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5,3'-triiodo-L-thyronine $(T_3)$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수정란과 부화자어의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3)의 침지처리 효과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3) Immersion on Development of Fertilized Egg and Newly Hatching Larva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강덕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4-41
    • /
    • 2003
  • The hatching of fertilized egg and early development of larval black seabream, Acanthopngrus schlegeli by immersion of 3,5,3'-triiodo-L-thyronine ($T_3$) with doses of 0.01~0.5 ppm in tank were examined for early development periods and compared with control fish immersed by 0.1 N NaOH and 99% alcohol. Larvae were fed with rotifers for first 5 days during experimental period. Yolk absorption of larvae from $T_3$ immersion groups were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of control. Although hatching times among each groups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hatching rates of larvae in higher doses (0.1 ppm and 0.5 ppm $T_3$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The results of $T_3$ immersion experiments to newly hatching larvae indicated that exogenous $T_3$induced significant faster the absorption of yolk and oil globule, faster the development of myotome and digestive duct and higher the growth rate of larvae than larvae of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_3$ immersion supplements appear to confer a distinct advantage to eggs and larvae of black seabream, which is in early fragile developmental stage.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5-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Improvement of Growth and Survival Rate in Larval and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ogeli) from Mother Fish in Vitellogenesis Injected with 3,5,35-triiodo-L-thyronine($T_3$))

  • 강덕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3-310
    • /
    • 1998
  • 난황형성 단계에 있는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 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인 sham구 및 control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자어에게는 출산후 5일째까지 rotifer를 공급하였고, 6~15일까지 rotifer와 Artemia nauplii를, 이후 30일까지 Artemia nauplii와 넙치용 배합사료를 혼합공급하였다. 출산후 자어의 성장은 대조구들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하(3)구가 대조구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T_3$구가 control구에 비해 다소 낮았고, sham구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모체에서 유래된 외인성$T_3$가 초기 출산자어의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외인성 3,5,3'-triiodo-L-thyronin ($T_3$) 효과 (Effects of Dietary 3,5,3'-Triiodo-L-Thyronine ($T_3$) on Growth and Survival Rate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legeli)

