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3대 중요사업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국내 과학기술 연구개발 현황 및 전망

  • 조경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echnology of Plastici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17
    • /
    • 2003
  •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시작과 함께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한 투자가 본격화되었고, 과학기술 혁신이 정부정책의 가장 중요한 시책으로 부각되었다. 지난 40 여 년간 우리나라 과학기술은 선진기술의 모방에서 출발하여 효율적으로 단계별 성장을 거치면서 2000 년대에는 세계수준의 지식 및 기술을 창출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본 발표에서는 한국과학기술의 현주소와 향후 전망을 분석하여 국내 연구개발의 방향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1982년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목표설정 및 연구개발 자원을 전략적으로 집결하여 다양한 국가 연구개발 사업들이 수행되어 왔다. 그 후 20여년이 지난 현재 20개 부처에서 200 여개의 국가 연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개발사업의 성과로서 DRAM, TFT-LCD, CDMA 등 첨단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기술들이 다수 확보되었다. 주력 산업인 IT산업, 자동차, 철강, 조선, 섬유 등도 기술혁신에 의한 국제 경쟁력 강화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우리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3배 이상 증가하여 2000년 기준으로 세계 8위의 투자규모를 달성하였으며, 민간의 연구개발 투자 비중도 크게 늘어나 민간주도형 연구개발체제로 전환되게 되었다. 2001년에 이르러서는 총연구비 투자규모가 15조 이상으로서 이는 전체 GDP의 ∼3% 에 해당되는 수치이며 선진국 수준에 육박하고 있음을 짐작 할 수 있다.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하여 국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는 연구개발 투자를 계속 확대할 정책을 시도하고 있으며 창의적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체제 구축 및 효율적인 활용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다. 과학기술부는 과학기술혁신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0,000여개이상의 과제를 수행하여 국가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여왔다. 정부는 국내외 과학기술 환경변화가 심한 21세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기회와 도약을 위하여 과학기술 중심국가 건설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게 되었다. vision 2025를 통해 2025년까지 21세기 첫 4반세기 동안 과학기술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려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선진국 진입을 실현하고자 다양한 정책적 대응을 물색하고 있다. 세계 시장규모, 전략적 중요성 등을 토대로 한 10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과학기술부는 기술수요조사를 바탕으로 49개 주요기술을 도출하여, 과학기술 일류 국가 실현, 국민소득 2만불 달성이라는 국가적 슬로건을 내걸고 “차세대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범정부차원의 기획과 연구비의 집중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 PDF

고객이 인지하는 마케팅 믹스 7P활동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종업원 5인이하)커피전문점의 중심으로

  • 박채연;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29-133
    • /
    • 2023
  • 소상공업은 서민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일반 대중과 가까이에 있으며 경제 환경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수적인 측면과 고용창출의 측면에서 대기업 혹은 중소기업만큼 우리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소상공인의 창업과 폐업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창업률은 2.1%, 폐업률은 2.5%, 음식점 업종의 창업률은 2.8% 페업률은 3.1%로 조사되었다. 음식점 업종은 소상고인 폐업률이 가장 높은 업종이며, 음식점 중에서도 커피전문점은 창업률 3.2% 폐업률 4.5%로 창업과 페업이 빈번하게 반복되는 취약한 구조를 보인다. 이는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은 대규모 소비시장이 아닌 특정 지역이나 계층에 대한 소규모의 무한한 시장을 형성하고 많은 자본이나 대규모 고용의 필요성이 낮다. 따라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없이도 창업하게 되어 운영을 위한 전문성이나 자금이 부족한 경우가 빈번하다. 소상공인으로 창업을 할 경우 창업프로세스가 전문성의 유무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다. 그로인해 전문성이 없는 비전문가로 창업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이다. 대기업이다. 프랜차이즈에 비해 마케팅 믹스활동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고객이 인지하는 마케팅 믹스활동이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소상공인커피전문점의 마케팅 믹스활동을 중심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그리하여 비자발적 창업을 준비하는 커피전문점 소상공인에 시사점을 제공하여 창업 시 유의할 점을 파악하도록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 대상은 소상공인을 이용하는 고객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마케팅믹스 7P's가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PLS-II 저장링 진공시스템의 기초 설계

