시멘트 MRS1, MRS2 및 MRS3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흡수율의 범위는 각각 $8.3{\sim}7.3%,\;6.5{\sim}8.5%$$3.5{\sim}6%$의 범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혼합시멘트와 재생잔골재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MRS1는 저강도용, MRS2는 보통강도용, MRS3는 고강도용으로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카올린을 혼합한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with Metakaolin)

  • 문한영;김양배;문대중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70-278
    • /
    • 2005
  •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은 천연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저하되므로 메타카올린을 사용하여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였다.메타카올린의 주성분은 $SiO_2$$Al_2O_3$이며, 비표면적은 보통시멘트보다 약 9배 정도 크다. 실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얻어진 재생골재(DRA)는 KS F 2573의 1종을 만족하였으나,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얻어진 재생골재(SRA)는 KS F 2573의 2종을 만족하지 않았다. 메타카올린을 시멘트 중량에 20% 대체한 경우, SRA 및 D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기준콘크리트에 비하여 약 40~64% 정도 크게 나타났다. 메타카올린을 20% 혼합하므로써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흡수율은 메타카올린을 혼합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하여 약 2% 감소하였다. 또한, D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동결 융해 저항성은 메타카올린의 역할로 현저히 향상되었다. 그러나, 메타카올린을 20% 혼합하고 SRA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상대동탄성계수는 동결융해 싸이클 수 210에서 60% 이하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레미콘 플랜트 및 원재료 현황 (Status of Ready-Mixed Concrete Plants and Raw Materials in Pusan)

  • 유승엽;구자술;이양수;문형재;김정진;박순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641-644
    • /
    • 2008
  • 본 고에서는 부산 제2롯데월드 현장에 공급이 가능한 부산지역의 레미콘사를 선정하여 플랜트 및 원재료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한 레미콘 공장은 대부분 횡치형으로, 210m$^3$/hr용량의 Twin shaft 믹서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결합재 및 혼화제 사일로보유대수는 각각의 공장마다 차이를 보이나, 원재료 종류별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결합재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플라이 애쉬 2종, 고로슬래그 미분말 3종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양호한 레미콘 품질관리를 위해 각각의 재료별 동일 공급사를 지정하여 사용하고, 품질 모니터링 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굵은 골재는 다양한 산지의 부순 골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산지에 따른 품질차를 해결하기 위해 Y산지 골재를 사용하도록 하였고, 잔골재는 부순 잔골재, 세척사, 강사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혼합방법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여 안정한 품질로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잔골재를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다. 혼화제는 배합 및 현장별로 별도 관리하고 있는데, 본연구에서는 2시간 유지성능 및 15시간 10MPa를 발현을 만족시킬 수 있는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를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 PDF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채움재로 활용한 개질재생아스팔트혼합물과 일반아스팔트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Modified Recycling Asphalt Mixture and Normal Asphalt Mixture Using Basalt Powder Sludge as Filler)

  • 김승현;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611-619
    • /
    • 2018
  • 현무암 석분슬러지는 석재가공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이다. 최근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천연자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석분슬러지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다. 현무암 석분슬러지는 현재 발생량의 대부분이 단순 매립과 복토용으로 처리되고 있어 활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강우특성을 고려해 현무암 석분슬러지를 시멘트와 섞어 아스팔트혼합물의 채움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검토결과 현무암 석분슬러지는 KS F 3501에서 요구하는 품질기준을 만족하였다. 마샬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개질재생아스팔트혼합물(순환골재 27%)과 일반아스팔트혼합물에 대한 최적 아스팔트 함량(OAC)을 결정하였다. 두 종의 아스팔트혼합물에 채움재의 혼합비(3 수준) 및 현무암 석분슬러지와 시멘트의 구성비(3 수준)를 변화시켜 마샬안정도 시험으로 현무암 석분슬러지의 활용 범위를 파악하였다. 채움재의 혼합비와 구성비가 안정적인 활용성을 보이는 아스팔트혼합물들에 대한 공용성을 평가한 결과 두 종의 아스팔트혼합물 모두 국토교통부(2015)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현무암 석분슬러지는 아스팔트혼합물의 채움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