  • 강덕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2
    • /
    • 1996
  • 감성돔, A. schlegeli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T_3$) 경구투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10, 20, 50 및 100 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 투여하였다. $T_3$ 경구투여에 따른 사료섭식률은 10 ppm구와 20 ppm구에서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T_3$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료효율의 경우 10 ppm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높았으나, 큰 차는 없었다. 생존율의 경우 100 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처리구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장과 체중의 성장은 10 ppm 구가 다른 실험구보다도 높았고, 20 ppm구는 대조구와 거의 같은 수준에 있었으나, 50 ppm과 100 ppm구는 오히려 대조구보다도 느린 성장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10 ppm구를 비롯한 모든 $T_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T_3$ 투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비만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 강덕영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66-67
    • /
    • 1998
  • 난황형성기의 난소를 가진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실험종료시인 전어체를 갈아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였다. 출산자어의 성장은 대조구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_{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대조구가 $T_{3}$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종료시 $T_{3}$구의 어체내 수분과 회분함량은 대조구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T_{3}$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T_{3}$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출산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3,5,3'-triiodo-L-thyronine ($T_3$) 모체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혈중, 알 및 난황낭 자어의 갑상선 호르몬 농도 변화 (Maternal Injection of 3,5,3'-triiodo-L-thyronine ($T_3$) Causes Changes of Thyroid Hormone Levels in Plasma, Eggs and Yolk-sac Larvae in Fema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장영진;강덕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1-726
    • /
    • 1998
  • 조피볼락 암컷의 난황형성기에 3,5,3'-triiodo-L-thyro-nine($T_3$)을 20mg/kg 체중으로 모체주사하여 어미의 혈중 THs 농도변화 및 알과 출산자어로의 THs 전이여부를 조사하였다. L-thyroxine($T_4$)의 경우. 어미의 혈중 및 출산직후 자어에서 $T_3$구와 대조구 사이에 농도 차이를 파악할 수 없었지만, 알에서는 $T_3$구가 대조구 보다 낮은 $T_4$함량을 나타냈다. 어미에게 $T_3$를 주사한 결과, 외인성 $T_3$가 24시간 이내에 어미의 혈중으로 빠르게 흡수되어 난소로 전이된 다음, 출산직후의 난황낭 자어에서도 지속적으로 체류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반적으로 난생경골어류에서 THs가 자어 발생 및 변태에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외인성 $T_3$의 모체주사에 의해 조피볼락 자어의 생리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종묘생산시 건강한 종묘의 생산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외인성 갑상선호르몬 ($T_3$)의 경구투여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생리적 상태,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ed Thyroid Hormone ($T_3$) on Physiological Conditi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강덕영;장영진;김윤;명정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88-593
    • /
    • 2001
  • 조피볼락, S. schlegeli 치어의 생리,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5, 10 및 15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투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섭식률 및 사료효율은 10PPM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CH는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낮은 TCH값을 나타내었다 실험구별 기형률은 $T_3$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실험 종료시 체성분 분석 결과, 수분과 회분 함량은 실험구간 유의 차를 찾아 볼 수 없었고, 단백질 함량은 15PPM구가 5PPM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 비해 많았으며, 지질 함량의 경우 15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적었고, 5PPM구와 10PPM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실험구별 길이 및 무게 성장은 10PPM구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여 실험 종료시 $9.80\pm0.26 cm$로 대조구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였다. 실험구별 비만도는 $T_3$구가 $18.9\~19.0$으로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각 실험구별 사육어의 생존율은 CONTROL구가 가장 높았고, CONTROL구를 제외하고는 10PPM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 스테로이드 및 생식소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의 영향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_3$) on Sex Steroid Levels and Gonadal Development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민병화;노경언;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5
  • 웅성 선숙형 해산 어류인 감성돔에게 $T_3$를 경구 투여하여 성스테로이드인 testosterone(T), $estradiol-17{\beta}(E_2)$ 및 cortisol 수준의 변화와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였다. 외인성 $T_3$는 사육 60일째 감성돔의 혈장 T의 수준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으나, 혈장 $E_2$ 및 난모세포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T_3$ 처리는 생식소 내 정소 발달과 정자 형성과정을 촉진시켰으며, 정자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_3$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60일째에 혈장 cortisol 수준이 대조구에 비하 여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외인성 $T_3$는 T와 cortisol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적 수컷의 생식소 발달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3$) on Growth of GR-transgenic Coho Salmon, Oncorhynchus Kitsutch

  • Kang, Duk-Young;Robert H. Devlin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101-101
    • /
    • 2002
  • GH-transgenic coho salmon (Oncorhynchus kitsutch) juveniles in tGH*T$_3$and tGH*PTU were fed with the diets containing 1 ug/g fish of 3,5,3'-triiodo-L-thyronine (T$_3$) and 30 ug/g fish of 6-n-propyl-2- thiouracil (PTU), respectively,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drugs on the change of physiological activity, growth and survival rate in comparison with normal transgenic (tGH*C) and nontransgenic coho salmon (Wild) for 90 days. Although the daily food intakes of all transgenic (tGH)-groups were higher than Wild, the amount was reduced by exogenous PTU supply. The fred efficiencies of tGH-groups were lower than Wild, but the efficiency was reduced both by T$_3$and PTU. The survival rate of tGH-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Wi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GH-groups. Although the growth of tGH-coho salmon was faster than Wild. the growth rate of transgenic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 but was reduced by PTU Plasma TT$_4$levels of tGH-groups was approximately 2-fold higher relative to Wil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of plasma TT$_4$levels among tGH-groups. plasma TT$_3$level or tGH-coho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administration, but was reduced by exogenous PTU. In addition, although plasma GH levels of all tGH-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Wild, the GH level in plasma of transgenic coho salmon was increased by exogenous T$_3$and reduced by exogenous PTU. In the meantime, the transgenic fishes also displayed head, jaw and opercular abnormalities typical of the offsets of this gene construct in coho salmon, indicating that some imbalance in growth processes has been induced. However, the abnormalities of transgenic coho salmon was reduced following exogenous PTU administration.

  • PDF