  • Park, Jong-Do;Ha, Tae-Gyun;Hong, Man-Su;Kim,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24-324
    • /
    • 2010
  • 포항가속기연구소에서는 성능향상사업(PLS-II)를 수행하고 있다. 전자빔의 에너지는 2.5에서 3 GeV로, 빔전류는 200 mA에서 400 mA로 증가되는 반면 빔에미턴스는 약 1/3로 줄어든다. 저장링 진공시스템은 저장된 전자가 충분한 시간동안 저장되도록 $10^{-9}\;Torr$ 대의 진공도를 가져야한다. 빔에너지와 전류가 늘어나기 때문에 기체부하도 약 4배 상승하므로 적절한 배기 시스템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진공시스템의 기본설계 방향과 빔안정을 확보하는 중요 파라메터들에 대하여 논의하며 기체부하, 배기계통, 진공용기 배치, 열차단장치의 배치등에 대하여 보고한다.

  • PDF

The Concept and Technologies of Intelligent Vehicle (지능형자동차 개요)

  • Sunwoo, Myoung-Ho;Jung, Do-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27 no.6
    • /
    • pp.30-33
    • /
    • 2005
  • 10년 후, 미래의 자동차는 더 이상 단순한 운송수단이 아닌 우리의 삶을 윤택하고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일상의 공간(업무 휴식 정보)으로 진화 발전할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는 지능형자동차 기술이 자리하고 있다. 지능형자동차 기술은 자동차산업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차원에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미래형자동차는 안전성 편의성 향상이라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시장의 확대를 희망하는 기업의 요구가 잘 맞물려 있기 때문에 향후 기술개발에 대한 예산 확충 및 지원 확대가 절실히 필요하다. 지난 1990년대부터 지능형자동차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일본, 미국, 유럽 등 자동차선진국은 최근 각종 신기술을 개발해 시장에 내놓고 있다. 자동차 10대 강국 중하나인 한국은 21세기 세계 자동차시장 선점과 오는 2010년 세계 3위의 기술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지난 2003년에 미래형자동차를 국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국가연구개발사업인 '미래형자동차사업'을 출범시켰으며, 국내 자동차업계는 물론 대학 및 연구소 등과 연계하여 '지능형자동차' 등 3분야의 관련 핵심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능형자동차 기술개발'이라는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IT기술과 자동차와의 융합기술 개발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가 세계에 IT강국으로서 명성을 널리 자랑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능형 자동차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 있지만, 관련 분야의 인적자원 네트워크 구축이 보다 탄탄하게 다져지지 않는다면 이는 그저 '빛 좋은 개살구'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끝으로 국내에서 진행되는 ITS 관련 프로젝트와 지능형자동차 개발 연구과제의 유기적 연계와 효율적 추진, 지능형 자동차 시험 평가방법 표준화, 국제 기술 표준화 및 안전규제에 적극 대응, 지능형자동차 신규제품 및 서비스의 도입을 위한 제도개선 및 정비 등에, 정부와 산 학 연이 지혜를 모아 중점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행동으로 옮길 때 우리의 지능형 자동차 미래는 밝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SW Project Information (공공 소프트웨어(SW) 사업정보 통합 관리체계의 개념적 설계에 관한 연구)

  • Shin, Kitae;Park, Chankw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4 no.2
    • /
    • pp.199-216
    • /
    • 2019
  • The public SW market is 3 trillion won, which is less than 10% of the total SW market.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domestic market, it is an important market with a relatively large impact on small and medium-sized software companies. In this market, government is operating the Public SW Project Demand Forecasting System in order to support the marketing activities of small and medium sized SW companies and establish a fair market order. The current system has limitations such as lack of user convenience, insufficient analysis capability and less business conn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se systems and to propose a new system fo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rs and expanding the information utilization of SM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requirements of each stakeholder. We proposed the 2-phased forecasting cycle, the management cycle, and the system life cycle of public SW projects and created a unified identifier (UID)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ose projects can be identified and linked among them. As a result, an integrated reference model of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system life cycle was developed, which can explain the demand forecasting and project information, and the improved processes was also designed to implement them.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of public SW projects will be possible.

Analysis on the National R&D Portfolio of Food Safety in Korea from 2008 to 2010 (최근 3년(2008-2010)간 식품안전 분야 국가연구개발사업 운영 현황 분석)

  • Kwak, No-Seong;Jeong, Jiwon;Lee, Jong-Ky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8 no.2
    • /
    • pp.115-123
    • /
    • 2013
  • Food safety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s. FAO and WHO presented risk analysis as one of four principles in food safety management. WTO also admits the self safety regulation only when it is made on the basis of risk assessment. Without scientific analysis, tracing and eliminating the cause of food poisoning is impossible. Research and development plays a key role to produce scientific evidences. The Korean government ran over 40 programs in 11 agencies from 2008 to 2010.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s on food safety R&D at present. In this research, food safety projects conducted from 2008 to 2010 are listed up by means of analysing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NTIS). The analytical criteria are the name of programs,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keywords. As result,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lay major role in the food safety R&D. The portion of more than one year projects should rise up in order to achieve the data for risk assessment, which is strongly required to improve. Besides, the research should be deeper so as to publish more SCI papers. The R&D portfolio should be changed in direction to raise up the portion of biological hazards such as norovirus. In order to do so, a large number of food safety programs should be emerged. The categories of food safety management and the hygiene/quality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in the 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hould be emerged because they are set up reflecting agencies' interests in spite of few differences between them.

Solar Radi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 High Mountain Area (고산지대의 일사량 특성분석 - 소백산과 그 인접 저지대를 중심으로 -)

  • Jo, Dok-Ki;Lee, Tae-Kyu;Chun, Il-Soo;Jeon, Hong-Seok;Auh, Chung-Moo
    • Solar Energy
    • /
    • v.16 no.2
    • /
    • pp.49-63
    • /
    • 1996
  • Site elavation is one of the major factors which is influencing the incoming insolation. Because nonpermanent gases like ozone, water vapor are unmixed components of the atmosphere and their concentrations are function of height, the site elevation effects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 atmospheric constituents. We have measured solar radiation on Sobaek(1,350m) and in Poonggi area(280m). These value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their charateristics and the potential for the solar utilization as an alternative energy for both high altitude area and low altitude area. From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1) Yearly mean 4,093 $kcal/m^2$. day of the horizontal global radiation in Mt. Sobaek was evaluated for clear day. 2) Insolation on Mt. Sobaek is $6{\sim}7%$ higher than Poonggi area during summer and winter seasons. 3)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tomospheric clearness index is observed between Mt. Sobaek and Poonggi area at the same latitude.

  • PDF

Some Biologic Correlates of Perinatal Mortality (주산기사망(周産期死亡)과 생물학적요인(生物學的要因))

  • Ahn, Yoon-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9 no.1
    • /
    • pp.129-138
    • /
    • 1976
  • The causes and problems underlying deaths in perinatal period are often similar and might be expected to yield to same type of preventive measures. This is one of the reasons for attempting to develop a reporting of perinatal mortality and its related matters.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biologic risk factors onto the perinatal death. Considering stillbirth and early neonatal mortality separately, considerable associations between stillbirth and reproductive history of women, are observed, ana it is found that prematurity is the the far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early neonatal mortality.

  • PDF

Suggestions on How to Improving Planning Process for Governmental R&D Projects (국가 R&D 사업의 계획단계 강화를 위한 분석 및 제언)

  • Park, Seung-Wook;Hong, Jin-Won;Kim, Mee-Hwa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5 no.3
    • /
    • pp.1-25
    • /
    • 2010
  • In spite of increased R&D budget, the government has not produced outstanding and notable outcomes that have widespread effects on industries and economies. Lacking of solid planning for the R&D projects before they implement is one of the leading reasons. This study conducted case studies for the R&D projects implemented in Korea and other foreign countries, and made suggestion on how to improve the planning practices for the large-scale governmental R&D pro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mplications on the policies about the nation-wide R&D planning system.

  • PDF

Critical Regeneration Elements of the Old Housing Estate in Local Metropolitan in Term of Sustainable Aspects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지방대도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계획요소 중요도 분석)

  • Park, Gui-Dong;Oh, Deog-Seong
    • KIEAE Journal
    • /
    • v.11 no.6
    • /
    • pp.3-12
    • /
    • 2011
  • Currently,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is focused on financing. To solve the variety of problem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 plan need to apply more elements to improve sustainability.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ain strategies to amend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To do this, firstly I reviewed previous studies of sustainablity. Secondly I surveyed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three cases in Boksu-Dong District2, Daeseong-Dong District2, and Samsung-Dong District1 in Daejeon. Lastly I used the AHP analysis method and the 5-point Likert-type questionnaire of judged the importance among the plan elements with experts on urban regeneration of which is foun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proble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lso, I found out the priority of the main planning elements to improve the problems. By contrasting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plan elements with the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e directions of strategies which include the plan elements for responding climate chang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financial support program and system to improve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